온디바이스 AI 열풍에 등장하는 반도체 잠룡들…"1~2년 내 IPO 붐 온... > IT/과학기사 | it/science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IT/과학기사 | it/science

온디바이스 AI 열풍에 등장하는 반도체 잠룡들…"1~2년 내 IPO 붐 온...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회 작성일 25-04-01 17:20

본문

대만 미택, 엣지용 AI 사업 확대 위해 IPO
韓 NPU 유망주들도 IPO 준비
올해 하반기 실적이 시험대
모빌린트의 AI 반도체 에리스ARIES를 탑재한 MLA100NPU PCIe Card./모빌린트

모빌린트의 AI 반도체 에리스ARIES를 탑재한 MLA100NPU PCIe Card./모빌린트

인공지능AI 패권 경쟁이 가속화하는 가운데 자동차, 로봇, 드론, CCTV 등 다양한 분야에 AI 활용이 확대되고 있다. 특히 이들 분야에는 그래픽처리장치GPU가 일일이 탑재되기 어렵기 때문에 신경망처리장치NPU에 기반한 AI 하드웨어, 솔루션이 핵심적이다. 시장이 본격적으로 확대될 조짐을 보이면서 국내외 반도체 ‘잠룡’들이 기업공개IPO를 통해 덩치 불리기에 나설 것으로 관측된다.

1일 업계에 따르면 올해를 기점으로 다수의 엣지edge용 AI 반도체, 솔루션 기업들이 잇달아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 대만 미택Mitac 홀딩스의 자회사인 미택 디지털 테크놀로지MDT는 최근 미디어 컨퍼런스에서 “지난 20년 동안 칼을 갈아왔다”며 “엣지 AI 분야 사업을 강화하기 위해 상장을 준비하고 있다”고 포부를 드러냈다. 이외에도 국내 NPU 분야 대표 스타트업인 딥엑스와 모빌린트, 온디바이스 생성형 AI 업체인 노타AI 등이 상장을 준비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온디바이스 AI는 인터넷 연결 없이, 기기 자체에서 AI 모델에 필요한 연산을 수행하는 것을 의미한다. 현재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되고 있는 AI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데이터센터와 인터넷 연결에 의존하는 기존 방식이 갖고 있는 문제들을 해결, 보완하기 위해 등장했다.


온디바이스 AI는 데이터가 클라우드로 전송되지 않고 기기 자체에서 처리되므로, 보안 및 개인정보 보호에 강점을 가진다. 삼성전자, 애플, 마이크로소프트 등 글로벌 빅테크 기업들이 온디바이스 AI 기술 개발 및 제품 출시를 위해 경쟁을 벌이고 있다. 시장조사업체 마켓앤드마켓에 따르면, 이 시장은 연평균 37.7%씩 성장해 2030년 약 240조원에 이를 전망이다.

서버용 AI 가속기가 엔비디아, AMD, 브로드컴 등 대형 팹리스반도체 설계 기업가 각축을 벌이고 있는 것과 달리 온디바이스 AI용 NPU는 아직 이렇다 할 대형 플레이어가 없는 무주공산이다. 특히 국내에선 ‘넥스트 퀄컴’을 외치며 AI 반도체 시장에서 주목받고 있는 딥엑스의 상장 시점이 관건이다. 올해 내놓는 첫 양산 칩 DX-M1의 성공 여부가 IPO 시점의 변곡점이 될 것으로 보인다. 딥엑스는 지난 1년간 조기 고객 지원프로그램을 통해 전 세계 300여개 기업으로부터 요청받은 시제품 기술 검증을 진행해 왔으며, 올해 하반기부터 본격적인 매출 발생이 예상된다.

업계에서는 딥엑스의 DX-M1의 공급 실적과 고객사들의 피드백이 딥엑스의 상장 시점을 결정할 것으로 관측하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딥엑스의 경쟁력은 주로 성숙 공정을 선택하는 다른 NPU 기업과 달리 과감하게 초기 단계에서 5나노 공정을 선택했고, 90% 수준의 높은 수율을 확보했다는 것”이라며 “이는 저전력·고성능과 가격경쟁력 측면에서 유리한 고지를 점했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또다른 NPU 유망주인 모빌린트도 자체 개발한 NPU ‘에리스’가 양산에 돌입한 가운데 올해 하반기 본격 납품을 노리고 있다. 두번째 제품인 레귤러스 역시 지난해 이미 고객사에 샘플을 제공했으며, 연내 양산 작업을 본격화한다는 방침이다. 다만 관건은 실적이다. 아직 의미있는 매출이 발생하지 않고 있는 상황에서 모빌린트는 상장을 서두르기보다는 최대 300억원의 매출을 확보한 이후 기업공개에 돌입할 것으로 보인다.

박종원 LG경영연구원 연구원은 “사용자가 언제 어디서나 손 안에서 필요로 하는 AI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경량화 모델 개발 흐름이 당분간 지속될 것으로 보인다”며 “빅테크를 중심으로 더 크고 똑똑한 AI 모델을 개발하면, 향후 온디바이스 AI 모델의 성능은 지속적으로 상승하고 더 많은 기능을 수행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황민규 기자 durchman@chosunbiz.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925
어제
1,902
최대
3,806
전체
947,22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