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이언스샷] 50만년 전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 찾았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사이언스샷] 50만년 전 인류 최초의 목조 건축물 찾았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6회 작성일 23-09-21 07:44

본문

뉴스 기사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수직 연결된 통나무 발굴
방사능 측정에서 47만6000년 전 유물로 확인
현생 인류 조상보다 앞선 고인류가 제작 추정돼
”인간이 스스로 지구를 변형한 시기가 앞당겨져”

과학자들이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목조 건축물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영 리버풀대

과학자들이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목조 건축물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영 리버풀대

RNDBK267KFDKVJ67KPAPSHHUYQ.png
인류가 50만년 전부터 통나무집을 짓고 살았던 것으로 밝혀졌다.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이 출현하기도 전부터 고인류가 나무를 교차시키는 목조 건축 기술을 갖고 있었다는 말이다.

영국 리버풀대의 로런스 바햄Lawrence Barham 교수와 에버리스트위스대의 제프리 덜러Geoffrey Duller 교수 연구진은 21일 국제 학술지 ‘네이처’에 “아프리카 잠비아의 칼람보Kalambo 폭포에서 발견된 약 47만 6000년 전의 고대 목조 구조물이 건축에 목재를 사용한 최초의 사례일 수 있다”고 밝혔다.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발굴된 목제 유물. 통나무에 홈을 파고 수직으로 교차해 끼운 형태이다./Nature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발굴된 목제 유물. 통나무에 홈을 파고 수직으로 교차해 끼운 형태이다./Nature

◇통나무에 홈 파고 수직으로 교차시켜

바햄 교수 연구진이 칼람보 강 유역에서 발굴한 고대 목조 구조물은 통나무 두 개가 십자로 맞물린 형태이다. 두 나무는 의도적으로 절단된 홈으로 연결됐다. 주변에는 나무 도구도 있었다. 통나무마다 도구 자국도 남아있었다. 연구진은 이 통나무가 주기적으로 물에 잠기는 지역에서 높게 지은 통로나 집의 기초였다고 추정했다.

칼람보 폭포는 잠비아와 탄자니아 사이 국경 근처에 있다. 이곳에서는 예전부터 유물이 많이 발굴됐다. 바햄 교수 연구진은 2019년 폭포 옆 절벽을 내려갔다가 강둑에서 나무가 튀어나온 모습을 발견했다. 우기雨期에 불어난 강물이 흙을 쓸고 지나가 땅속에 있던 목제 구조물이 드러난 것이다.

연구진은 ’발광 연대 측정법’으로 통나무의 나이를 확인했다. 무기물은 땅속에서 주변 방사능을 흡수해 에너지로 저장할 수 있다. 무기물은 나중에 에너지를 방출하면서 희미한 빛을 낸다. 빛의 강도는 퇴적물이 마지막으로 햇빛에 노출된 이후의 시간을 측정하는 척도가 된다.

보통 석영을 이용해 발광 연대 측정을 하지만, 이번에는 석영보다 방사능을 더 많이 흡수하는 장석을 사용했다. 연구진은 “이번에 발굴한 통나무는 더 큰 배터리로 더 많이 충전한 것”이라고 밝혔다. 통나무를 감싸고 있는 퇴적물에서 나온 장석은 47만6000년 된 것으로 나타났다.

과학자들이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목조 건축물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영 리버풀대

과학자들이 아프리카 잠비아에서 목조 건축물의 일부로 보이는 유물을 발굴하고 있다./영 리버풀대

◇호모 사피엔스보다 오래된 인류가 제작

호주 울런공대의 리처드 로버츠Richard Roberts 교수는 이날 사이언스지에 “이번 연구진의 연대 측정은 신뢰할 만하다”고 말했다. 연대 측정이 맞는다면 이번 통나무는 현생 인류의 직계 조상인 호모 사피엔스보다 더 오래된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가 만들었을 가능성이 크다.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는 100만년 전에 출현해 10만년 전까지 살았다. 호모 사피엔스는 40만년 전 아프리카에서 출현했다. 칼람보 폭포 유적에서는 고인류 화석이 나오지 않았지만, 잠비아의 다른 곳에서는 30만년 전 호모 하이델베르겐시스의 화석이 나왔다.

나무는 돌보다 더 빨리 썩기 때문에 유물이 많지 않다. 그래도 더러 오래된 목재 유물이 발굴된다. 이스라엘에서는 78만년 전에 만든 판자가 발굴됐다. 판자는 광택이 났다. 독일에서는 30만년 전 목재 도구들이 나오기도 했다.

폭포나 강변은 습기가 많아 목제가 쉽게 썩는다고 생각하지만, 이번 목제 구조물은 오히려 물에 잠긴 퇴적물 덕분에 원 상태를 유지할 수 있었다고 연구진은 설명했다. 모래와 흙이 산소나 미생물 접근을 막은 것이다. 목제는 시간이 지나면서 물에 녹은 무기물을 흡수해 내구성이 높아졌다고 추정됐다.

잠비아 칼람보 폭포 유적지에서 나온 부싯돌. 47만6000년 전 고인류는 이 석기로 통나무에 홈을 팠던 것으로 추정된다./영 리버풀대

잠비아 칼람보 폭포 유적지에서 나온 부싯돌. 47만6000년 전 고인류는 이 석기로 통나무에 홈을 팠던 것으로 추정된다./영 리버풀대

바햄 교수는 “건축물의 토대 일부를 발견함에 따라 우리의 친척인 고인류가 지금까지 생각한 것보다 유목 생활을 덜 했다고 볼 수 있다”고 밝혔다. 늘 옮겨 다니는 유목민이라면 이렇게 단단한 토대를 만들고 집을 짓지는 않았을 것이라는 의미다.

유목민이 남긴 목제 유물은 대부분 창이나 땅 파는 막대기처럼 들고 이동하기 쉬운 것들이었다. 영국 레딩대의 안네미케 밀크스Annemieke Milks 박사는 이날 네이처에 실린 논평 논문에서 “이번 발견은 인류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해 지구를 구조적으로 변형하기 시작한 시기가 놀랍도록 오래됐음을 보여준다”고 밝혔다.

참고 자료

Nature2023, DOI: https://doi.org/10.1038/s41586-023-06557-9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이영완 과학전문기자 ywlee@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07
어제
965
최대
2,563
전체
420,74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