차기 대통령 누가 적합할까…이재명 32%, 홍준표·오세훈 각각 8%, 한동훈...
페이지 정보

본문
탄핵정국 이끈 李 32%로 1위
70대 제외 全세대·지역 우세
與지지자는 오세훈 가장 선호
일대일 구도에서도 유보 많아
70대 제외 全세대·지역 우세
與지지자는 오세훈 가장 선호
일대일 구도에서도 유보 많아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가 ‘차기 대통령 적합도’ 여론조사에서 1위에 올랐다. 야당을 확고히 장악하고 계엄·탄핵 정국을 주도한 데 따른 것으로 풀이된다. 하지만 중도·보수층의 상당수는 “대통령에 적합한 인물이 없다”며 관망세를 이어가고 있다.
1일 매일경제가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조사한 결과에 따르면 이 대표 적합도는 32%로 나타났다. 홍준표 대구시장8%과 오세훈 서울시장8%이 나란히 2위를 차지했으며 우원식 국회의장5%, 한동훈 전 국민의힘 대표5% 등이 뒤를 이었다.
이 대표와 홍 시장·오 시장과의 격차는 24%포인트에 달했다. 두 자릿수 적합도를 기록한 인물은 이 대표가 유일했다. 70대 이상을 제외한 모든 성·세대·지역에서 적합도 1위를 차지했다.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대세론’이 형성되기 시작했다는 분석이 나오는 이유다.

여야 일대일 구도에서도 이 대표가 승기를 거머쥐었다. 오 시장·홍 시장·한 전 대표와 가상 대결에선 적합도가 14~23%포인트 앞선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한 전 대표23%와 대결 구도에선 이 대표 적합도46%가 2배 높았다.
문제는 청년층과 중도·보수층을 설득하지 못했다는 것이다. 이번 조사에선 적합 후보가 없다는 답변이 21%에 달했다. 특히 20대29%와 30대31%에서 적합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가장 많았다. 중도층 23%도 여야에 마땅한 인물이 없다고 봤다. 지역별로는 대구·경북30%과 서울23%에서 적합 후보가 없다는 답변이 많았다.
사법리스크를 겪고 있는 이 대표의 비호감도가 배경으로 꼽힌다. 신율 명지대 정치외교학과 교수는 “대통령이 되려면 적합도 40%를 넘어야 하는데 확장성이 떨어진다”며 “이 대표에 대해 부정적인 사람이 많은 것으로 보인다”고 짚었다.

보수 진영은 대권 주자로 내세울 인물을 찾는 것으로 보인다. 국민의힘 지지자24%와 보수 유권자24% 사이에서도 적합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상당했기 때문이다. 이 대표로 결집하기 시작한 민주당 지지자7%나 진보 유권자11%와는 크게 대비된다.
일대일 구도에서도 보수·여당 지지자들은 갈피를 잡지 못한 것으로 드러났다. 그 중에서도 한 전 대표가 지지율을 회복하지 못하고 있다. 이 대표와 일대일 대결에서 적합도가 가장 낮았을 뿐만 아니라 적합 후보가 없다는 응답이 29%로 치솟았다.
신 교수는 “이재명·한동훈 모두 비호감 요소가 있다”면서도 “한 전 대표는 지금 활동을 하지 않고 있으며 보수층으로부터 완전한 지지를 얻지 못하고 있기 때문”이라고 말했다. 이어 “헌법재판소에서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을 인용하면 반등할 가능성이 있다”고 내다봤다.

여당 지지자들 사이에선 오 시장 적합도27%가 가장 높았다. 홍 시장17%을 비롯해 한 전 대표11%와 안철수 국민의힘 의원6% 등이 뒤를 쫓고 있다. 보수층에서도 홍 시장보다 오 시장이 차기 대통령에 적합하다는 답변이 많았다.
야권에선 우 의장이 눈에 띈다. 성·세대·지역을 막론하고 4~7% 적합도를 기록했기 때문이다. 국회의장으로서 계엄 해제와 탄핵소추를 주도하며 존재감을 키운 덕분으로 풀이된다. 상승세는 분명하나 이 대표를 뛰어넘기 힘들 거란 전망이 지배적이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현 시점에서 국민은 파격적이고 과감한 리더십 스타일을 바라고 있다”며 “이 대표에게 등을 돌리는 이들도 적지 않고 우 의장이 온건한 이미지를 갖췄지만 시대에 맞는 리더십이 아니기에 5%에 그친 것”이라고 말했다.
■ 여론조사 어떻게 했나
매일경제는 여론조사업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 29~31 3일간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성·연령·지역별로 무작위 추출해 면접원에 의한 전화 면접조사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7.1%다.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은 셀가중 방식으로 2024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매일경제는 여론조사업체 넥스트리서치에 의뢰해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14명을 대상으로 작년 12월 29~31 3일간 여론조사를 실시했다. 통신 3사가 제공하는 휴대전화 가상번호를 성·연령·지역별로 무작위 추출해 면접원에 의한 전화 면접조사로 진행했다.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서 ±3.1%포인트, 응답률은 17.1%다. 성별·연령별·지역별 가중값은 셀가중 방식으로 2024년 11월 말 행정안전부 주민등록 인구를 기준으로 했다.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 “대기업 직원도 명함 못 내밀겠네”…건설현장 ‘이 직종’ 평균 일당이 무려
▶ 오늘의 운세 2025년 1월 2일 木음력 12월 3일
▶ “파리만 날리는 공장, 이대로 가다간”…3개월째 내리막이라는 이 지표
▶ 제주항공 승무원 “승객 내려야 참았던 눈물 흘려…동료들 존경”
▶ 尹체포영장 발부에...홍준표 “국민이 준 권력 자제 못하고 폭주, 비상사태 온 것”
[ⓒ 매일경제 amp; mk.co.kr,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민병덕, 내란혐의 국조특위 출범…"국회의 존재 이유 지켜야" 25.01.02
- 다음글공수처, 윤석열 대통령 체포영장 집행 언제쯤? 25.01.02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