얇고 가벼운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얇고 가벼운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3회 작성일 24-01-04 10:01

본문

뉴스 기사
KAIST, 근섬유 같은 유체 스위치 개발
무게대비 34배 큰 힘 내고 정교하게 작동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왼쪽가 만든 인공 근섬유를 설명하고 있다. KAIST 제공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왼쪽가 만든 인공 근섬유를 설명하고 있다. KAIST 제공


[파이낸셜뉴스] 한국과학기술원KAIST 기계공학과 오일권 교수팀이 34배 이상 큰 힘을 내는 인공근육을 개발했다. 근육의 기본구조인 근섬유 같은 유체 스위치를 만든 것이다. 이 유체 스위치는 0.01V 이하의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면서도 큰 힘을 내면서 부드럽게 움직일 수 있다.

오일권 교수는 4일 "초저전력으로 작동하는 전기화학적 연성 유체 스위치는 유체 제어를 기반으로 하는 소프트 로봇, 소프트 일렉트로닉스, 미세유체공학 분야에서 많은 가능성을 열어줄 수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이 기술은 스마트 섬유에서 생체 의료 기기에 이르기까지 우리 일상에서 초소형 전자 시스템에 쉽게 적용함으로써 다양한 산업현장에서 즉시 활용할 수 있는 잠재력을 갖고 있다"고 덧붙였다.

인공근육은 인간의 근육을 모방한 것으로 전통적인 모터에 비해 유연하고 자연스러운 움직임을 제공해 소프트 로봇이나 의료기기, 웨어러블 장치 등에 사용되는 기본 부품 중 하나다. 이 인공근육은 전기, 공기 압력, 온도 변화와 같은 외부 자극에 반응해 움직인다. 반면 기존 모터를 기반으로 한 스위치는 딱딱하고 큰 부피로 인해 제한된 공간에서 사용하는데 어려웠다.

연구진은 좁은 관 속에서도 큰 힘을 내며 유체 흐름을 제어할 수 있는 이온성 고분자 인공근육을 개발해 이를 소프트 유체 스위치로써 활용했다. 유체 스위치는 특정 방향으로 유체가 흐르도록 제어함으로써 서로 다른 액체를 선별하거나, 유체의 흐름을 통해 또 다른 형태의 움직임을 유발하는 데 사용된다.

이온성 고분자 인공근육은 전기에 반응해 힘을 내고 움직일 수 있도록 금속 전극과 이온성 고분자로 만들었다. 0.01V 이하의 초저전력에서 작동하면서 무게 대비 큰 힘을 낼 수 있도록 인공근육 전극의 표면에 유기 분자가 결합해 만든 다공성의 공유결합성 유기 골격구조체를 활용했다.

연구진이 머리카락 처럼 얇은 180㎛의 두께로 인공근육을 만들었다. 이 인공근육의 무게는 10㎎ 정도이지만 34배 이상의 큰 힘을 내며 부드럽고 정교하게 움직였다.
#한국과학기술원 #카이스트 #KAIST #근섬유 #인공근육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성형 수술에 10억 쓴 가수 백지영 "내 얼굴은 10점 만점에.."
17살에 엄마가 된 여고생 "절친과 남친을 바꿔서.." 소름
프로야구 선수 "와이프랑 첫 만남 10분 만에 2세를.."
노브라 일화 털어놓은 유명 여가수 "사실 티가 안나서.."
쥐가 손가락 물자 머리 물어뜯은 여대생, 쥐 상태가..끔찍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78
어제
877
최대
2,563
전체
417,84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