축소 공약 잇따랐지만…몸집 불려 온 경호처
페이지 정보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경호처 직원들은 분명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하는 공무원입니다. 그런데도 지금 경호처는 단 한 사람을 위해서만 일하는 듯한 모습입니다. 이번 정부 들어 경호처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었는데, 예산과 인력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해서 박서경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정부 초대 경호처장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입니다.
정권의 실세였던 김 전 장관이 지난해 9월 국방장관이 된 뒤, 박종준 처장이 직을 이어받았습니다.
2025년 경호처의 예산은 1천390억 원.
문재인 정부 때 책정된 2022년 예산보다 43.4%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예산 증가율인 11.5%를 크게 웃도는 규모입니다.
올해 인건비 예산은 635억여 원으로 지난 3년 동안 17% 넘게 늘었습니다.
대통령실 조직 슬림화를 공약했던 윤 대통령이 경호처만큼은 몸집을 키워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경호실은 최순실 씨의 출입을 방조했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문재인 대선 후보는 경호실을 해체하고, 경찰청 산하 대통령경호국을 설치하겠다는 공약을 했습니다.
하지만 집권 후 장관급인 경호실을 차관급인 경호처로 하향 조정하는 선에서 공약을 마무리했습니다.
[한승훈/동신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선진국은 우리나라처럼 대통령 직속으로 경호 기관을 두는, 그런 기구는 없더라고요. 미국은 대통령 경호 업무를 지금 국가보안청에.]
경호처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것을 놓고 논란이 커지자, 박종준 처장은 어제5일 이런 입장을 직접 밝히기도 했습니다.
[박종준/경호처장 어제 : 국민이 뽑은 대통령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신명을 바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경호처를 둘러싼 논란을 차단할 수 있도록 민주적 견제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이재성, 디자인 : 이준호
박서경 기자 psk@sbs.co.kr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경호처 직원들은 분명 국민을 위해 일해야 하는 공무원입니다. 그런데도 지금 경호처는 단 한 사람을 위해서만 일하는 듯한 모습입니다. 이번 정부 들어 경호처는 논란이 끊이지 않았었는데, 예산과 인력은 크게 늘어난 것으로 나타났습니다.
계속해서 박서경 기자입니다.
<기자>
윤석열 정부 초대 경호처장은 김용현 전 국방장관입니다.
정권의 실세였던 김 전 장관이 지난해 9월 국방장관이 된 뒤, 박종준 처장이 직을 이어받았습니다.
2025년 경호처의 예산은 1천390억 원.
문재인 정부 때 책정된 2022년 예산보다 43.4% 급증했습니다.
같은 기간 국가 전체 예산 증가율인 11.5%를 크게 웃도는 규모입니다.
올해 인건비 예산은 635억여 원으로 지난 3년 동안 17% 넘게 늘었습니다.
대통령실 조직 슬림화를 공약했던 윤 대통령이 경호처만큼은 몸집을 키워줬다는 지적이 나옵니다.
지난 2017년, 박근혜 정부의 청와대 경호실은 최순실 씨의 출입을 방조했다는 논란에 휩싸이기도 했습니다.
이후 문재인 대선 후보는 경호실을 해체하고, 경찰청 산하 대통령경호국을 설치하겠다는 공약을 했습니다.
하지만 집권 후 장관급인 경호실을 차관급인 경호처로 하향 조정하는 선에서 공약을 마무리했습니다.
[한승훈/동신대 경찰행정학과 교수 : 선진국은 우리나라처럼 대통령 직속으로 경호 기관을 두는, 그런 기구는 없더라고요. 미국은 대통령 경호 업무를 지금 국가보안청에.]
경호처가 윤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을 저지한 것을 놓고 논란이 커지자, 박종준 처장은 어제5일 이런 입장을 직접 밝히기도 했습니다.
[박종준/경호처장 어제 : 국민이 뽑은 대통령의 안전을 확보하는 데 신명을 바칠 것입니다.]
전문가들은 경호처를 둘러싼 논란을 차단할 수 있도록 민주적 견제 장치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하고 있습니다.
영상취재 : 박현철, 영상편집 : 이재성, 디자인 : 이준호
박서경 기자 psk@sbs.co.kr
인/기/기/사
◆ 윤 대통령 체포영장 재청구했지만…꼬여가는 계엄 수사
◆ 요새화 산길까지 철조망 쳤다…경호처장 공관 구역 대기
◆ 대거 관저로 몰려간 친윤…당내 비윤 "의원 자격 있나"
◆ "절대 나오지 마라" 8,000만 명에 경고…찰나에 눈 덮쳤다
◆ "수십년 걸릴 일인가" 무기수 김신혜, 친부살해 누명 벗다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관련링크
- 이전글44명 대거 관저 찾은 與의원, 尹이 식사 제안하자 거절 왜 25.01.06
- 다음글불법 계엄 가담 인사들 줄수감에…9년 만에 구치소 청문회 부활하나 25.01.0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