크로네·렘켄, 에이펙스 SW로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 추진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크로네·렘켄, 에이펙스 SW로 자율주행 농기계 개발 추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6회 작성일 23-08-31 10:31

본문

뉴스 기사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는 크로네Krone·렘켄Lemken과 상용화 가능한 자율주행 농기계의 공동 제품 개발 프로젝트를 진행한다고 31일 밝혔다.

에이펙스에이아이는 모빌리티 및 자율주행 애플리케이션을 위한 안전 인증 기반의 소프트웨어 개발 기업이다. 크로네는 농기계 및 정밀 농업 기술 제조사다. 렘켄은 경작·파종 및 지속 가능한 작물 관리를 위한 기계 제조사다.

에이펙스에이아이에이펙스에이아이와 크로네·렘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자율주행 농기계 콘셉트 차량 / 에이펙스에이아이

에이펙스에이아이에이펙스에이아이와 크로네·렘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자율주행 농기계 콘셉트 차량 / 에이펙스에이아이

크로네와 렘켄이 개발한 콤바인드 파워Combined Powers 콘셉트 차량은 쟁기질, 경운, 파종, 예초, 회전, 스와스swath 작업이 가능한 스마트 자율 주행 장치이다. 양사는 현재 Apex.Grace와 Apex.Ida로 구성된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소프트웨어 개발 키트SDK를 활용해 이 콘셉트 캐리어 차량을 프로토타입 단계에서 양산 단계로 전환하고 있다.

농부들은 가용 작업 역량을 최대한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디지털화 및 자동화에 점점 더 의존하고 있다. 가축 사육을 지원하는 로봇이나 경작지에서 고도로 자율적으로 작업하는 농기계와 같은 혁신 기술의 활용을 점차 늘리는 추세다.

에이펙스는 현장에서 이미 성능이 입증된 상용 콤바인드 파워 차량이 향후 농부들의 시간을 절약하고 정확한 작업 품질을 유지할 수 있게 해줄 것이라고 설명했다.

콤바인드 파워 아키텍처의 핵심 소프트웨어 기능은 로봇 운영 체제인 ROSRobot OS를 기반으로 한다. 이는 에이펙스에이아이 소프트웨어를 콤바인드 파워 제품의 후속 양산화 개발에 이상적인 요소가 될 수 있다.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와 크로네·렘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자율주행 농기계 콘셉트 차량 / 에이펙스에이아이

에이펙스에이아이Apex.AI와 크로네·렘켄이 공동으로 개발하는 자율주행 농기계 콘셉트 차량 / 에이펙스에이아이

얀 베커Jan Becker 에이펙스에이아이 CEO는 "에이펙스에이아이는 자율주행 시대를 위한 운영 소프트웨어를 구축하고 있다"며 "크로네 및 렘켄과의 협력은 우리 모두에게 윈윈이며, Apex.Grace와 Apex.Ida로 구성된 에이펙스에이아이 개발 환경은 크로네와 렘켄의 캐리어 차량 앱을 위한 완벽한 기반이 될 것이다"라고 기대했다.

크로네의 개발자 마누엘 볼크Manuel Volk는 "에이펙스에이아이와 협력하면서, 우리는 ROS 및 ROS 2 기반 개발 솔루션으로부터 Apex.Grace 기반 시리즈 솔루션으로 전환하고 보안 기능을 구현할 수 있는 기회가 있다는 점을 알게 됐다"며 "많은 개발자가 이전 ROS 및 ROS 2 작업을 통해 에이펙스에이아이 SDK의 개념과 도구에 익숙하기 때문에 회사 내 학습 곡선 역시 빨라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렘켄의 개발자 미하엘 니엔하우스Michael Nienhaus는 "에이펙스에이아이를 사용하면 사용 중인 하드웨어로부터 크게 독립적인 앱을 개발할 수 있어 개발 프로세스를 가속화할 뿐 아니라 복잡성도 줄일 수 있다"고 말했다.

에이펙스에이아이는 독일에 뿌리를 둔 미국 기업으로서 자율주행 차량용 운영체제 개발에 특화돼 있다. AGCO와 폭스바겐 MOIA 등 농업 및 자동차 분야에 다양한 파트너사를 보유했다. 에이펙스에이아이의 애자일 방식의 재연 가능한 SDK를 통해 고객은 소프트웨어 개발 속도를 크게 높일 수 있으며, 개별 앱에 맞게 맞춤화 할 수 있다.

이광영 기자 gwang0e@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30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8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