朴탄핵 때와 달리 보수 결집?…권영세 사과가 與 변곡점 될 듯
페이지 정보

본문


[서울신문]12·3 비상계엄 사태와 윤석열 대통령 탄핵안 가결 이후에도 국민의힘 지지율이 크게 하락하지 않고 있다. 박근혜 전 대통령 탄핵 이후 ‘보수 궤멸’을 경험했던 지지자들이 위기감을 느껴 결집하는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달 말 권영세 비상대책위원장 취임에 맞춰 내놓을 대국민 사과의 수위와 형식에 따라 여당의 지지율이 요동칠 가능성도 있다.
25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20일 발표된 12월 3주차 여론조사에서 24%표본 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를 기록했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 조사인 11월 4주차32%에 비해 8% 포인트 하락했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여당 지지율이 반토막 수준으로 고꾸라진 것과 비교하면 하락폭이 크지 않은 셈이다. 국정농단 의혹이 제기되기 직전인 2016년 10월 3주차 조사에선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지지율이 29%였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직후 지지율은 15%로 반토막 났다.
8년 전에 비해 지지율 하락폭이 작은 배경으로는 보수 궤멸 위기감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여권 지지층의 반감이 꼽힌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이 상황에서도 우리가 뭉쳐야 미래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지율 방어 현상이 자칫 지지층과 소속 의원들에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여당을 향한 국민적 시선이 싸늘한 상황에서 지지층 결집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반성하지 않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오는 30일쯤 ‘권영세 비대위’가 내놓을 대국민 사과의 수위와 방식도 초미의 관심사다. 당내에서는 집권 여당으로서의 책임은 물론이고 윤 대통령의 오판에 대한 내용이 사과문에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섣부른 사과를 해서는 안 된다는 당내 반대 의견도 있다.
국정농단 사건이 터졌을 때 당시 새누리당 의원 전원은 “이 모든 사태는 대통령의 책임이고 잘못이다. 그리고 새누리당의 책임이자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이후 비박비박근혜계 탈당파인 바른정당은 창당대회부터 소속 의원들이 무릎을 꿇고 사죄했다.
‘보여 주기식 사과’가 불러올 역풍 역시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과 자체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국민들에게 진정성이 결여된 ‘정치적 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대위원장이 담화 형식으로 사과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조중헌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대기업 연락받은 충주맨, ‘은퇴’ 밝혔다…“다른 일 하고 싶어”
☞ 배우 한소희 母, 불법 도박장 7곳 개설 혐의 ‘징역형 집유’
☞ 우크라 북한군 시신서 발견된 편지 “정다운 아버지 어머니 품을 떠나”
☞ 조현아 “친구가 맡긴 3천만원, 1억으로 만들어줬다” 비결은?
☞ 여전히 왕성한 전설의 남자…사별 3년만에 ‘♥6살 연하’ 여친
☞ 이재용만 남겼다…尹 방문 부산 떡볶이집 최근 상황
☞ 전자레인지 돌릴 때 ‘이 습관’, 남성 정자 수에 악영향
☞ 故김수미의 마지막 촬영 현장…신현준 위해 준비한 간식 ‘뭉클’
☞ 탄핵집회 선결제한 뉴진스 “힘든 연말, 도움 됐단 생각에 뿌듯했다”
☞ “신선한 시신 해부하러!” 모자이크 안된 시신 SNS에 올린 의사 ‘충격’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25일 한국갤럽에 따르면 국민의힘 지지율은 지난 20일 발표된 12월 3주차 여론조사에서 24%표본 오차 95% 신뢰 수준에서 ±3.1% 포인트,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 참조를 기록했다. 비상계엄 선포 직전 조사인 11월 4주차32%에 비해 8% 포인트 하락했다.
박 전 대통령 탄핵 정국 당시 여당 지지율이 반토막 수준으로 고꾸라진 것과 비교하면 하락폭이 크지 않은 셈이다. 국정농단 의혹이 제기되기 직전인 2016년 10월 3주차 조사에선 새누리당국민의힘 전신 지지율이 29%였지만 박 전 대통령 탄핵소추안이 가결된 직후 지지율은 15%로 반토막 났다.
8년 전에 비해 지지율 하락폭이 작은 배경으로는 보수 궤멸 위기감과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를 향한 여권 지지층의 반감이 꼽힌다. 국민의힘 한 중진 의원은 “이 상황에서도 우리가 뭉쳐야 미래가 있다”고 말했다.
다만 지지율 방어 현상이 자칫 지지층과 소속 의원들에게 잘못된 신호를 줄 수 있다는 우려의 목소리도 나온다. 여당을 향한 국민적 시선이 싸늘한 상황에서 지지층 결집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반성하지 않는 모습으로 비칠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오는 30일쯤 ‘권영세 비대위’가 내놓을 대국민 사과의 수위와 방식도 초미의 관심사다. 당내에서는 집권 여당으로서의 책임은 물론이고 윤 대통령의 오판에 대한 내용이 사과문에 들어가야 한다는 의견이 나온다. 반면 윤 대통령의 탄핵심판 결과가 나올 때까지 섣부른 사과를 해서는 안 된다는 당내 반대 의견도 있다.
국정농단 사건이 터졌을 때 당시 새누리당 의원 전원은 “이 모든 사태는 대통령의 책임이고 잘못이다. 그리고 새누리당의 책임이자 잘못”이라고 사과했다. 이후 비박비박근혜계 탈당파인 바른정당은 창당대회부터 소속 의원들이 무릎을 꿇고 사죄했다.
‘보여 주기식 사과’가 불러올 역풍 역시 고려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온다. 사과 자체에만 초점을 맞출 경우 국민들에게 진정성이 결여된 ‘정치적 쇼’로 비칠 수 있다는 것이다. 비대위원장이 담화 형식으로 사과하는 방식도 거론된다.
조중헌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대기업 연락받은 충주맨, ‘은퇴’ 밝혔다…“다른 일 하고 싶어”
☞ 배우 한소희 母, 불법 도박장 7곳 개설 혐의 ‘징역형 집유’
☞ 우크라 북한군 시신서 발견된 편지 “정다운 아버지 어머니 품을 떠나”
☞ 조현아 “친구가 맡긴 3천만원, 1억으로 만들어줬다” 비결은?
☞ 여전히 왕성한 전설의 남자…사별 3년만에 ‘♥6살 연하’ 여친
☞ 이재용만 남겼다…尹 방문 부산 떡볶이집 최근 상황
☞ 전자레인지 돌릴 때 ‘이 습관’, 남성 정자 수에 악영향
☞ 故김수미의 마지막 촬영 현장…신현준 위해 준비한 간식 ‘뭉클’
☞ 탄핵집회 선결제한 뉴진스 “힘든 연말, 도움 됐단 생각에 뿌듯했다”
☞ “신선한 시신 해부하러!” 모자이크 안된 시신 SNS에 올린 의사 ‘충격’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관련링크
- 이전글[포토] 마용주 대법관 후보자 인사청문회…국민의힘은 불참 24.12.26
- 다음글[속보] 與, 헌법재판관 임명동의안 표결 불참…"의원 만장일치" 24.12.26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