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가 폭락한 엔비디아 "딥시크, 추론에 더 많은 AI칩 필요할 것"
페이지 정보
본문
- 주가 17% 급락…하루 만에 시총 847조원 사라져
- "널리 사용가능한 모델과 수출통제 컴퓨팅 활용"
- "널리 사용가능한 모델과 수출통제 컴퓨팅 활용"
[뉴욕=이데일리 김상윤 특파원] “딥시크DeepSeek는 널리 사용 가능한 모델과 수출 통제 규정을 완전히 준수하는 컴퓨팅을 활용해 새로운 모델을 생성할 수 있는 방식을 보여줬다.”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 쇼크로 주가가 폭락한 엔비디아는 27일현지시간 딥시크 발전이 자사 칩의 중국 내 수요를 끌어올릴 것이고, 향후 딥시크의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더 많은 칩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로이터에 따르면 엔비디아는 이날 성명을 통해 딥시크가 훨씬 적은 수의 엔비디아칩을 사용해 생성형 AI 선두주자인 오픈AI와 같은 동등한 수준에 도달했다는 투자자들의 우려에 이같이 밝혔다. 이날 엔비디아의 주가는 무려 17% 급락하며 시가총액 5890억달러약 846조6875억원가 증발했다.
딥시크는 지난해 말 무료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으로 계산됐다. H800은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 사양을 낮춰 출시한 칩으로, 딥시크는 약 2000개의 H800칩을 사용해 생성형AI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장에서는 딥시크의 생성형AI개발로 인해 미국 AI업체들의 과잉 투자에 대한 경계론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현재 구글, 아마존 등 하이퍼스케일러는 AI설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데, 딥시크의 발전을 고려하면 과잉 투자로 볼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현재 엔비디아 주가는 AI설비에 대한 투자로 인해 계속 급등했는데, 만약 하이퍼스케일러가 투자를 줄인다면 주가가 흘러내릴 수밖에 없다.
엔비디아는 이를 고려해 투자자들을 안심시키려고 애를 썼다. 딥시크는 최근 사용자 급증으로 인해 서비스를 원활하게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이에 엔비디아는 자사 칩에 대한 지속적인 수요를 보여준다며, AI추론 작업에는 상당한 수의 엔비디아 칩과 고성능 네트워킹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시장에서는 딥시크가 H800을 통해 생성형AI모델을 출시한 만큼,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에 대한 추가 규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 관련기사 ◀
☞ 참사로 가족 잃은 ‘푸딩이…새 출발 준비하며 맞이한 설
☞ 국회의원 설 상여금 425만원…일반 직장인의 ‘5배
☞ 이민자 하루 1000명 잡아들인 트럼프…취임 일주일만
☞ 점당 100원 기소한 검찰…고스톱, 도박일까? 오락일까?
☞ 류호정, 최연소 국회의원→목수 됐다…“연락주세요”
김상윤 yoon@
중국 인공지능AI 기업 딥시크 쇼크로 주가가 폭락한 엔비디아는 27일현지시간 딥시크 발전이 자사 칩의 중국 내 수요를 끌어올릴 것이고, 향후 딥시크의 서비스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더 많은 칩이 필요할 것이라고 밝혔다.
|
딥시크는 지난해 말 무료 오픈소스 대규모 언어 모델LLM을 출시했다. 딥시크는 미국 AI업체들이 요구하는 것보다 훨씬 적은 비용인 600만 달러 미만의 비용으로 단 두 달 만에 개발했다고 주장하고 있다.
딥시크가 개발 경과를 설명한 기술보고서에 따르면 챗GPT와 비슷한 성능의 ‘딥시크-V3’ 개발에 투입된 비용은 557만6000달러약 78억8000만원에 그친다. 엔비디아의 ‘H800 GPU’를 시간당 2달러에 2개월 동안 빌린 비용으로 계산됐다. H800은 미국의 고성능 칩 수출 규제로 엔비디아가 H100 사양을 낮춰 출시한 칩으로, 딥시크는 약 2000개의 H800칩을 사용해 생성형AI모델을 개발한 것으로 전해진다.
시장에서는 딥시크의 생성형AI개발로 인해 미국 AI업체들의 과잉 투자에 대한 경계론이 급격히 부상하고 있다. 현재 구글, 아마존 등 하이퍼스케일러는 AI설비에 막대한 투자를 하고 있는데, 딥시크의 발전을 고려하면 과잉 투자로 볼 수밖에 없다는 우려다. 현재 엔비디아 주가는 AI설비에 대한 투자로 인해 계속 급등했는데, 만약 하이퍼스케일러가 투자를 줄인다면 주가가 흘러내릴 수밖에 없다.
|
시장에서는 딥시크가 H800을 통해 생성형AI모델을 출시한 만큼, 미국 정부가 엔비디아에 대한 추가 규제에 나설 수 있다는 우려도 제기하고 있다.
▶ 관련기사 ◀
☞ 참사로 가족 잃은 ‘푸딩이…새 출발 준비하며 맞이한 설
☞ 국회의원 설 상여금 425만원…일반 직장인의 ‘5배
☞ 이민자 하루 1000명 잡아들인 트럼프…취임 일주일만
☞ 점당 100원 기소한 검찰…고스톱, 도박일까? 오락일까?
☞ 류호정, 최연소 국회의원→목수 됐다…“연락주세요”
[바이오 성공 투자 1%를 위한 길라잡이 팜이데일리]
[새로워진 이데일리 연재 시리즈 취향대로 PICK하기]
[뉴땡 Shorts 아직 못봤어? 뉴스가 땡길 때, 1분 순삭!]
[10대의 뉴스는 다르다. 하이스쿨 커뮤니티 하이니티]
[다양한 미국 주식정보! 꿀 떨어지는 이유TV에서 확인!]
[빅데이터 AI트레이딩 솔루션 매직차트]
<ⓒ종합 경제정보 미디어 이데일리 - 무단전재 amp; 재배포 금지>
김상윤 yoon@
관련링크
- 이전글"이건 너무 부럽다" 1월 월급날 5천만원 꽂혔다…파격적 성과급에 들... 25.01.28
- 다음글날 사랑한 주민1, 공략법 안 통하는 보스…올해 찐 AI 게임 시대 열린다 25.01.28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