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주대 공동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열→전기 에너지 기술 개발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아주대 공동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열→전기 에너지 기술 개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78회 작성일 23-10-19 14:33

본문

뉴스 기사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와 파워팩터 기존 대비 4~5배 증가

아주대 공동 연구팀, 세계 최고 수준 열→전기 에너지 기술 개발
이번 연구에서 개발한 혼합 용매 도핑 공정 기술이 모식도위와 해당 기술로 도핑된 공액 고분자 소재의 우수한 전기 전도도 및 열-전 변환 특성을 보여주는 데이터아래.ⓒ아주대학교 제공

국내 연구진이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새로운 개념의 혼합용매 도핑 공정을 개발했다.

공동 연구팀은 새로운 도핑 기술을 고분자에 적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전기 전도도gt;2100 S/cm와 열-전 변환 파워팩터gt;260 uW/mK2를 동시에 구현하는 데 성공했다. 이는 기존의 단독 용매 기반 도핑 공정으로 처리된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와 파워팩터 대비 각각 4배, 5배 증가한 수치다.

해당 기술로 도핑된 고분자는 1000시간 이상의 획기적인 대기 안정성을 보이고 내구성 또한 우수해, 이 기술을 통해 도핑된 고분자 소재는 웨어러블 전자기기나 자가발전 독립전원 등에 적용되는 차세대 전자 및 에너지 소재로 활용될 전망이다.

19일 아주대학교는 김종현 교수아주대 응용화학생명공학과·대학원 분자과학기술학과 연구팀이 새로운 고분자 소재와 혼합용매 도핑 공정을 이용해 세계 최고 수준의 고성능 열전에너지 변환 소자를 개발했다고 밝혔다.

아주대에 따르면 최근 열에너지를 전기에너지로 변환시킬 수 있는 ‘열-전 에너지 변환 소재’로써 공액 고분자에 대한 연구가 활발히 이뤄지고 있다. 공액 고분자는 전기가 흐를 수 있는 고분자 소재로, 기존의 무기물 반도체 및 금속 전극 등을 대체할 차세대 핵심 소재로 주목받고 있는데, 반도체 성질을 가지고 있을 뿐 아니라 용액공정이 가능해 공정 비용의 절감이 가능하고, 높은 유연성과 신축성을 가지고 있어서다. 그러나 낮은 전기 전도도와 에너지 변환 효율 문제, 취약한 안전성 등의 문제로 상용화에 어려움을 겪어 왔다.

공동 연구팀은 고분자 소재 및 도핑 공정을 동시에 개발하는 데에서 문제 해결의 실마리를 찾아 여러 한계를 동시에 극복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했다. 초고성능 유기 열전 소자의 개발을 위해 공정 개발과 소재 합성, 분석과 시뮬레이션 분야의 전문가들이 머리를 맞대어 4년여 연구에 몰두해 온 것. 기존의 열전 변환 성능 향상과 관련한 연구들은 소재와 도핑 공정을 각각 독립적으로 연구해 왔다.

공동 연구팀은 연구 끝에 반도체 소재의 전하밀도를 증폭시키기 위해 소량 첨가되는 소재인 도판트가 효과적으로 침투할 수 있는 공액 고분자를 설계 및 합성했다. 연구팀은 침투된 도판트를 공액 고분자 주사슬 근처로 유도, 사슬의 결정성을 증진 시킬 수 있는 새로운 혼합용매 도핑 공정 역시 개발했다.



연구팀은 또한 이번에 발견한 혼합 용매 도핑 공정을 이미 개발되었거나 상용화된 p형과 n형 공액 고분자들에 적용, 전기 전도도와 열-전 변환 성능이 획기적으로 향상됨을 확인했다. 더불어 새로운 공정이 이미 상용화된 p형과 n형 도판트에서도 모두 작동함을 확인했다.

김종현 아주대 교수는 “우리 몸의 체온과 공장의 여러 공정 및 자동차 엔진에서 발생하는 열 등 열-전 변환 소자가 활용할 수 있는 열원의 범위는 매우 다양하다”며 “이러한 열원을 활용하면 크고 작은 전기 에너지를 얻을 수 있다”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번에 개발한 혼합 용매 도핑 공정은 방법이 매우 간단하면서도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와 열전 에너지 변환 출력, 안정성 등을 동시에 최적화할 수 있는 혁신적 기술”이라며 “이미 상용화된 다양한 p형 및 n형 고분자들과 도판트들에 대해서도 범용성을 가짐을 검증했기에, 웨어러블 기기의 전극 소재 등 고출력 유기 열전 소자의 개발에 널리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라고 말했다.



연구에는 곽상규 고려대 교수화공생명공학과, 김봉기 건국대 교수화학공학부, 최현호 경상국립대 교수나노·신소재공학부 고분자공학전공 연구팀이 함께 참여했다. 아주대 윤상은 학생분자과학기술학과 석박사 통합과정, 건국대 강영권 박사화학공학부, 경상국립대 임재민 학생나노신소재융합공학과 박사과정, 울산과학기술원 이지윤 박사에너지화학공학과는 공동 제1저자로 참여했다.

아주대 연구팀에서는 도핑 공정 개발을 맡아 진행했고 건국대, 경상국립대, 고려대 연구팀에서는 각각 △소재 합성 △전기적 분석 △시뮬레이션 연구를 담당했다. 아주대 서형탁 교수첨단신소재공학과, 서울대 강기훈 교수재료공학부, 한국외대 김태경 교수전자물리학과 연구팀도 함께 참여했다.



해당 내용은 ‘공액 고분자의 전기 전도도와 열전 변환 성능을 동시에 향상시킬 수 있는 도핑 효율 최적화 공정Enhancing dopant diffusion for ultrahigh electrical conductivity and efficient thermoelectric conversion in conjugated polymers’이라는 제목으로 에너지 분야 국제 학술지 <줄joule> 10월 18일 자에 게재됐다. <줄joule, if:39.8, jcr 상위 0.9%> 은 생명과학 분야 저명 학술지 <셀cell> 을 펴내는 미국 셀 출판사Cell press의 저널이다. 셀cell> 줄joule,> 줄joule>



데일리안 유진상 기자 yjs@dailian.co.kr
- Copyrights ⓒ 주데일리안,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

관련기사
☞아주대병원, "어르신들 전자기기와 친하면 우울 낮고 인지기능 높아"
☞아주대 연구팀, 임신진단키트로 암 알츠하이머 등 측정 기술 개발
☞아주대·한국세라믹기술원, 400℃ 합성 가능 고체 전해질 배터리 소재 조합 설계
☞아주대 연구팀, 양자역학 시뮬레이션 및 AI 활용해 신소재 탐색·설계 기술 개발
☞아주대, 산학연구 통해 수소 농도 감지 센서모듈 국산화 성공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49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00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