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바이러스 변이, 폐 면역반응 알아냈다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코로나바이러스 변이, 폐 면역반응 알아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5회 작성일 23-07-12 12:01

본문

뉴스 기사
생명연 연구팀 “신?변종 감염병 면역기전 연구에 활용 ”

[아이뉴스24 정종오 기자] 한국생명공학연구원원장 김장성은 국가영장류센터 홍정주 박사 연구팀이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주로 인한 폐 미세구조의 국소 면역반응을 최초로 규명하는 데 성공하였다고 12일 발표했다.

이를 통해 향후 코로나바이러스와 같은 신#x2027;변종 감염병의 면역기전 연구에 필요한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코로나19의 원인체인 SARS-CoV-2 바이러스는 2019년 처음 출현한 이후로 알파, 베타, 델타, 오미크론 등 여러 차례 변이주가 출현했다. 변이주가 유행하면 감염경로나 병변에 관한 관심은 높았는데 변이주 감염에 의한 면역반응의 변화에 관한 연구는 미비했다.

코로나바이러스 변이, 폐 면역반응 알아냈다
연구팀은 영장류 감염모델을 이용해 폐 내의 폐포, 세기관지, 혈관 세부위의 코로나바이러스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반응을 직접 관찰했다. [사진=생명연]

가장 최근의 변이주인 오미크론은 이전과 비교하면 상부 호흡기관인 기관지에서 더 잘 증식하는 반면, 폐의 실질조직인 폐포허파꽈리에서는 증식력이 떨어지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로 인해 폐에서 바이러스에 의해 유도되는 염증성 사이토카인이 낮아져 임상 증상이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같은 사실들은 환자의 비강 샘플 또는 폐를 부검해 만든 샘플을 통해 확인한 결과이다. 전반적 염증반응을 반영할 순 있는데 바이러스 감염 부위의 면역반응을 직접 확인한 것과 어느 정도 차이가 있을 수 있다.

코로나바이러스는 폐에서 균일하게 분포하지 않기 때문에 감염 부위를 직접 확인하지 않으면 면역반응의 변화를 확인하기가 더욱 어려운 것이 사실이다.

연구팀은 영장류 감염모델을 이용해 폐 내의 폐포, 세기관지, 혈관 세부위의 코로나바이러스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주에 대한 반응을 직접 관찰했다.

그 결과 텔타와 오미크론 변이주에 감염된 폐 모두에서는 염증, 사이토카인, 보체, 세포 손상, 세포증식, 세포 분화 경로에 관여하는 유전자가 증가했다.

바이러스 숙주 반응 경로의 유전자 대부분이 모든 미세조직구조에서 공통으로 발현된다는 사실을 알아냈다.

델타 변이주에 감염된 경우, 세기관지에서 면역반응이나 세포 손상과 관련한 일부 유전자들이 오미크론 변이주에 의한 감염에 비해 높게 발현된다는 것을 공간전사체 분석을 통해 확인했다.

세부위의 미세구조에서 세포 구성을 분석한 결과 델타와 오미크론 변이주에 감염된 폐 모두에서 대식세포, 수지상 세포, B세포, T세포, NK세포와 같은 면역 관련 세포들이 침윤된 것을 발견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계속된 변이에도 병리학적 측면에서의 면역반응의 차이는 크게 다르지 않다는 것을 의미한다. 기존 면역을 억제하는 치료 전략이 앞으로의 새로운 변이에도 유효할 수 있다는 의미이다.

홍정주 박사는 “사람과 계통학적으로 가장 가까운 영장류를 활용해 코로나바이러스 변이주에 의한 폐 내 국소 면역반응을 분자적 수준에서 규명한 것”이라며 “변이주 별로 면역 관련 유전자 발현이 질병의 경과에 영향을 미칠 가능성을 제시했다”고 설명했다.

이어 “후속 연구를 통해 앞으로 나타날 변이주나 신변종 감염병에 의한 감염의 진단, 치료전략 개발에 이바지하고 식약처와 같은 승인기관에 전임상 데이터로도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해당 연구팀은 2020년 세계 4번째로 코로나19 영장류 감염모델 제작에 성공하며 코로나19 백신과 치료제 개발물질에 대한 전임상 시험을 지원한 바 있다.

SK바이오사이언스, 셀트리온을 비롯한 13건의 백신·치료제 후보물질에 대한 효능평가를 수행해 우리나라 백신#x2027;치료제 주권확보에 이바지했다.

이번 연구논문명 : Comparative spatial transcriptomic profiling of severe acute respiratory syndrome coronavirus 2 Delta and Omicron variants infections in the lungs of cynomolgus macaques / 교신저자 : 홍정주 박사 / 제1저자 : 오태환 박사는 6월 29일 발행된 바이러스 분야 국제저널 ‘Journal of Medical Virology’ 최신 호에 표지논문으로 실렸다.

/정종오 기자ikokid@inews24.com

[관련기사]

▶ 유통 라이벌 롯데·신세계, 각자 다른 길 걷는 이유

▶ "최악 지났다" 잠실서 거래량 폭발

▶ 흠집에 4000만원 요구했던 포르쉐 차주…"글 내리면 1000만원"

▶ 삼성·SK, 日서 반도체 투자 확대하는 까닭

▶ "현대차·삼성 그렇게 무시하더니"…中, 한한령에 韓 기업 무덤됐다

▶ [특징주] 금양그린파워, 尹 신규 원전 공식화…한수원과 SMR 공동 사업 강세

▶ 호실적 이끈 조주완, LG전자 체질 바꾼다…사업 포트폴리오 변화 예고

▶ 주파수 가격 1/3로 대폭 할인…정부, 제4이통 유치 사활종합

▶ 서울 압구정 아파트, 50층 1만1천800세대 규모 주거단지 탈바꿈

▶ 정의선 현대차 회장이 반도체 분야에 직접 공들이는 까닭

/* iframe resize for nate news */ function${ setYoutube; function setYoutube { iftypeof frmTarget !=undefined{ frmTarget.findiframe, object.eachfunction idx { $this.css{height: parseInt$this.width / 1.8}; window.parent.postMessage{ method: fnct, name: callFnct, property: {target: youtube_resize_iframe, elementClass: .frameMV, height: parseInt$this.width / 1.8, idx: idx} }, *; }; } } }jQuery;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41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1,06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