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대병원, 이것 활용해 치매·파킨슨병 예측 가능성 파악
페이지 정보
본문
발병 시기 및 유형 예측 정확도 우수...렘수면행동장애 예후 개선 효과 기대
[파이낸셜뉴스] 렘수면행동장애 치료의 난제로 여겨졌던 신경퇴행성질환 발병을 예측할 실마리가 제시됐다. 서울대병원 신경과 정기영·김한준·강동경희대병원 변정익 교수팀은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뇌파를 활용해 신경퇴행성질환 발병 시기와 유형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개발했다고 2일 발표했다. 노인성 잠꼬대로도 불리는 렘수면행동장애는 꿈속의 행동이 현실로 표출되면서 자는 동안 소리를 지르거나 몸부림치는 행동이 나타나는 수면장애다. 매년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6%는 치매, 파킨슨병 등 ‘신경퇴행성질환’으로 진행된다고 알려졌는데 언제, 어떤 유형으로 발병할지는 예측하기 어려웠다. 연구팀은 먼저 서울대병원에서 수면다원검사를 받은 렘수면장애 환자 233명을 최대 9년간 추적 관찰해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군과 미발병군으로 구분하고 이들의 뇌파 특성을 비교분석했다. 이후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과 연관된 뇌파를 사용해 첫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까지 걸린 시간을 예측하는 머신러닝 모델을 설계했다. 테스트 결과, 예측 성능을 나타내는 IBS낮을수록 우수와 C-index높을수록 우수 수치는 각각 0.113, 0.721로 우수했다. 추가로 연구팀은 발병군의 뇌파만 분석해 렘수면행동장애가 ‘치매인지기능 이상’ 또는 ‘파킨슨병운동기능 이상’ 중 어느 유형으로 진행할지 분류하는 머신러닝 모델도 설계했다. 그 결과, 예측 성능을 나타내는 AUROC곡선아래면적 수치는 0.901로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신경퇴행성질환 발병 시기 및 유형 예측 머신러닝 모델은 공통적으로 ‘뇌파 둔화’ 관련된 특성의 중요성이 높았다. 뇌파는 저주파델타파, 세타파가 증가하거나 고주파감마파, 베타파가 감소할 경우 둔화된다. 신경퇴행성질환 ‘발병군’은 미발병군보다 뇌파가 둔화됐고, 발병군 중에서는 ‘치매’가 파킨슨병보다 뇌파가 둔화되는 양상을 보였다. 뇌파검사로 확인된 느린 뇌파 양상은 신경퇴행의 시작을 의미하므로, 주의가 필요하다는 것이 연구팀의 설명이다. 이 연구 결과는 대규모 코호트에서 ‘뇌파’를 활용해 예측하기 어려웠던 렘수면행동장애 환자의 예후를 일찍이 파악할 수 있다는 가능성을 제시해 의미가 크다고 연구팀은 강조했다. 정 교수는 “이번 연구에서 인공지능 기술 기반으로 개발된 신경퇴행성질환 예측 모델을 활용하면 의료진은 렘수면행동장애 환자 중 치료가 필요한 대상을 조기 선별하고, 환자는 맞춤형 진료를 받을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camila@fnnews.com 강규민 기자 Copyright? 파이낸셜뉴스.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파이낸셜뉴스 핫뉴스] → "박정희, 제자와 성관계를..." 총선 후보 발언 근거가... → 김지민, 의미심장한 발언 "김준호랑 헤어지게 되면 나는..." → "男후배 90분간 뺨 때렸다" 폭로에 배우 송하윤 "기억이..." → 여가수 "난 참젖 모유 많아 로켓 발사..." 발언에 발칵 → "언니 죽었는데 외숙모가 제주 여행 가서는..." 사연 |
관련링크
- 이전글SK C&C, CJ대한통운 디지털 택배체계 구축 24.04.02
- 다음글유유제약, 동남아 본격 공략…유힐릭스 필리핀·미얀마 허가 24.04.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