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영 상관없이 만나겠다는 한동훈…탈당한 이준석에 손 내밀까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진영 상관없이 만나겠다는 한동훈…탈당한 이준석에 손 내밀까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8회 작성일 23-12-28 05:12

본문

뉴스 기사


진영 상관없이 만나겠다는 한동훈…탈당한 이준석에 손 내밀까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27일 서울 노원구 상계동 한 식당에서 탈당 및 신당 창당 선언 기자회견을 하고 있다. 공동취재 2023.12.27/뉴스1 ⓒ News1 박정호 기자




서울=뉴스1 노선웅 기자 = 이준석 전 국민의힘 대표가 결국 탈당하면서 한동훈 신임 비상대책위원장이 신당 창당을 예고한 이 전 대표에게 손을 뻗을지 주목된다.

전날26일 이 전 대표는 이전 자신의 출마 지역인 서울 노원구 상계동의 한 식당에서 탈당 기자회견을 열고 "저는 오늘 국민의힘을 탈당한다. 동시에 국민의힘에 제가 가지고 있던 모든 정치적 자산을 포기하겠다"고 밝혔다.

이 전 대표는 "마상득지, 마상치지馬上得之 馬上治之라는 말이 있다. 말 위에서 천하를 얻었다 해도 계속 말 위에서 다스릴 수는 없는 노릇"이라며 "대통령 선거가 끝난 지 2년이 다 되어 가는데도 왜 적장을 쓰러뜨리기 위한 극한 대립, 칼잡이의 아집이 우리 모두의 언어가 되어야 하냐"며 당을 겨냥하는 듯한 발언을 이어갔다.

그는 또 한동훈 비대위가 들어서면서 신당 창당의 동력이 약화되는 것 아니냐는 지적에 "한동훈 장관과 저는 이제 경쟁자 관계로 들어섰다고 생각한다"며 "경쟁자란 관계는 저희가 부인하거나 받아들인다고 형성되는 건 아닐 것이라고 생각한다. 저는 한 장관이 한다는 혁신에 있어서 좋은 혁신이 많이 나오면 좋겠다"고 했다.

이 전 대표 탈당 소식이 전해지자 국민의힘은 곧바로 짤막한 입장을 발표했다. 박정하 수석대변인은 "이 전 대표는 우리당에서 오랫동안 당원으로 활동해 오셨다. 그동안의 활동에 대해 감사하게 생각한다"면서도 "앞으로도 뜻하는 바 이루시기를 바란다"고 했다.

이를 두고 이 전 대표와 한동훈 비대위가 들어선 국민의힘이 결국 갈라졌다는 평가가 나온다. 특히 이전부터 한 위원장 취임 시 이 전 대표의 탈당 및 신당 파급력을 흡수할 거란 관측이 많아 이러한 움직임은 예상된 수순이라는 것이다.

한 위원장 역시 취임 기자회견에서도 이 전 대표의 탈당이 당에 영향을 미칠 거라고 보는지 묻는 질문에 "다양한 생각을 가진 많은 분들을 진영과 상관없이 만나고 경청할 것"이라면서도 "그렇지만 특정한 분들을 전제로 해서 만날 계획을 가지곤 있지 않다"고 원론적 입장을 밝히는데 그쳤다.

실제 한 위원장 취임 이후 당 안팎에선 이 전 대표 탈당 및 신당 움직임에 대한 관심 및 우려가 다소 사그러들었다는 평가가 나왔다. 수도권 출신이자 70년대생 무계파인 한 장관의 등장으로 그간 기득권에 영남권 일색이란 한계가 지적돼온 당이 달라졌다는 것이다.

여기에 김용태 전 최고위원 등 친이준석계로 분류되는 인사들이 신당 창당에 합류하지 않으면서 이 전 대표의 신당 창당 동력이 떨어졌다는 지적도 제기됐다.

실제 전날 이 전 대표 탈당 기자회견에는 김 전 최고를 비롯해 허은아 의원과 천하람 전남 순천갑 당협위원장, 이기인 경기도의원 등 전당대회부터 이 전 대표와 행보를 같이해 온 천아용인천하람·허은아·김용태·이기인 인사들 중 아무도 참석하지 않으면서 이들 사이 균열 양상을 보인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왔다.

이에 따라 국민의힘과 이 전 대표는 당분간 각자 노선을 걸을 것으로 보인다. 이 전 대표는 탈당 기자회견에서도 국민의힘과 총선 상황에서 재결합은 없을 것이라면서도 자체적으로 60~80명의 출마전력을 확보했다며 신당 경쟁을 예고하기도 했다.

다만 수도권 등 일부 지역에서 국민의힘이 이 전 대표 측과 보수 지지층 표를 나눠 가져 야권에 뒤질 경우, 단일화를 위한 화해의 손길을 뻗을 가능성은 여전히 배제할 수 없다는 전망도 있다. 특히 내년 총선이 대통령 임기의 중간 평가적인 성격을 갖는 만큼, 패배시 레임덕 등 치명적 타격을 입을 수 있을 수 있어 이를 막기 위한 갖가지 수단이 동원될 수 있다는 것이다.

그럼에도 현재 그 가능성은 현저히 낮다는 게 정치권 안팎의 예측이다. 이 전 대표가 지속적으로 정부의 입장 변화를 요구하며 대통령과 각을 세워온 만큼 당이 이 전 대표를 포용하기 위해선 대통령 차원의 대승적 결단이 필요하다는 점에서 별다른 계기 없인 그 실현 가능성이 낮다는 지적이다.

당장 이 전 대표는 한 위원장을 비롯한 당정이 받지 않기로 뜻을 모은 김건희 여사 주가조작 의혹에 대한 특검에 대해서도 오히려 당이 받아야 한다는 입장을 보이고 있다. 이날 야당이 국회 본회의에서 쌍특검대장동·김여사 의혹 법안에 대해 강행 처리를 예고하고 있는 만큼, 그 간극을 당분간 좁히긴 어렵다는 관측이 지배적이다.

buen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60
어제
1,607
최대
2,563
전체
410,37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