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화이자 독점 나노약물 전달기술, 나노종합기술원 국산화 성공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美 화이자 독점 나노약물 전달기술, 나노종합기술원 국산화 성공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6회 작성일 23-09-11 09:24

본문

뉴스 기사
- 반도체 공정기술 적용, 첨단바이오 제품개발 활용


美 화이자 독점 나노약물 전달기술, 나노종합기술원 국산화 성공
나노종합기술원과 ㈜케이런은 유체 혼합장치를 이용한 유체 혼합방법 기술이전 협약식을 체결했다.[나노종합기술원 제공]

[헤럴드경제=구본혁 기자] 나노종합기술원은 국내 바이오 벤처기업 ㈜케이런과 함께 mRNA 전달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제품 상용화에 성공했다고 11일 밝혔다.

이 제품은 고균질과 초고속으로 유전자와 약물 탑재가 가능한 지질 나노입자를 생산할 수 있는 제품으로 국내 최초로 반도체 공정기술이 적용됐다. 지질 나노입자는 코로나19 백신 개발에 적용됐으며, 암 등 다양한 분야에 적용이 가능한 신약 제형으로 주목받고 있다.

그동안 지질 나노입자 제형 시스템 시장은 미국 모더나, 화이자 등이 독점하고 있었는데 이번 기술개발을 통해 국산화 뿐만 아니라 해외진출도 가능할 전망이다.

케이런은 2015년에 설립된 벤처기업으로 나노종합기술원의 반도체 공정기술 적용 미세유체 제어 기술을 활용, 지질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제품개발에 나섰다.

20230911000142_0.jpg
유전자 전달용 나노입자 제조 디바이스 및 시스템 제품.[나노종합기술원 제공]

케이런은 유전자 및 약물 도입 편의성 확보, 입도의 균질성과 고속 생산성의 강점을 갖는 제품개발에 성공, 개발 제품은 신변종 감염병 대응 백신개발 및 유전자 기반 암치료 분야 등에 폭넓게 활용될 전망이다.

케이런은 제품개발 성공 이후 국내 연구기관과 해외 글로벌 바이오기업에 시제품을 납품하고, 국내뿐만 아니라 해외시장 개척 등 본격적인 사업화 추진을 위해 나노종합기술원과 기술이전 협약을 체결하였다.

박흥수 나노종합기술원장은 “이번 성과는 나노기술과 바이오기술을 융합한 첨단바이오 분야의 성공적인 상용화 사례”라며 “반도체 기반 플랫폼기술을 활용하여 국가전략기술 개발과 상용화 지원을 강화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nbgkoo@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승리 아직도 클럽 다닌다"…출소 7개월만에 목격담
▶ “진짜 귀신인줄 알았다” 유모차 끌고 터널 걷던 女, 대체 무슨 일
▶ "김히어라 학폭 제보자 H, 오히려 가해자"…학폭논란 진실공방
▶ “너넨 그냥 짝퉁” 고려대·연세대 축제에 분교 향한 ‘막말’ 어쩌나
▶ 신동엽 대마초 구속 사건 언급…"출소 전 美서 요양"
▶ 사생활 유출 피해 한성주, 12년 만에 공식석상…고대 치어리딩 등장
▶ 서동주 "父서세원과 10년간 연락 안해…밉고 그리워" 눈물
▶ ‘서현역 흉기 난동’ 최원종, 언론에 편지…“구치소 벌써 괴로워"
▶ ‘외설 논란 경찰 소환’ 화사 “조사 성실히 임했다”
▶ 블랙핑크 로제, 음바페·해밀턴 선수와 여행 모델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351
어제
812
최대
2,563
전체
422,88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