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국회 진입 특전사, 부대 발전사에 전두환 대통령 방문 기술
페이지 정보

본문
軍 안팎 “역사관 결여 도 넘어, 당장 삭제해야”

‘12·3 비상계엄’ 당시 서울 여의도 국회와 중앙선거관리위원회 과천청사 등에 투입된 육군 특수전사령부가 부대 홈페이지의 발전 역사에 전두환 대통령의 방문을 기술한 것으로 나타났다. 군 안팎에서는 ‘12·12 군사반란’ 이후 45년 만에 또다시 불법 계엄에 핵심부대로 참여한 특전사의 역사관 결여가 도를 넘었다는 비판이 나온다.
특전사 홈페이지의 ‘특전사 역사’ 항목은 태동기50년대와 창설기60년대, 발전기70~80년대, 도약기90년대, 웅비기2000년대~현재로 구분하고 있다.
이 가운데 ‘발전기70~80년대’의 주요 내용으로 ‘전두환 대통령 부대 방문85년 4월 6일’이 기술돼 있는 것. 1979년 ‘12·12 군사반란’을 주도하고 정권을 찬탈한 주역이 6년 뒤 군 통수권자가 돼서 부대를 찾은 것을 발전의 역사로 기록한 것이다. 해당 내용은 지금도 홈페이지에 그대로 기술돼 있다.
군 소식통은 “12·3 비상계엄 사태 이전부터 부대 홈페이지에 그런 내용이 기술돼 부적절하다는 논란이 있었다”고 했다. 전 전 대통령은 현역 시절 1공수여단 부단장과 단장을 지냈다. 이후 청와대경호실 차장보를 거쳐 보안사령관에 오른 뒤 박정희 대통령이 서거하는 10·26 사태가 터지자, 합동수사본부장을 맡아 정권 찬탈에 나섰다.
‘12·12 군사반란’ 당시 전두환 보안사령관 겸 합수부장은 특전사 예하 1공수여단장박희도, 3공수여단장최세창, 5공수여단장장기호에게 지시해 1800여명의 특전사 병력을 서울로 투입시켰다. 당시 특전사 병력은 국방부와 육군본부를 점령한 데 이어 특전사 본부를 습격해 정병주 특전사령관을 체포하는 한편 효창운동장으로 출동해 대기했다. 특전사는 당시 동원된 병력 중 가장 많은 수를 차지했다.
45년 뒤에 벌어진 ‘12.3 비상계엄’에서도 특전사는 핵심 참여부대라는 오명을 쓰게 됐다. 야당 의원에 국방부가 제출한 자료에 따르면 계엄 사태 당시 동원된 총 1500여명 병력 가운데 특전사가 1130여명1,3,9공수, 707특임단으로 가장 많았다.
군 관계자는 “이런 와중에 전두환 방문을 발전사로 기록한 것은 사실상의 역사 왜곡”이라며 “해당 내용을 당장 삭제하고, 12·12 사태를 반성의 역사로 제대로 기록해야 한다는 지적이 많다”고 했다.
윤상호 군사전문기자 ysh1005@donga.com
관련링크
- 이전글韓대행·이시바 통화…"한일관계 안정적 유지·발전 계속 협력"종합 24.12.19
- 다음글국힘 김상욱 "尹은 보수 아닌 극우주의자…당 안의 극우 암덩어리" 24.12.19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