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가입증가율 첫 0%대…OTT 코드커팅에 먹구름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IPTV, 가입증가율 첫 0%대…OTT 코드커팅에 먹구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3회 작성일 24-05-16 16:37

본문

뉴스 기사
본문이미지
유료방송 반기별 가입자 증감률/그래픽=윤선정
IPTV인터넷TV의 반기 가입자 증가율이 처음으로 0%대에 진입하면서 통신업계의 고심은 점차 깊어질 전망이다. OTT온라인동영상서비스가 코드 커팅Cord-cutting·TV상품해지 현상을 가속하는 반면, 뚜렷한 돌파구는 보이지 않는다는 지적이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6일 지난해 하반기 유료방송 가입자·시장점유율을 공표하면서 IPTV의 직전 분기 대비 가입자 증가율이 0.54%를 기록했다고 밝혔다. 이 수치는 2020~2021년 3~4%대를 유지하다 2022년 상반기 2.61%, 하반기 1.79%로 떨어졌고 지난해 상반기 1.21%로 재차 내려앉았다. 그러고 지난해 하반기에는 1% 선마저 무너졌다. 이 추세대로라면 IPTV 가입자는 이르면 올 상반기나 하반기에 순 감소세로 접어들 전망이다. 나머지 유료방송 매체인 케이블TV·위성방송은 이미 2021년 하반기부터 나란히 매 반기 0.7~2%대 가입자 감소를 기록하고 있었다. 유료방송 전체 가입자는 그간 IPTV가 홀로 증가를 견인했다가 이 마저도 이번 통계부터 순 감소세로 돌아섰다.

IPTV의 성장세 둔화 원인과 위험요소로는 국내외 OTT의 시장잠식이 꼽힌다. 과기정통부의 2023 인터넷이용실태조사에 따르면 국내 인터넷 이용자 4775만여명은 82.3%가 OTT를 매일 시청한다고 답했고 이들의 주간 평균 OTT 시청시간은 6.9시간에 달했다. 이는 같은 해 문화체육관광부의 국민여가활동조사에서 나타난 평균 평일 여가 3.6시간의 상당 부분을 차지하는 수준이다. OTT는 구독자 확대에 이어 광고시청형 요금제로 광고시장 확보도 시도하고 있다. 국내 OTT 티빙은 이미 전체 가입자의 20%가 월 5500원의 광고시청형 요금제를 선택했다고 지난 9일 밝혔다.


블록버스터급 콘텐츠에 막대한 예산을 쏟는 OTT와 달리 IPTV는 금전적 지원사격을 기대하기 어렵다. IPTV의 운영주체인 국내 통신사들은 2020년대 들어 AI인공지능를 비롯한 통신 관련 신사업으로 주요 투자처를 전환했다. 정부는 지난해 9월 IPTV 3사SK브로드밴드·KT·LG유플러스에 7년 재허가를 결정할 때 직접 투자 정체 문제를 지적하며 매년 우수 콘텐츠에 대한 투자실적을 제출하라는 조건을 달았다.

관계부처와 학계에선 OTT의 약진으로 기존 방송 시청환경이 변화하는 데 대해 우려한다. 지난 3월 방송통신위원회의 2023 방송시장경쟁상황평가 자료에 따르면 OTT는 유료방송·방송광고 시장과 더불어 방송채널거래·방송프로그램거래 시장에도 영향을 줬고, 외주제작사·지상파·PP방송채널사용사업자간 시장에선 OTT의 등장으로 제작단가는 상승하면서도 전반적인 제작수요는 위축되고 있다. 이날 한국방송학회가 주최한 지속 가능한 유료방송 생태계 조성방안 세미나에서 하주석 인하대 교수는 "수년 안에 국내 채널·유료방송 사업의 쇠퇴 가능성이 높고, 방송산업 생태계가 붕괴할 우려가 있다"며 "실시간 방송생태계를 보호·육성하는 정책이 필요하다"고 밝혔다.

정부는 우선 방송 소유·투자 규제를 완화해 IPTV를 비롯한 유료방송 업계의 쇠퇴를 해소하겠다는 방침이지만, 기대효과는 예측하기 어렵고 제도 추진도 험로가 예상된다. 국무총리 자문기구가 지난 3월 내놓은 미디어·콘텐츠 산업융합 발전방안에는 외국인 등의 유료방송 지분 소유제한과 재허가·재승인 제도, 각종 광고 등을 폐지·완화하는 내용이 담겼지만, 상당 수는 법률개정이 필요한 데다 야권에선 반발 움직임을 보이고 있어서다. 국회의 한 보좌진은 "지상파 3사의 지배구조를 둘러싼 방송 3법을 두고 여야가 충돌 중인 만큼, 다른 법 개정은 상당 기간 지연될 수 있다"고 말했다.

[관련기사]
"술집 갔지만 술 안 마셨다"는 김호중… 김상혁·권상우·지나 재조명
김호중 뺑소니 그 시각… 소속사 대표·매니저 만취 상태
동료와 바람난 공무원 아내… 남편 역추적한 상간남 무죄
배아현 "아버지 정화조 일 몰랐다…무명 8년간 억대 금액 지원"
뉴진스님 윤성호 오열…"작년 눈 뜨기 싫었다, 유튜브 해킹 충격"
"김호중 사진 안 내리면 불매"… 뺑소니 파장, 광고계도 손절 시작
"밥 먹다 쓰러졌다" 교회서 사망한 여고생…두 손목 보호대, 몸에는 멍 자국
최재림, 18살 연상 박칼린과 열애설…"결혼했어도 두 달 내 이혼"
[르포]전기차 배터리, 이 회사 손에 이차전지로…정부도 엄지척
엔비디아발 훈풍에 SK하이닉스 신고가… 실적 발표까지 쭉?
정몽규, 4선 노림수?…AFC 집행위원 되자 들끓는 축구팬들
뺑소니 조사 받으면서 이런 말을?…김호중, 팬들에 한 당부 뭐길래
파타야 드럼통 살인 열 손가락 다 자른 이유 나왔다…사건의 전말
"살다 보면 그럴 수도 있지"... 뺑소니도 소용없는 김호중 팬카페
"5시에 결정" 판사봉에 달린 2000명 운명…정부 vs 의사들 꺼낼 카드는

성시호 기자 shsung@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441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95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