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만 2000년 전 원시인은 이것으로 피리 만들었다 [와우! 과학]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1만 2000년 전 원시인은 이것으로 피리 만들었다 [와우! 과학]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13회 작성일 23-06-19 10:31

본문

뉴스 기사
[서울신문 나우뉴스]소리는 내는 동물은 많지만, 인간처럼 감정을 표현하고 느낌을 전달하기 위해 소리를 내는 동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악기라는 도구를 사용해 정교한 음악을 만드는 것 역시 인간의 고유한 특징이다. 새나 곤충이 내는 소리 역시 아름답지만, 창의적인 생각과 감정이 아니라 짝짓기나 기타 이유로 내는 본능적인 소리라는 점에서 인간의 음악과 다르다.

인류의 조상이 언제부터 악기를 만들고 음악을 연주했는지는 알 수 없다. 나무나 돌, 뼈를 이용한 원시적인 악기는 대부분 흔적 없이 사라지기 때문이다. 하지만 동물의 뼈로 만든 악기의 경우 나무나 동물 가죽보다 보존될 가능성이 높고 다른 형태의 도구와 확연히 달라 구분하기 쉽다. 과학자들은 세계 여러 지역에서 발굴된 뼈 피리를 통해 인류의 악기 연주가 구석기 시대부터 시작되었음을 확인했다.

최근 이스라엘과 미국 연구팀은 이스라엘 북부에 위치한 에이난-말라하Eynan-Mallaha의 나투피안 문화Natufian culture 유적지에서 새의 뼈로 만든 피리 7개를 발굴했다.사진 나투피안 문화는 1만 5000~1만 1500년 사이 레반트팔레스타인과 시리아, 요르단, 레바논 등이 있는 지역 지역에 발달한 초기 신석기 문화다.

피리를 만드는 데 쓰인 뼈는 대부분 유라시안 쇠오리나 유라시안 물닭처럼 크기가 어느 정도 크면서 주변에서 쉽게 잡을 수 있는 사냥감이었다. 연구팀은 여러 개의 뼈로 만들어진 뼈 피리가 정교하게 가다듬어져 있을 뿐 아니라 손가락으로 막는 구멍의 위치까지 연주에 적합하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이 뼈 피리를 만든 사람이 여러 번의 시행착오를 거쳐 정확히 의도한 소리를 내는 악기를 만들었다는 점을 시사하는 부분이다.

새의 뼈는 길고 속이 비어 있어 악기로 만들기에 가장 적합한 동물 뼈다. 따라서 유럽에서 새의 뼈로 만든 선사 시대 뼈 피리는 다수 발견됐다. 하지만 레반트 지역에서는 이번에 발견된 것이 가장 오래된 것으로 거리와 시기를 생각하면 나투피안 문화의 독자적인 악기 발명으로 보인다.

당연히 피리 소리가 궁금할 수 있는데, 연구팀 역시 복원 상태가 우수한 피리를 이용해 소리를 복원했다. 그 결과 이 피리는 새의 노랫소리처럼 고음의 소리를 내는 데 적합한 악기로 드러났다. 연구팀은 다른 새를 유인하는 데 사용했거나 먼 거리에 있는 사람과 신호를 주고받는 데 사용했을 것으로 추정했다.

물론 악기가 내는 소리는 연주자의 의도와 실력에 따라 천차만별로 달라지는 만큼 이들이 무엇을 연주했는지는 알 수 없다. 어쩌면 선사 시대 원시인들이 현대인도 감탄할 만한 음악을 연주했을 가능성도 배제할 수 없다. 그리고 발굴되지 않은 다른 악기와 함께 음악을 연주하고 이에 맞춰 노래를 부르고 춤을 췄을지도 모른다. 오래 전 선사 시대 인류의 희로애락 역시 우리와 크게 다르지 않았을 것이다.


고든 정 과학 칼럼니스트 jjy0501@naver.com

[ 관련기사 ]

☞ 실종된 22살 伊 여성, 9년 만에 발견된 곳은 아파트 벽 안
☞ “한국남자와 사귄다”…태국 아내의 질투심 유발이 비극 낳았다 [여기는 동남아]
☞ 놀다 주웠는데 ‘유물’…노르웨이 8세 소녀, 3700년 전 단검 발견
☞ 현대판 몸종?…월 2700만 원 ‘가사도우미’ 채용 논란 그후 [여기는 중국]
☞ 공항 엘리베이터서 실종 女, 사흘 뒤 시신 발견 장소는? [여기는 동남아]


나우뉴스 nownews.seoul.co.kr [ 페이스북] [ 군사·무기] [ 별별남녀] [ 기상천외 중국]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554
어제
0
최대
2,563
전체
440,87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