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韓 게임 대전환, 리니지라이크에서 다품종소량생산으로"
페이지 정보
본문
"모바일 중심에서 플랫폼 다변화, 게임장르도 다각화"
최종원 삼정KPMG 상무는 7일 한국게임산업협회가 주최한 K-게임 전문역량 강화 세미나에서 2023 게임산업 트렌드를 발표하며 이같이 말했다. 최 상무는 "국내 게임산업의 50% 이상을 차지하는 모바일게임이 레드오션이 되면서 주요 게임사는 경쟁력 강화를 위해 플랫폼을 다변화하는 중"이라고 말했다. 실제 2021년 국내 게임시장의 58%를 차지했던 모바일게임은 지난해부터 성장이 정체된 상태다. 이에 PC·콘솔로도 즐길 수 있는 멀티플랫폼·크로스플레이 전략이 각광받고 있다. 게임장르도 MMORPG대규모다중접속역할수행게임 일변도에서 다변화되는 추세다. 최 상무는 "비주류로 치부했던 서브컬처 등 캐주얼 장르가 활성화됐다"며 "소비자가 개인의 취향과 많은 정보를 바탕으로 주도권을 행사하는 롱테일 문화가 확산한 것"이라고 강조했다. 게임사도 소비자 다양성을 고려해 장르를 다각화하고 있다는 설명이다.
━
"진입장벽 낮춰라"…F2P 게임 확대
━
지난해 크래프톤은 배틀그라운드를 유료에서 무료로 바꾼 후 동시접속자가 기존 대비 2배 이상, 신규 일일이용자가 486% 급증했다. 에픽게임즈도 폴가이즈 무료 전환 이틀 만에 동시접속자 2000만명을 달성했다. 최 상무는 "대작을 만들어 대박을 노리기엔 리스크도 크고 경쟁도 치열해졌다"며 "롱테일 소비자를 충족시키는 것으로도 수익을 낼 수 있어 가볍게 만들어 플레이하게 만들자는 추세"라고 말했다. 이 외에도 최 상무는 게임산업 트렌드로 △메타버스 기반 P2EPlay to Earn·돈 버는 게임 수익모델 창출 △게임체인저로 부상한 생성형 AI △빅테크 기업의 게임산업 영향력 확대 △클라우드 기반 구독서비스 확대 △게임사와 엔터사 간 IP 역량 강화 가속화 등을 꼽았다. 게임업계에서도 생성형 AI·클라우드·메타버스 등 신기술 활용도가 높아지는 동시에 자본력을 갖춘 글로벌 빅테크 위주로 시장이 재편될 수 있다는 진단이다. 최 상무는 "스팀·소니·MS마이크로소프트 등이 이끌었던 글로벌 게임시장에 엔비디아·메타·넷플릭스 등이 뛰어들어 판도가 흔들리고 있다"라며 "앞으로 유관분야 협업과 투자 확대가 이어질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윤지혜 기자 yoonjie@mt.co.kr
☞ 파국 치닫는 나솔 16기…광수, 영철에 욕설하며 "테이프 깔까" ☞ "마라탕에 머리카락"…무료 서비스했더니 6만원어치 담은 손님 ☞ 이은형, 강재준과 섹스리스 진단 후기…"많이 좋아져" 비결은 ☞ 심형탁이 연락끊은 전현무, 결혼식 사회 봐줬다…"스케줄도 조정" ☞ 부부관계 거절 못 해 둘째 임신…박미선 "피임 안 하니?" 분노 ☞ 20억 강남아파트서 병들거나 죽어…"사진이랑 달라, 속았다" ☞ "AI = 네이버?" 올해만 400% 뛰었다…조용히 달린 이 종목 ☞ 주사 두 방 60만원…"남는 게 없어" 대상포진 백신, 병원은 부담? ☞ [단독]제네시스 GV90 급 높인다…"럭셔리 넘어 준하이엔드" ☞ 선우용여 "아들인 줄 알았는데 딸…돌변한 남편, 구박해 서러웠다" ☞ 김히어라 "일진설 제보자 오해라며 사과"…빅상지 정체는 ☞ "탈퇴" 말에 아킬레스건 끊어…무자비한 中보이스피싱 조직 검거[영상] ☞ [단독]"부동산PF 위험" 경고했는데…2년 손 놨던 중앙회, 부실 키웠다 ☞ "옥순, 영수 좋아해"…거짓소문 낸 나솔 16기 영자, 결국 사과 ☞ 퀸 프레디머큐리 집 대문까지 경매로…유품 죄다 판 옛 애인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관련링크
- 이전글RD 카르텔 논란 두달만에 권고사직이 시작됐다 23.09.07
- 다음글LG헬로비전, 시니어 고객 상담 확대 23.09.07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