작년 인터넷 사용자 3명 중 1명, 생성형 AI 경험…1년 새 2배로
페이지 정보

본문
단순정보 검색 목적이 가장 많아
문서작업 보조, 번역 사용도 다수
디지털 구독 인구 확산…3.8배 증가
문서작업 보조, 번역 사용도 다수
디지털 구독 인구 확산…3.8배 증가

지난해 인터넷 이용자 중 생성형 인공지능AI 서비스를 경험해본 비율이 챗GPT 공개 직후인 2023년보다 2배 이상 늘어, 3명 중 1명은 사용한 적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0일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발표한 ‘2024 인터넷 이용실태조사’ 자료에 따르면, 생성형 AI 서비스를 경험해봤다는 응답 비율은 2023년 17.6%에서 2024년 33.3%로, 약 2배 가까이 증가했다.
이용 분야는 ‘단순 정보검색’이 81.9%로 가장 큰 비율을 차지했으며, 그 다음으로는 문서작업 보조44.4%, 외국어 번역40.0%, 창작 및 취미활동 보조15.2%, 코딩 및 프로그램 개발6.3% 순이었다.
AI 서비스 자체를 경험해 봤다고 답한 응답자는 2021년 32.4%에서 매년 꾸준히 상승하여 2024년에는 60.3%로 나타났다.
AI의 도움 정도에 대한 만족도는 자율주행 등 교통 분야98.3%가 가장 높게 나타났고, 필요도 및 향후 이용 의향은 가사 지원 로봇, 사울인터넷 가전 등 주거 편의 분야필요도 78.2%, 이용 의향 58.7%에서 가장 높다고 답했다.
한편 인터넷 이용자 97.7%가 인스턴트 메신저쪽지 창를 이용하며 가장 많이 이용하는 서비스는 98.0%를 차지한 카카오톡으로 조사됐다. 또 인터넷 이용자의 95.4%가 유튜브 등 동영상 서비스를 쓴다고 답했다.
서비스를 매번 구매하는 대신 정기 ‘구독’하는 방식이 디지털 경제 전반에 확산되고 있는 것으로 파악됐다. 인터넷 상품에서 구독 서비스를 이용하는 비율은 2023년 13.1%에서 2024년 49.4%로 약 3.8배 증가했다.
연령별로 구독 서비스 이용률 증가는 10∼30대가 주도하고 있다. 2023년 대비 10대 43.6%포인트, 20대 40%포인트, 30대 37%포인트 순으로 상승했다.
알리 익스프레스, 테무 같은 해외 직구 사이트가 국내 시장에 직접 진출하면서 인터넷 쇼핑 이용자의 해외직구 이용률은 2023년 20%에서 2024년 34.3%로 증가했다. 연령대별로는 30대47.2%가 가장 높았고, 20대43.5%, 40대36.8% 순으로 조사됐다.
전체 가구의 인터넷 접속률은 전년과 동일한 99.97%로, 만 3세 이상 가구원의 인터넷 이용률은 0.5%포인트 증가한 94.5%로 나타났다.
인터넷 이용자의 90.5%는 하루에 1회 이상, 주 평균 20.5시간 이용하고, 인터넷 이용률이 가장 높은 지역은 대구97.5%, 가장 낮은 지역은 강원88.9%으로 나타났다.
2024년 인터넷 이용실태조사는 전국 2만5천509가구, 만 3세 이상 가구원 6만229명을 대상으로 진행됐다.
▶ “보기 싫어”…손 흔드는 이재명 가까워지자 산불 피해 이재민 ‘갑자기’
▶ 산불구호기금 삼성 30억·현대차 20억 냈는데... 100억 낸 중견기업 나왔다
▶ 남녀가 나체로 몸 씻겨주던 ‘혼욕의 나라’...대중 목욕탕 90%가 사라졌다는데 [한중일 톺아보기]
▶ 때 아닌 눈 오는데 색깔이 있잖아…수도권서 목격된 이녀석의 정체 ‘혹시’
▶ “연락 안닿는 자연인…” 윤택, 역대 최악 산불에 속타는 마음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KT, 2025년 디지털인재장학생 커넥팅데이 개최 25.03.30
- 다음글31일, 넥슨 FC 온라인 국내 프로 리그 개막 25.03.3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