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년 만 늘어난 출생아 수, 바닥 찍었다?…전문가들 "더 지켜봐야"
페이지 정보

본문
2016년부터 내리막이던 출생자 수, 9년 만에 증가
전문가들 "중장기 흐름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반등 징후 발견 안돼…통계적으로 큰 의미 없어"
전문가들 "중장기 흐름으로 이어질지는 미지수"
"반등 징후 발견 안돼…통계적으로 큰 의미 없어"

[서울=뉴시스]서울아산병원 신생아중환자실에서 이병섭 교수가 아이를 진료하고 있다. 사진= 서울아산병원 제공 2024.12.03. photo@newsis.com.
5일 행정안전부에 따르면 2024년 출생등록자 수는 24만2334명으로 전년23만5039명보다 7295명3.1% 증가했다.
지난 2016년부터 출생자 수는 매년 내리막세를 보였으나 9년 만에 반등한 것이다.
연도별로 보면 출생자 수는 2015년 44만4098명에서 2016년 41만1859명으로 감소한 이후 2017년36만2867명에 처음으로 40만명대가 깨졌다. 이어 2018년 33만4115명, 2019년 30만8697명 등으로 줄어오다 2020년27만5815명에는 20만명대로 내려 앉았다.
이 같은 감소세는 2023년23만5039명까지 이어졌으나 2024년 9년 만에 증가로 돌아섰다.
이번 반등이 고무적이긴 하나, 전문가들은 이를 실질적인 반등으로 보긴 어렵다고 평가한다.
코로나19 유행이 잦아들면서 외부 활동이 활발해지고 경기가 회복된 영향으로 출생아가 일시적으로 늘긴 했으나, 중장기적 흐름으로 이어질지는 두고봐야 한다는 것이다.
임운택 계명대 사회학과 교수는 "코로나19 유행이 완전히 지나간 효과와 더불어 전 정부 때부터 크게 확대된 저출생 지원 정책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해 출생아가 늘어난 것 같다"며 "하지만 저출생 흐름이 저점을 찍었다고 보기에는 아직 이르다"고 말했다.
임 교수는 "작년 말부터 경기가 급속도로 얼어 붙었기 때문에, 이런 추세가 계속될지는 앞으로 2~3년은 지켜봐야 한다"고 덧붙였다.
그간 출생자 수가 상당히 가파른 속도로 감소해온 탓에 그에 대한 기저효과로 반등이 나타났다는 해석도 있다.
1971년 4.54명이었던 한국의 합계출산율은 이후 빠른 속도로 추락, 2018년 0.98명으로 47년 만에 0명대를 찍었다. 합계출산율은 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자녀 수를 뜻한다. 이후 합계출산율은 6년째 0명대를 이어오고 있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회원국들과 비교해서도 최하위 수준이다.
최항섭 국민대 사회학과 교수는 "그간 출생아 수가 너무 빠른 속도로 떨어졌기 때문에, 잠깐 멈추면서 살짝 반등한 것"이라며 "이번 반등은 통계적으로 큰 의미가 없는 현상"이라고 평가했다.
최 교수는 "사회적 분위기나 경제 상황, 사교육비 문제 등 출산율을 반등하게 하는 징후들은 여전히 발견되지 않았다"며 "앞으로 출생아 수가 더 떨어질 것으로 본다"고 말했다.
사교육비 문제를 비롯해 높은 부동산 가격, 소득 양극화 등 저출생 현상을 심화시키는 고질적 문제들이 해결되지 않았기 때문에 저출생 흐름은 앞으로도 지속될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반면 9년 만의 반등을 긍정적인 신호로 해석하는 시각도 있다. 일시적 현상에 그칠지라도 이러다 나라가 소멸할 수 있다는 사회 전반에 퍼진 위기감이 결국 변화를 만들어냈다는 분석이다.
석재은 한림대 사회복지학과 교수는 "적어도 내년까지는 통계 추세를 봐야 일시적 현상인지 아닌지를 판단할 수 있다"면서도 "주목할 점은 8년 간 출생자 수가 계속 하향해왔다는 것이고 상승으로의 전환점을 찍었다는 것"이라고 말했다.
석 교수는 "그동안에는 경력 단절과 경제적 부담 등 아이를 낳고 가정을 꾸리는 데 따른 계산서부터 떠올렸다"며 "하지만 출산과 양육 부담을 개인으로만 돌리지 않겠다는 메시지를 정부와 기업이 계속 내면서 이를 일종의 정상적 선택지로 받아들이기 시작한 것 같다"고 덧붙였다.
☞공감언론 뉴시스 soy@newsis.com, idaho@newsis.com
▶ 네이버에서 뉴시스 구독하기
▶ K-Artprice, 유명 미술작품 가격 공개
<저작권자ⓒ 공감언론 뉴시스통신사. 무단전재-재배포 금지.>
◇ 오은영 박사 28살 모습 공개…뛰어난 미모
◇ 송중기, 케이티와의 신혼생활 공개
◇ 희귀암 완치 윤도현, 다시 안타까운 소식
◇ 한남동 집회 참석 김C, 오랜만의 근황
◇ 이광기, 심각한 눈 상태…"망막박리 수술"
◇ "체포 실패했는데 웃어?"…공수처 표정에 시끌
◇ 곽준빈, 결국 대국민 사과했다
◇ 김흥국 "尹보다 잘한 대통령 어딨냐…한남동으로 들이대라"
◇ "넌 난민을 품어"…문가비 옛남친, 정우성 저격했나
◇ 최진실 딸 준희, 무슨 일?…"숨 막히는 느낌"
◇ 충주맨 김선태, 9급→6급 파격 승진 이어 팀장 임명
◇ 메이데이 후 충돌…제주항공 참사 의문의 4분
◇ 홍진희, 세미누드 화보 공개…"수위 너무 높아"
◇ "오겜2, 개인극장서 봐요"…부동산 6채 연예인 누구
◇ 송종국 전 아내, 분노 폭발…"자꾸 이럴거야?"
◇ 얼굴 전체 문신 20대 "취업 안되더라"
◇ 함소원과 이혼 진화, 밝은 얼굴로 일본 여행
◇ 56세 양준혁, 붕어빵 딸 공개 "웃음꽃 가득하길"
◇ 49㎏ 감량 최준희, 놀라운 인형 미모
◇ 최수종, 25살 붕어빵 아들 공개…훈남 아우라
저작권자ⓒ>
관련링크
- 이전글새벽 눈 속에 촛불을 들어라 25.01.05
- 다음글어둠속에 빛나는 은박담요 물결 25.01.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