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군 한국행 가능성은?…"귀순 요청 시 적극 협의"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북한군 한국행 가능성은?…"귀순 요청 시 적극 협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4회 작성일 25-01-13 20:58

본문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우리 국가정보원은 만약 붙잡힌 북한군이 한국행을 선택하면 우크라이나와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국제법적으로는 고려할 요소들이 많지만, 무엇보다 우리 정부의 의지가 중요하다는 지적이 많습니다.

이 내용은 안정식 북한전문기자가 짚어봤습니다.

<기자>

국가정보원은 국회 정보위 보고에서 북한군도 헌법상 우리 국민에 포함된다는 점을 들어 북한군 포로가 한국행을 선택한다면, 우크라이나 측과 적극 협의하겠다고 밝혔습니다.


[이성권/국회 정보위 국민의힘 간사 : 한국으로의 귀순이라고 해야 될까요? 요청이 오면 우크라이나와 협의를 지속적으로 하겠다는 입장을 가지고 있습니다.]

젤렌스키 우크라이나 대통령도 SNS에 올린 한글 메시지에서, 귀환을 원치 않는 북한군 포로의 한국행에 부정적이지 않은 모습을 보여 가능성은 열려 있는 상태입니다.

하지만, 북한군 포로의 한국행에는 고려할 요소들이 많습니다.

교전 중에 붙잡힌 포로는 전쟁이 끝나면 본국으로 송환해야 한다는 국제법 규정이 있기 때문입니다.

북한이나 러시아가 자국군 소속이라고 확인하지 않는다면 범죄인으로라도 데려올 여지가 있지만, 자국군 소속임을 인정해 전쟁포로 대우를 받게 되면 국제법 규정을 따라야 합니다.

[구병삼/통일부 대변인 : 이 문제는 국제법 등 법률적 검토와 함께 관계국과의 협의가 필요한 사안입니다.]

전문가들은 다만, 전쟁포로라도 송환 시 기본권 침해가 우려될 경우 예외 규정을 적용할 수 있다고 말합니다.

[변상정/국가안보전략연구원 북한연구실장 : 본국이 독재 국가이거나 인권 탄압 국가임이 자명할 경우에는 포로 송환을 강요할 수 없고 본인의 뜻에 따라서 본인이 원하는 나라에 잔류할 수 있다.]

실제로 우크라이나군 영상을 보면, 포로가 될 위기에 처한 북한군이 자폭을 시도하는 등 북한 인권침해의 심각성을 추론할 만한 근거들이 나오고 있습니다.

하지만 이런 예외조항을 현실화시키려면 우리 정부의 의지와 우크라이나 정부의 협조가 필수적입니다.

국정원은 파병 북한군의 피해규모가 사망 300여 명, 부상 2천700여 명에 달한다고 밝혔습니다.

영상취재 : 정성화, 영상편집 : 최진화, 출처 : 우크라이나군

안정식 북한전문기자 cs7922@sbs.co.kr

인/기/기/사

◆ [단독] "경호처, 김 여사 생일에 풍선 이벤트…벤츠 열자 현수막"

◆ 결혼 사진 보정해줬다가 폐업 위기…예비 부부들 난감

◆ 사람 탄 SUV 슥 올라탄 중국인, 갑자기 역주행하더니 쾅쾅

◆ "돌아가고 싶나" 묻자 답변이…생포 북한군 육성 담긴 영상

◆ 바닷물 동원 극한 상황인데…다가오는 악마의 바람 비상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Copyright ⓒ SBS.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738
어제
2,039
최대
3,806
전체
851,631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