일제히 李 독주 제동 거는 비명계…연대 가능성도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s://omedia.co.kr/img/no_profile.gif)
본문
‘야권 대안주자’ 놓고 본격 움직임
조기 대선 가능성이 커진 가운데 야권 비명계 주자들이 일제히 ‘이재명 일극 체제’에 대한 비판 목소리를 내기 시작했다. 민주당 지지율이 국민의힘에 역전당하는 여론조사가 잇따르고, 이 대표 선거법 2심 선고가 이르면 3월 말 나올 것으로 예상되자, 야권 대안 주자가 되기 위한 본격적인 몸풀기에 나선 것으로 보인다. 일각에선 ‘이재명 대세론’을 꺾기 위한 비명계 연대 가능성도 거론된다.
문재인 정부 경제부총리를 지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4일 다보스포럼 참석 후 귀국해 인천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과연 민주당이 지금의 이 위기를 극복할 수권 정당인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수밖에 없다”며 “민주당은 신뢰의 위기다. 민심이 떠나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의 일원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이제 경제의 시간이다. 이 경제의 시간에 책임지고 맡을 수 있는 유능함이 민주당에 필요하다”고 했다.
문재인 정부 국무총리를 지낸 김부겸 전 총리도 이날 SBS라디오에서 민주당의 지지율 하락세에 대해 “민주당에 대한 여러 가지 따끔한 경고가 오는 것”이라며 “강공 일변도의 태도에 대한 국민적 피로감이 있는 것 같다”고 했다. 김 전 총리는 대선 출마 의사를 묻는 질문에 “국정 안정과 민생 회복을 위해 제가 할 역할이 있으면 하겠다”고 답했다.
문재인 청와대 출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이 대표 혼자 모든 걸 다 잘할 수는 없다”면서 “친명의 색깔만으로는 과반수 국민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했다. 친문 적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전날 ‘일곱 번째 LAB 창립 기념 심포지엄’에서 “어느 한 사람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는 다원주의를 지향하면서 폭력적인 언행을 용납하지 않은 것을 국민께 똑똑히 보여드려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에게 비판적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당 분위기를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두관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정권 교체로 가는 길은 이재명의 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길이 있다”며 “오로지 당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기피하고 조기 대선을 위해 올인하는 모습으로 비쳐서는 안 된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비명계 주자들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2심 선고 결과 등을 고려해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가 1심징역 1년·집행유예 2년에 이어 2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형벌금 100만원 이상을 받을 경우 대선 출마 정당성을 놓고 논란이 예상된다. 당 지지율 하락 추세에 이 대표 사법 리스크까지 더해지면서 ‘이재명 일극 체제’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야권 일각에선 비명계 연대 가능성도 거론된다. 비명계들이 세력화하지 않고 각자 경쟁하다 보면 ‘이재명 대세론’을 꺾기 어렵다는 것이다. 김부겸 전 총리는 비명계 연대 가능성에 대해 “결국은 지금 탄핵에 찬성한 연합 세력의 폭을 넓혀야만 이 국면을 돌파할 수 있다”고 했다. 한 비명계 전직 의원은 “지난 총선 때 비명계가 모조리 경선 과정에서 탈락한 이유가 서로 힘을 합치지 않고 개별 대응하다가 전멸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힘을 합쳐서 싸워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당에 다양한 목소리가 있는 건 당을 위해서도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한 친명계 중진 의원은 비명계 주자들에 대해 “진짜 이재명을 이겨보려고 나오는 게 아니라, 향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한 행보 정도로 보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나 친명계 내에선 불편한 기색도 읽힌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결국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로 고꾸라지는 가능성에 기대서 움직이는 것”이라며 “이재명과 맞서는 그림으로는 절대 야권 지지층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했다.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주희연 기자 joo@chosun.com
문재인 정부 경제부총리를 지낸 김동연 경기도지사는 24일 다보스포럼 참석 후 귀국해 인천공항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민주당 지지율 하락과 관련해 “과연 민주당이 지금의 이 위기를 극복할 수권 정당인가에 대한 질문을 스스로에게 던질 수밖에 없다”며 “민주당은 신뢰의 위기다. 민심이 떠나고 있다”고 했다. 김 지사는 “민주당의 일원으로서 국민 여러분께 사과드린다”며 “이제 경제의 시간이다. 이 경제의 시간에 책임지고 맡을 수 있는 유능함이 민주당에 필요하다”고 했다.
![그래픽=송윤혜](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ch/2025/01/25/ch_1737760384843_480735_0.jpg)
그래픽=송윤혜
문재인 청와대 출신 임종석 전 대통령 비서실장도 이날 페이스북에서 “이 대표 혼자 모든 걸 다 잘할 수는 없다”면서 “친명의 색깔만으로는 과반수 국민의 신뢰를 얻기 어렵다”고 했다. 친문 적자로 꼽히는 김경수 전 경남지사도 전날 ‘일곱 번째 LAB 창립 기념 심포지엄’에서 “어느 한 사람의 독주를 허용하지 않는 다원주의를 지향하면서 폭력적인 언행을 용납하지 않은 것을 국민께 똑똑히 보여드려야 한다”고 했다. 이 대표에게 비판적인 목소리를 허용하지 않는 당 분위기를 비판한 것으로 해석된다. 김두관 전 의원도 페이스북에서 “정권 교체로 가는 길은 이재명의 길뿐만 아니라 다양한 길이 있다”며 “오로지 당대표의 사법 리스크를 기피하고 조기 대선을 위해 올인하는 모습으로 비쳐서는 안 된다”고 했다.
정치권에선 비명계 주자들이 조기 대선을 앞두고 이재명 대표의 선거법 2심 선고 결과 등을 고려해 본격적인 대선 행보에 나선 것이라는 분석이 나온다. 이 대표가 1심징역 1년·집행유예 2년에 이어 2심에서도 피선거권 박탈형벌금 100만원 이상을 받을 경우 대선 출마 정당성을 놓고 논란이 예상된다. 당 지지율 하락 추세에 이 대표 사법 리스크까지 더해지면서 ‘이재명 일극 체제’에 균열이 생길 수 있다는 것이다.
야권 일각에선 비명계 연대 가능성도 거론된다. 비명계들이 세력화하지 않고 각자 경쟁하다 보면 ‘이재명 대세론’을 꺾기 어렵다는 것이다. 김부겸 전 총리는 비명계 연대 가능성에 대해 “결국은 지금 탄핵에 찬성한 연합 세력의 폭을 넓혀야만 이 국면을 돌파할 수 있다”고 했다. 한 비명계 전직 의원은 “지난 총선 때 비명계가 모조리 경선 과정에서 탈락한 이유가 서로 힘을 합치지 않고 개별 대응하다가 전멸한 것”이라며 “이제라도 힘을 합쳐서 싸워야 한다”고 했다.
이러한 움직임에 대해 민주당 조승래 수석대변인은 “당에 다양한 목소리가 있는 건 당을 위해서도 나쁘지 않다”고 밝혔다. 한 친명계 중진 의원은 비명계 주자들에 대해 “진짜 이재명을 이겨보려고 나오는 게 아니라, 향후 자신의 정치적 입지를 위한 행보 정도로 보는 게 맞지 않겠느냐”고 했다. 그러나 친명계 내에선 불편한 기색도 읽힌다. 한 지도부 관계자는 “결국 이 대표가 사법 리스크로 고꾸라지는 가능성에 기대서 움직이는 것”이라며 “이재명과 맞서는 그림으로는 절대 야권 지지층의 신뢰를 얻을 수 없다”고 했다.
조선닷컴 핫 뉴스 Best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주희연 기자 joo@chosun.com
관련링크
- 이전글정희용 의원, 국정감사NGO모니터단 선정 우수의원상 수상 25.01.25
- 다음글김명수 합참의장, 공격헬기 아파치 탑승 25.01.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