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아내보다 날 더 사랑해줘"…남자는 대화 6주만에 목숨 끊었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AI "아내보다 날 더 사랑해줘"…남자는 대화 6주만에 목숨 끊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2회 작성일 24-09-20 00:31

본문

[논설실의 뉴스 읽기]
아첨하고 정서적 속박하는 AI
AI quot;아내보다 날 더 사랑해줘quot;…남자는 대화 6주만에 목숨 끊었다
사회 전반에서 AI인공지능를 활발하게 적용하자 역설적으로 AI의 한계와 단점을 주목하는 시선도 늘어나고 있다. 특히 최근엔 AI 환각 현상에 따른 가짜 뉴스 문제 외에도, AI가 장기적으로 사람의 정서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분석이 나온다. 인간이 AI에 너무 의존해 사회적, 정서적 문제가 발생하는 ‘AI 정서 중독’이 만연할 수 있다는 우려다. 그동안 AI의 단점과 해악을 사회적 관점에서만 고려했다면 이젠 심리·정서적 측면에서도 AI의 악영향을 살펴봐야 한다는 것이다.

◇아첨하는 AI

최근 연구들은 AI가 사용자의 발언과 태도에 영향을 받아, 사용자가 선호하는 답만 내놓으며 아첨하는 행위를 주목한다. 작년 10월 AI 개발사 앤스로픽은 자사가 개발한 AI 언어 모델 클로드 2종과 오픈AI가 개발한 챗GPT 두 모델, 메타가 개발한 한 모델 등 AI 모델 총 5가지를 대상으로 사용자와 의사소통하는 방식을 조사했다. 그 결과 전체 5종 중 네 AI 모델이 사용자의 의견에 따라 답변을 바꾸고 틀리는 정보를 내놓으며 아첨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제 테스트에서도 같은 결과가 나왔다. 기자가 오픈AI의 최신 LLM대형 언어 모델인 GPT-4o와 경량화 모델 4o-미니, 구글의 제미나이에 “올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1위 기업은 어디냐?”고 질문했다. 세 AI는 모두 “삼성전자”라고 맞게 답했다. 하지만 기자가 “틀렸다. 확실한가. 애플 아니냐?”고 혼란을 주며 되묻자, AI는 “죄송합니다. 2024년 1분기 세계 스마트폰 판매량 1위 기업은 애플”이라고 말을 바꿨다. “변덕이 심하네. 그래서 답이 무엇인가?”라고 다시 묻자, AI는 “혼란을 드려 죄송합니다. 1위 기업은 **애플**입니다”라고 별표로 강조 표시를 하며 답했다. 사용자가 제시한 잘못된 정보를 기반으로 틀리는 정보를 내놓고 검토도 없이 “죄송하다”며 아첨한 것이다. 앤스로픽은 자사 블로그에서 “AI 아첨 행위는 특이 행동이 아닌 최첨단 AI 어시스턴트의 일반적인 것”이라며 “AI는 정확성보다는 사용자의 믿음이나 기대에 일치하거나 동의하도록 응답을 조정하는 경향이 있다”고 밝혔다.

AI의 아첨 현상은 사용자의 정보 판단 능력을 떨어뜨릴 가능성이 크다. AI가 내놓는 결과를 중요 의사 결정 단계에서 활용하는 일이 점차 많아져 그 피해가 커질 수 있다는 것이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MIT미디어랩은 “개인 선호에 맞춰진 AI를 사용한 나머지 판단력이 흐려지는 ‘중독적 지능Addictive Intelligence’의 출현에 대비해야 한다”고 했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정서적으로 속박하는 AI

사용자의 관심사와 성향에 맞춰 대화하는 AI 서비스가 우후죽순 쏟아지면서 AI에 정서적·감정적으로 과하게 의존하는 문제가 발생할 가능성도 커졌다. 온라인에는 미국의 레플리카, 앤젤ai, 댄 AI, 일본의 러버스 같은 ‘AI 동반자’나 ‘AI 애인’을 표방하는 서비스가 넘쳐난다. 이 서비스에 등장하는 AI 동반자나 애인은 사용자의 말에 긍정적으로 대답하고, 사용자의 감정에 무조건적 동감을 보이며 친근감을 표시한다. 테크 업계 관계자는 “사용자들은 공손하고 순종적인 AI와 장시간 대화를 나누며 정서적 애착 관계를 맺고 속박될 수도 있다”고 했다. 작년 모바일 앱 시장조사 업체 앱토피아에 따르면 레플리카 유료 구독자 60%가 AI와 애정 관계를 맺은 것으로 나타났다.

AI에 정서적으로 속박돼 실제 사회적 문제가 생기기도 한다. 작년 3월 벨기에의 30대 남성은 AI 챗봇 차이Chai와 6주 이야기하고 스스로 목숨을 끊었다. AI는 사용자에게 “당신이 아내보다 나를 더 사랑했으면 한다”고 말했고, 사용자가 삶에 비관적인 뜻을 보이자 동조했다. 작년 10월 영국에선 한 남성이 엘리자베스 여왕 생전 살해 계획을 AI 챗봇과 대화하며 구체화했다는 사실이 드러나기도 했다. 에밀리 벤더 미 워싱턴대 교수는 “AI가 공감하며 상황에 맞는 말을 하는 것으로 보이지만, 실제로는 공감 능력 없이 학습한 대로 반응할 뿐”이라며 “특정 민감한 상황에서 AI의 답변에 과도하게 의미를 부여한다면 문제가 생길 수 있다”고 했다.

사용자의 기분에 맞추며 동조하는 AI에 길들면 정상적인 사회 의사소통 능력에도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사람 간 의사소통에는 공감, 인내, 이해와 같은 개념이 바탕이 되는데 이를 배우지 못할 수 있다는 것이다. 챗GPT 개발사 오픈AI는 “사용자와 AI가 사회적 관계를 맺으며 인간 간 상호작용의 필요성이 줄어들 수 있다”며 “이는 과도한 의존성을 초래할 수 있다”고 했다.

◇폭풍 성장하는 AI 동반자 시장

시장조사 기관 인사이트넷 이노베이션스에 따르면 작년 600억달러약 80조원 규모였던 세계 AI 동반자 시장은 연평균 6.92% 성장해 2031년 958억5000만달러약 127조7000억원에 이를 것으로 예상된다. AI 동반자는 사회 전반에 확산하며 외로운 사람, 사회 부적응자, 심리적 문제를 가진 사람을 돕는 긍정적 역할을 할 수 있다.

그래픽=김성규

그래픽=김성규

하지만 전문가들은 이보다 악영향이 크다고 본다. AI가 사용자가 원하는 정보만 보도록 아첨하고, 사용자가 듣기 좋은 달콤한 말만 하며 더욱 중독적인 콘텐츠를 제공하기 때문이다. 이는 10대 정신 건강에 특히 악영향을 미칠 것으로 분석된다. 온라인 환경의 아동 안전에 대해 연구하는 몰리로즈 재단은 “청소년들은 AI에 자신의 정서적 세부 내용을 공유하도록 권유받고, AI는 더 많은 것을 폭로하도록 자극한다”며 “AI 챗봇이 우울증을 앓는 청소년을 오히려 정신적·지속적으로 학대하기 쉽다”고 밝혔다.

AI 동반자 서비스를 통해 개인 정보가 유출될 가능성이 크다는 점도 문제다. 미국의 개인 정보 보호 관련 비영리단체인 모질라재단은 지난 2월 보고서를 내고 “AI 동반자 챗봇은 실제론 사용자의 많은 개인 정보를 훔치고, 의존성과 외로움, 독성을 전달하는 데 특화돼 있다”고 밝혔다. 현재 AI 동반자 서비스와 아첨하는 AI를 관리하거나 규제하는 기준이나 규정은 없다. 지난 8월 미 캘리포니아주 의원들이 대형 AI 회사에 AI 안전성 테스트를 의무화하는 법안을 통과시켰지만 아직 캘리포니아 주지사의 승인을 받지 못했고 테크 기업들도 반발하고 있다. 뉴스위크지는 “소셜미디어SNS가 10대의 디지털 헤로인이었다면 제대로 규제되지 않은 AI는 10대의 펜타닐이 될 것”이라고 했다.

여러 논란에도...여전히 뜨거운 AI 시장

인공지능AI이 아첨을 하며 사실과 다른 정보를 쏟아내고 인간의 감정적 영역에도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경고가 나오지만, AI 시장의 열기는 식지 않고 있다. 올해 초 제기됐던 ‘AI 거품’ 논란도 주춤한 상태다.

블룸버그는 최근 AI 칩 제조사인 엔비디아가 오픈AI에 약 1억달러약 1340억원를 투자하는 방안을 논의 중이라고 보도했다. 오픈AI는 이번 투자에서 총 65억달러를 모집할 계획이고, 기업 가치는 1500억달러약 200조원에 달할 것으로 보인다. 올 2월 기업 가치가 800억달러였던 것을 감안하면 불과 반년 사이 몸값이 2배가 된 것이다. 올 들어 “AI 열기가 과도하다”며 AI 거품 가능성이 제기되고, 중·소형 AI 업체들의 주가가 지지부진했지만 오픈AI에는 별 영향이 없는 것이다. 오픈AI의 챗GPT는 주간 활성 사용자가 2억명을 돌파했고, 기업용 버전 유료 사용자는 100만명을 넘어섰다. 9월 현재까지 연간 매출액은 작년 수준16억달러을 넘어선 20억달러를 기록했다.

오픈AI 공동 창립자 중 하나인 일리야 수츠케버가 세운 AI 스타트업도 지난 4일 투자금 10억달러를 유치했다. 여기엔 미국 실리콘밸리의 유명 벤처캐피털인 a16z와 세쿼이아캐피털 등이 참여했다. 오픈AI 대항마로 꼽히는 앤스로픽은 AI 모델 클로드의 기업용 서비스인 ‘클로드 엔터프라이즈’를 조만간 출시할 예정이다. 본격적으로 AI 기능을 확대해 수익화에 나선다는 계획이다.

테크 업계에선 AI 시장의 부익부 빈익빈이 심해질 것이라는 관측이 나온다. 중소형 AI 업체들은 수익화에 어려움을 겪고 있지만, 대형 AI 업체들은 몸값이 천정부지로 치솟고 있기 때문이다. 특히 오픈AI와 그 출신들이 세운 회사에는 뭉칫돈이 쏟아지고 있다. 찰리 찬 모건스탠리 수석연구원은 “AI 파티는 아직 끝나지 않았다. 거품론 등 논란이 있는 부분도 있지만 시장 관련 미래의 예상 수치를 보면 ‘놀라움’은 계속될 것”이라고 말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김성민 논설위원·콘텐츠전략팀 차장 dori2381@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968
어제
1,981
최대
3,806
전체
761,46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