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통령까지 나섰는데…그래도 안돼?" 카이스트 의사과학자 육성 참담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대통령까지 나섰는데…그래도 안돼?" 카이스트 의사과학자 육성 참담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5회 작성일 23-10-17 10:42

본문

뉴스 기사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2월 KAIST에서 열린 대전 과학기술 디지털 혁신기업인과의 대화에 참석, 발언하고 있다.[연합]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의대 정원 확대가 구체화되면 KAIST 과기의전원 설립도 새 동력을 얻을 것으로 기대합니다.”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장

정부가 18년간 묶여있던 의대 정원을 크게 확대할 것으로 알려진 가운데 의사과학자 양성을 위해 카이스트KAIST가 추진중인 ‘과학기술의학전문대학원’이하 과기의전원 설립 논의도 급물살을 타게 될지 주목된다.

올초 윤석열 대통령은 한국의 미래 먹거리 근간이 될 의사과학자 육성과 관련, 부처들에게 적극 협조하라고 지시한 바 있다. 하지만 실상은 참담하다. 아직까지도 답보상태다. 오히려 자칫 좌초될 위기다.

KAIST는 의대 정원 확대와 맞물려 그동안 답보상태에 빠졌던 과기의전원 설립이 탄력을 받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지만 아직까진 조심스런 입장이다.

의사과학자는 과학기술 지식을 접목해 질병 치료, 의약품 및 의료기기 개발 등 다학제적 분야에서 융합연구 역량을 발휘할 수 있는 의사이자 과학자를 말한다.

KAIST가 구상하는 과기의전원은 4년 동안 집중적인 의학 교육과 인공지능, 바이오융합 교육을 거치는 의사과학 기초 과정 후 다시 의학과 공학을 융합한 4년 박사 과정을 밟는다. 의학석사-공학박사를 하나로 통합한 형식이다. 이광형 KAIST 총장은 오는 2026년 개원을 목표로 제시했다.

20231017000296_0.jpg
KAIST 의과학대학원 학생들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헤럴드DB]

정부도 KAIST 과기의전원 설립에 긍정적 입장이다. 윤석열 대통령도 지난 2월 KAIST를 방문한 자리에서 KAIST의 의사과학자 양성을 적극 지원하라고 과기정통부와 보건복지부 등 관련 부처에 지시한 바 있다.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도 지난 11일 열린 국정감사에서 “의사과학자는 미래에 굉장히 중요한 역할을 할 사람들”이라며 “카이스트를 통해서 의사과학자 양성을 추진 중”이라고 밝혔다.

하지만 과기의전원 설립은 과학기술정보통신부와 보건복지부, 교육부 등 여러 부처의 영역이 중첩된 민감한 사안이다. 과기의전원 학생들도 의대 정원에 포함되기 때문에 의대 정원 확대가 필수적이였기 때문이다. 정부의 의대 정원 확대 방침이 확정되면 KAIST 과기의전원 설립 논의가 구체화될 것이라는 전망이다. 다만 아직까지 기존 의대와 의사단체는 KAIST의 과기의전원 설립을 반대하고 있어 이를 뛰어 넘어야만 한다는 과제가 있다. 의사과학자에서 임상의로 이탈하는 인원이 발생할 경우 자칫 밥그릇 싸움이 될 수 있다는 게 의료계의 주장이다.

20231017000297_0.jpg
KAIST 의과학대학원 학생들이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헤럴드DB]

대한의사협회 관계자는 “의대 졸업 후 의사 면허증을 취득한 상태에서 입학하는 과기의전원 설립은 괜찮다고 본다”면서 “오히려 기존 의학전문대학원과 달리 의사자격증을 가진 이가 오기 때문에 의사과학자라는 육성이라는 취지에도 잘 맞고 기존 의전원처럼 일반대 졸업자가 진학해 면허를 따고 임상현장으로 가는 사례도 거를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김하일 KAIST 의과학대학원장은 “과기의전원 설립은 대통령이 결정을 내릴 사안”이라며 “의대 정원을 추가해주면 복지부에서 과기정통부로 정원을 이관하면 되고 빠르면 2027년 개원도 가능할 것”이라고 말했다.

그는 또 “현재 의대생들은 바이오 분야에만 특화돼 공학분야는 경쟁력이 떨어져 기존 의료계에서는 의사과학자 양성이 사실상 불가능하다”면서 “이런 측면에서 KAIST와 같은 과학특성화대학과 역할을 분담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주무부처인 보건복지부는 아직까지는 원론적 입장을 견지하고 있다. 보건복지부는 관계자는 “KAIST와 포스텍이 요구하는 과학기술의학전문대학원 설립 의지는 잘 알고 있다”며 “의협에서 주장하는 의사면허를 가진 사람이 과기의전원에 입학하게 한다는 것은 여러 대안 중 하나에 불과하다”고 말했다.

이어 “의대정원 확대와 맞물려 과기의전원 설립 논의를 지속할 계획”이라고 덧붙였다.



nbgkoo@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문채원,“비위생적·안 씻는다” 루머 유포자 추가 고소
▶ “애들 간식에 세균이 득실득실” 이 탕후루 먹지 마세요
▶ “그럼 구경만 혀?” 백종원, 쓰러진 종업원 ‘심폐소생’ 구하고 한 말이
▶ ‘국내 1호’ 女비뇨기과 전문의, 머슬마니아 대회 2번째 입상 “환자에게도 자극”
▶ 송중기 "100일 된 아들, 입술 닮았다…케이티와 육아 중"
▶ 안연홍, 중견 사업가와 재혼…결혼식은 비공개
▶ “김기현 쫓겨나겠네”…조수진 의원·김성호 부원장 카톡 대화 논란
▶ 의자 등받이 끝까지 젖힌 ‘고속버스 민폐녀’ 적반하장
▶ “시끄러워”…女 BJ 방송에 짜증 폭발 이웃집 쪽지 붙였다
▶ 유럽파 다 불러와 겨우 베트남과?…클린스만호, 소 잡는 칼로 닭 잡나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44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5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