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서 대박난 AI 여자친구 카린, 한국선?…AI윤리 걱정 스타트업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美서 대박난 AI 여자친구 카린, 한국선?…AI윤리 걱정 스타트업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5회 작성일 23-07-18 05:32

본문

뉴스 기사
- 노골적인 성 관련 대화 요구 논란에도 미국선 인기
- 국내선 쉽지 않아..보수적인데다 인증제도 까다로워
- 스타트업들, 선정성, 편향성 논란 걱정
- AI윤리에 둔감한 프랑스 허깅페이스
- 진단키트나 찾아오는 변호사 서비스 해달라


[이데일리 김현아 기자]

美서 대박난 AI 여자친구 카린, 한국선?…AI윤리 걱정 스타트업
미국의 여성 인플루언서인 카린 마저리23가 GPT-4 응용프로그램으로 만든 AI 음성 챗봇인 ‘카린 AI’.
1분에 1달러1267원짜리 음성 챗봇 서비스인데, 출시 첫주에 10만달러1억 2670만원가 넘는 매출을 기록했다. 이용자 중 98%는 남성이며, 서비스 이용 대기자가 수천 명 수준으로 전해진다.


미국에서 대박 행진을 이어가는 AI 여자친구 ‘카린’ 같은 AI챗봇이 한국서도 나올 수 있을까.

‘카린AI’는 미국에서 팔로워 185만명을 가진 인플루언서 카린 마저리가 오픈AI의 GPT-4 응용프로그램에 자신의 음성과 성격 등을 학습시켜 만든 AI음성 챗봇이다. 출시 첫주에 10만 달러1억2670만원가 넘는 매출을 올리는 등 인기지만, AI여자친구라는 컨셉이 ‘선정성’ 논란에 휘말렸다. 노골적인 성 관련 대화를 요구하는 사람도 있어서다.

그런데, 우리나라에선 ‘카린AI’ 같은 서비스를 스타트업이 내놓기는 불가능한 현실이다. 미국보다 보수적이고, 미성년자 인증제도가 까다로운 이유에서다.

19금 ‘선정성’ 고민돼요

지난 10일 서울대 인공지능 정책 이니셔티브가 네이버와 함께 주최한 ‘신뢰가능한 초거대AI: 플랫폼과 스타트업간 협력’ 세미나에서 이크림 김선엽 대표는 “AI보조 작가 서비스를 하는데 재미를 추구하니 몇 가지 고민이 있다”면서 “소위 막장 드라마가 인기인데 이를 프롬프트로 입력하면 엔진 자체가 부정적이 될 수 있어 이를 조절할 방법이 고민”이라고 했다.

그러면서 “최근엔 게임 업체와 협업할 기회가 있었는데, 인공지능으로 19금 스토리를 만들어달라는 것이었다”면서 “회사 모토와 달라 거절했으나 선정성에 어디까지 한계를 둬야 할지 고민”이라고 했다. 그는 “편향성도 걱정된다. 작가들이 표절을 날카롭게 생각해 저작권은 항상 신경 쓴다”고 했다.

PS23071800061.jpg
혐오발언과 개인정보 무단 활용 논란으로 서비스가 종료된 국산 AI챗봇 ‘이루다’
PS23071800062.jpg
[이데일리 이동훈 기자]

텔레그램으로 갈까?…AI윤리에 둔감한 허깅페이스


또 다른 스타트업 관계자는 “우리나라에선 미성년자 인증제도가 까다로워 인증시 구글 아이디를 쓰게 됐다”면서 “네이버나 카카오 플랫폼이 아닌 텔레그램에서 챗봇 서비스를 준비하는 곳도 있다”고 전했다.

방송통신위원회나 개인정보보호위원회가 미성년자 인증제도나 개인정보 활용을 엄격하게 보는데, 국내 기업이 타깃이 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2021년 스캐터랩이 개발한 ‘이루다’는 편향성 논란에 시달리다 개인정보위원회로부터 ‘카카오톡 대화’를 무단 수집했다는 이유로 1억330만원의 과징금을 받기도 했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들은 방을 폭파하면 복구되지 않고 보안이 강력한 텔레그램에서 챗봇 서비스를 준비하기도 한다. AI윤리 부담은 줄어드는 반면, 지적재산권은 지킬 수 있다는 시각 때문이다.

반면 인공지능 모델계의 깃허브프로그램 공유 사이트로 불리는 허깅페이스Hugging Face는 AI 윤리를 크게 신경쓰지 않는다.

허깅페이스 출신인 조은서 박사는 “허깅페이스는 프랑스에서 창업해 2조 달러의 기업가치를 가진 오픈소스 플랫폼”이라면서 “20만 개 정도의 AI 모델이 오픈소스로 제공되는데, 이중 콘텐츠가 문제 되는 모델들도 올라오나 체크할 방법이 없다”고 전했다.

진단키트나 찾아오는 변호사 서비스를

국내 스타트업들은 AI윤리가이드라인 준수 여부를 스타트업들이 스스로 테스트해볼 수 있는 진단키트나, 찾아오는 변호사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입을 모았다. 스타트업들의 서비스는 규제 샌드박스를 통해 ‘일단 해보도록’ 허용해 달라고도 했다.

김선엽 대표는 “국회에 올라간 AI법안에는 정부가 윤리원칙을 제정해 공포할 수 있게 돼 있는데 그것만 지키면 되는 가 의문도 있다”면서 “지금은 기술과 서비스에 집중하나 앞으론 윤리가 사업에 가장 발목을 잡을 것 같다. 스타트업들의 서비스는 규제샌드박스에 넣어 일단 보호해 달라”고 했다. 이어 “비즈니스 모델별로, 카테고리별로 윤리에 대한 정의가 필요하다. 진단키트가 있었으면 한다”고 부연했다.

류덕민 앱플랫폼 소장은 “시골에 가면 변호사님들이 동사무소에 소속돼 멘토를 해주는 프로그램이 있다고 하더라”면서 “스타트업들은 자문받을 곳이 없으니 ‘찾아오는 변호사 서비스’나, ‘AI윤리 인증 프로그램’이 있었으면”이라고 말했다.

임용 서울대 인공지능 정책 이니셔티브 디렉터서울대 법학전문대학원 교수는 “법률 자문 바우처도 생각할 수 있겠다”고 말했다.

박상철 서울대 교수는 “AI윤리에 대해 정부가 많은 검토를 하는 것으로 안다”면서 “우리의 AI법은 EU식이 아니라 맥락을 중시하는 영국과 스위스, 일본, 미국식으로 가야 한다”고 언급했다. 그러면서 “모두 자율에 맡기자는 건 아니다. 법적 규제는 핀셋형으로 집어서 하는 게 중요하다. 중요한 것은 생성형 AI를 활용한 일상보조, 문명 소멸 문제 해결이 아닌가”라고 했다.

▶ 관련기사 ◀
☞ 반지하·지하차도·지하주차장…장마 때마다 ‘지하포비아
☞ 정말 10원 때문인가…82세 할머니, 왜 사이다농약 건넸나[그해 오늘]
☞ “계약 해지됐는데” 송도 호텔 무단 영업…뒷짐 진 iH
☞ 송혜교 측 집 공사 중 주민 차량 파손…안전관리 미흡 사과 [공식]
☞ 실적 바닥에 고점 높이는 ‘7만 전자…상승랠리 시작되나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현아 chaos@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6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0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