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스타트업 꼼수 MA 노리는 빅테크…칼과 방패, 승자는?
페이지 정보
본문
- [진화하는 美 빅테크 AI확장]②
- AI 독과점 저격하는 세계 경쟁당국 칼 - 수많은 소송에 더 단단해진 빅테크 방패 - AI 지배력 키우는 MS·구글·아마존 빅테크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세계 1위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인 페이스북의 인스타그램2012년 10억달러, 왓츠앱2014년 160억달러 인수는 글로벌 경쟁 당국의 뼈아픈 실책으로 남아 있다. 페이스북이 잠재적 경쟁자를 인수하면서 경쟁자의 싹을 잘라버리고 시장지배력을 공고히 했던 사건이기 때문이다. 이 3개 회사의 모회사인 메타는 세계인구80억명 절반 이상의 가입자를 확보한 확고한 시장지배적 사업자 지위를 굳혔다. 뒤늦게 미 연방거래위원회FTC는 잠재적 경쟁자를 인수하는 것을 막는 새로운 기업결합Mamp;A 가이드라인을 만들고 2022년 반독점 소송을 제기했지만, 과거에 이뤄진 Mamp;A를 새로운 규정으로 막을 수 없다는 게 대체적인 반독점 전문가들의 진단이다.
경쟁당국의 반독점 ‘칼’이 날카로워질수록 빅테크들의 ‘방패’도 보다 단단해지고 있다. 인공지능AI이 미래를 지배할 핵심기술이 될 것이라는 전망에 빅테크들은 AI스타트업을 인수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낼 수 있는 새로운 방안을 고안했다. 투자하되 이사회에 참여하지 않으면서 독과점 우려를 판단할 수 있는 Mamp;A 심사를 회피하는 방식이다. 대표적인 게 마이크로소프트MS의 오픈AI 투자다. 외형적으론 Mamp;A가 아닌 투자를 통한 전략적 제휴다. 오픈AI는 크게 비영리재단인 ‘오픈AI’가 영리회사인 ‘오픈AI 글로벌’을 지배하는 독특한 지배구조 형태를 띠고 있다. 이중 MS는 영리회사인 오픈AI 글로벌에 130억달러를 투자하면서 49% 지분을 보유하고 있다. 이 영리법인의 통제권이사 임명, 수익배분 등은 비영리 재단이 만든 오픈AI GP관리법인가 갖고 있다. MS가 투자하고 49% 지분을 얻고 있지만, 실질적으로는 비영리재단이 지배하는 구조다. MS의 주장대로 두 회사는 형식적으로 독립성을 유지하고 있다. 하지만 오픈AI의 챗GPT 기술은 사실상 MS가 온전히 사용하면서 시장 지배력을 키우고 있다. MS는 챗GPT를 적용해 검색엔진 ‘빙bing’을 업그레이드 시켰고, MS의 소프트웨어인 ‘오피스’와 ‘윈도’에도 확대 적용하고 있다. 오픈AI의 샘 올트먼 최고경영자CEO와 사티아 나델라 MS CEO 간 긴밀한 협력도 이뤄지고 있다. 지난해 11월 올트먼이 오픈AI에서 축출된 후 복귀하는 과정에서 나델라는 상당한 영향력을 발휘하기도 했다. 경쟁당국이 사실상 계열관계로 볼 수 있는 파트너십이라고 의심한 배경이다. 그럼에도 블룸버그통신에 따르면 유럽집행위원회 경쟁총국은 이번 제휴가 Mamp;A에 해당하지 않기 때문에 공식적인 조사를 할 필요가 없다고 결정한 것으로 전해진다. 통상 일정 규모 이상매수인, 대상기업 중 EU 역내 매출액 5억유로 이상의 Mamp;A가 이뤄지면 인수기업의 피인수기업에 대한 지배력영향력 여부와 관련한 경쟁당국의 심사를 받아야 하는데, 현행 반독점 Mamp;A 규정으로는 한계가 있기 때문이다. 인수회사가 피인수회사 이사회에 참여해 지배력을 행사하는 등 증거가 명백하게 드러나야 하지만, MS는 참관인옵서버 자격으로만 참여하고 있어 입증이 쉽지 않다. 과거 인터넷 브라우저인 ‘인터넷 익스플로러’를 윈도에 기본적으로 탑재해 판매한 혐의로 반독점 소송을 당하면서 사업이 휘청하자, 법무팀을 강화하는 등 철저히 대비한 덕분이다. 블룸버그 보도가 사실로 최종 확정될 경우 MS와 미국의 빅테크들은 한숨을 돌리게 됐다. 세계 최대 클라우드 컴퓨팅 제공업체인 마이크로소프트, 아마존닷컴, 알파벳의 구글은 최근 몇 년 동안 AI 스타트업에 적극적으로 투자하면서 Mamp;A 심사를 회피하고 있기 때문이다. 오픈AI의 경쟁사 앤트로픽은 아마존으로부터 40억달러의 투자를 유치했으며, 구글은 2021년 AI 업체인 코히어와 파트너십을 맺었다. AI시대에도 빅테크들의 시장지배력이 보다 확대될 가능성이 크지만, 이번 EU의 결정으로 반독점 조사 가능성을 낮추게 됐다.
물론 경쟁당국의 AI 독과점 감시는 여전히 현재 진행형이다. EU 외에도 미국 연방거래위원회FTC와 법무부 반독점국, 영국 경쟁시장청CMA은 여전히 빅테크와 AI업체간 파트너십을 주시하고 있다. 특히 MS가 오픈AI와 경쟁하는 인플렉션AI의 창업자를 비롯해 핵심인재를 영입하면서 사실상 Mamp;A 효과를 본 점도 논란거리다. 스타파 술레이만 인플렉션 AI 창업자는 2010년 데미스 허사비스 등과 함께 ‘알파고’를 탄생시킨 딥마인드를 창립한 멤버로, MS의 AI 연구·개발을 전담하는 조직 ‘MS AI’를 이끈다. 인플렉션을 인수할 경우 혹독한 Mamp;A 심사를 받아야 하지만, 이 회사의 인력을 대거 영입하는 방식으로 이를 회피한 것이다. 이와 관련 마르그레테 베스타게르 유럽연합EU 경쟁 담당 집행위원은 지난 4일 “우린 이 같은 일이 우리의 통상적인 감시에서 벗어나기 위한 방식으로 발생하고 있다는 것에 주목했다”며 “이런 일이 트렌드가 되고 Mamp;A 규정을 우회하는 것으로 보인다면 당연히 원상 복구·시정될 것”이라고 경고했다. ▶ 관련기사 ◀ ☞ “공무원이잖아요”…피해자 감동케 한 수사관의 한마디[따전소] ☞ 치킨회사 보고 있나?…떡볶이 팔아 매출 1천억 돌파한 회사 ☞ 12년 전 30억 사기치고 도주한 50대 男, 쿠웨이트서 강제송환 ☞ 제발 집 좀 사주세요…수백명 이곳 몰렸다, 왜? ☞ “살면서 처음 본다” 스님도 놀라…영덕 사찰서 발견된 이 생명체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김상윤 yoon@ |
관련링크
- 이전글네이버, 뉴스제휴평가위원회 재개 논의…1년 중단된 뉴스 입점 심사 다시 ... 24.04.18
- 다음글"게임성 하나로 맞붙는다"…넥슨, 웰메이드 IP로 서구권 승부수 24.04.1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