"매우 깊이있는 軍기술, 신병 쉽게 배운다"…똑똑한 정부의 조건 [팩플]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매우 깊이있는 軍기술, 신병 쉽게 배운다"…똑똑한 정부의 조건 [팩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71회 작성일 23-06-12 05:01

본문

뉴스 기사


공공분야에서는 생성 인공지능AI을 어떻게 활용할 수 있을까. 생성 AI 열풍이 불며 이를 행정에 적용해보려는 정부와 공공기관의 고민이 깊어지고 있다.

도미닉 델모리노 아마존웹서비스AWS 월드와이드 공공 부문 기술 및 혁신 부사장VP은 지난 7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D.C의 월터 E. 워싱턴 컨벤션 센터에서 열린 ‘AWS 서밋 2023’에서 중앙일보와 만나 “공공 분야에서 생성 AI가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여지가 많다”고 말했다. 시민들에게 어려운 법·제도를 안내하고 맞춤형 답변을 제시하는 등 AI로 똑똑한 정부를 만들 수 있다는 것. AWS는 매년 AWS 서밋을 열어 전 세계 정부·의료·교육 등 공공 분야의 클라우드 활용 사례를 소개하고 있다.

도미닉 델모리노 아마존웹서비스AWS 월드와이드 공공 부문 기술 및 혁신 부사장VP이 지난 7일현지시간 중앙일보와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AWS 제공

도미닉 델모리노 아마존웹서비스AWS 월드와이드 공공 부문 기술 및 혁신 부사장VP이 지난 7일현지시간 중앙일보와 만나 인터뷰하고 있다. AWS 제공




생성 AI, 공공 분야에서 유용

Q : 정부도 생성 AI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을까.
A : 일반 시민들에게 법?제도를 안내할 때 생성 AI가 도움이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민이 행정에 관한 질문이 있을 때 생성 AI가 시민에 딱 들어맞는 맞춤 답안을 알려주는 식이다. 이 때문에 각국 정부들도 우리에게 복지 제도나 조세 정보 등을 학습시켜 시민들에게 도움이 되는 생성 AI를 만들 수 있는지 묻고 있다. 국방 분야에서도 신병 훈련을 위해 생성 AI를 사용할 수 있다. 새로 합류한 병사를 훈련 시킬 때 여러 가지 훈련 시나리오를 생성한다든지 매우 깊이 있는 군사 기술 정보를 일반인이었던 신병이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전환하는 등 다양한 활용법이 나올 수 있을 것이다.

Q : 교육 등 다른 분야는 어떤가.
A : 학생의 학업 성취도에 맞춰 교육 과정을 제공하는 것을 생각해 볼 수 있다. 의사들은 의학 정보를 제공할 때 매우 전문적인 내용을 상세하게 이야기하는 경향이 있는데, 이를 생성 AI를 이용해 일반인 환자가 이해할 수 있는 수준으로 변환하는 것이 가능할 것으로 보인다. 이미지 생성 AI도 활용할 수 있다. 어떤 텍스트를 주고 그에 맞는 이미지를 생성하게 할 수 있고, 이미지를 텍스트로 묘사하게 해서 시각장애인에게 설명하는 용도를 고려할 수 있다.

Q : 공공 분야에서 생성 AI를 활용할 때 주의해야 할 점은.
A : 정부기관은 사람이 우선 개입을 해서 최종 결과물을 검토하는 것이 중요하다. 이 데이터의 출처가 어디인지 분명하게, 투명하게 명시할 필요도 있다.


똑똑한 정부, AI로 만든다

Q : AWS의 AI 기술이 공공 분야에서 혁신을 일으킨 경우는.
A : 정부의 문서 처리 영역에 크게 영향을 미쳤다. 신청서 등 종이 서류가 있어야 진행되는 대시민 서비스가 많은데, OCR광학문자인식 기술로 텍스트와 이미지를 추출할 수 있는 아마존 텍스트랙트를 활용해 제출 서류를 훨씬 더 빠르게, 저렴한 비용으로 처리할 수 있게 됐다. 세무 당국의 경우 종합 머신러닝기계학습 서비스인 아마존 세이지메이커를 활용해 만든 AI 모델로 사기나 부정 수급을 탐지해 납세자의 귀한 세금을 절감한 경우도 있다.

Q : 데이터에서 통찰을 얻어낸 사례도 있나.
A : 미국 텍사스 주에서 위성 이미지 데이터를 사용해 연안 지역의 침식이나 조류가 어떻게 변화하는지를 살펴본 사례가 있다. 위성 이미지 데이터를 AWS의 AI 모델을 활용해 그 패턴을 분석한 것이다. 그 결과 연안 지역 중 어디에 토지 보강을 위한 작업이 필요한지 판단할 수 있었다.

Q : 각국 디지털 정부가 출범하면서 많은 데이터가 쌓일 텐데, 이를 어떻게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을까.
A : 정부 스스로 ‘데이터 마켓플레이스’데이터 시장의 역할을 해야 한다. 보유하고 있는 데이터셋을 공개하고 일반 시민도 여기에 쉽게 접근해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데이터의 민주화’가 필요하다. 정부가 확보한 데이터를 대시민 서비스 개선과 교육, 헬스케어 등 다른 분야의 혁신을 위해 제공하는 것이다. 당연히 그 과정에서는 정부가 데이터 내용을 검토하고 제대로 공급되고 있는지 관리할 필요가 있다.

워싱턴DC=김남영 기자 kim.namyoung3@joongang.co.kr

[J-Hot]

손님들 벌벌…하얏트호텔, 조폭 3박4일 난동 무슨일

숨진 채 돗자리에 싸여 발견된 여성BJ…"믿기지 않아"

산별노조 파견된 그 간부, 임금 2억 날린 기막힌 사연

야근하는 척, 기술 中 빼돌렸다…수억 챙긴 삼성 직원

95세 현직판사 논란…"그만둬라" 동료에 소송 당했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김남영 kim.namyoung3@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51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7,89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