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년 경제 나빠질 것" 60%…尹 탄핵 진보층 비관론은 완화[갤럽]
페이지 정보

본문

소비자물가 상승률이 두 달 연속 1%대를 기록하면서 둔화세가 이어진 5일 서울의 한 대형마트에서 한 시민의 장바구니에 배추 한포기가 담겨 있다. 2024.11.5/뉴스1 ⓒ News1 박지혜 기자
서울=뉴스1 한상희 기자 = 내년 우리나라 경제에 대해 국민 10명 중 6명은 비관적으로 전망한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20일 나왔다. 탄핵 정국 속에서 정치 성향에 따라 경기 전망이 상반된 모습을 보여 눈길을 끌었다.
한국갤럽이 지난 17~19일 전국 성인 1000명을 상대로 한 조사에 따르면, 향후 1년간 우리나라 경기 전망을 물은 결과 응답자의 60%는 나빠질 것이라고 대답했다. 16%는 비슷할 것, 19%는 좋아질 것이라고 답했다.
경제 상황에 대한 낙관적 전망은 전달보다 3%포인트 늘고 비관적 전망은 2%포인트 줄어든 수치다.
갤럽은 "경기 낙관론은 대체로 정부 정책 방향에 공감·신뢰 정도가 강한 이들에게서 높은 편이다. 최근 보수층에서 두 달간 비관론이 크게 늘었다"며 "반면 진보층의 경기 전망은 오히려 덜 비관적으로 바뀐 점에 주목할 만하다"고 분석했다.
보수층의 경기 낙관론은 11월 23%에서 12월 16%로 감소했고, 비관론은 47%에서 56%로 증가했다. 반면 진보층의 경기 낙관론은 같은 기간 6%에서 19%로 늘었고, 비관론은 79%에서 60%로 줄었다.
갤럽은 이러한 변화를 대통령 탄핵소추안 가결과 직무 정지, 탄핵 인용 시 조기 대선을 통한 정권 교체 기대감으로 설명했다. 과거 문재인 정부 시절에도 진보층이 보수층보다 향후 경기를 더 긍정적으로 전망한 사례가 있었다.
자신의 살림살이 전망에 대해서는 나빠질 것이라는 응답30%이 좋아질 것이라는 응답14%보다 16%포인트 높았다. 53%는 비슷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국제분쟁에 대해서는 46%가 증가할 것, 19%가 감소할 것, 25%가 비슷할 것이라고 응답했다.
국제관계 비관론은 지난 10월 3년 내 최고치를 기록했지만, 이후 두 달 연속 완화한 것으로 나타났다. 도널드 트럼프 당선 후 불확실성 해소, 금융시장 변동성 적응 등이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됐다.
이번 조사는 무선97%·유선3% 자동응답 방식으로 진행됐고, 응답률은 15.5%였다. 표본오차는 95%신뢰수준에 ±3.1%포인트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angela0204@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관련링크
- 이전글홍준표 "아웃사이더가 기득권 깬다"…대권 출마 시사? 24.12.20
- 다음글민주 없고, 국민 없고, 조국 없고…조롱만 남았다 [이슬기의 정치 번... 24.12.20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