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 OECD 공공데이터 평가서 4회 연속 1위 > 정치기사 | natenews rank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뒤로가기 정치기사 | natenews rank

한국, OECD 공공데이터 평가서 4회 연속 1위

페이지 정보

작성자 수집기 작성일 23-12-22 20:29 조회 90 댓글 0

본문

뉴스 기사


한국, OECD 공공데이터 평가서 4회 연속 1위

정부세종청사 중앙동 전경. 행정안전부 제공 2023.3.2/뉴스1




서울=뉴스1 권혜정 기자 = 행정안전부는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실시한 2023 공공데이터 평가에서 대한민국이 1위를 차지했다고 22일 밝혔다. 지난 2015년, 2017년, 2019년에 이어 4회 연속 1위를 차지했다.

OECD가 이날 발표한 2023년 OECD 공공데이터 평가 결과 보고서에 따르면 우리나라는 종합 0.91점1점 만점으로 평가에 참여한 40개국 가운데 1위를 기록했다.

이는 OECD 평균0.48점보다 두 배 가량 높은 수준으로, 뒤를 이은 프랑스, 폴란드 등 상위 국가들에 비해 크게 앞섰다. 2위를 차지한 프랑스보다 약 10% 높은 점수다.

OECD 공공데이터 평가는 국제 공공데이터 헌장International Open Data Charter을 바탕으로 OECD 조사 대상국의 공공데이터 정책과 성과 평가를 위한 지수OURdata Index를 만들어 낸다.

한국은 고도화된 평가체계에서도 3개 분야에서 모두 상위권을 유지했으며 특히 데이터 활용을 위한 정부지원 부문은 1위, 데이터 가용성, 접근성에서는 2위를 차지했다.

가용성 분야는 사회문제 해결에 공공데이터를 활용한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우리나라는 0.84점을 받았다. OECD 평균은 0.48점이다. 국민수요가 높고 기후문제 등 사회문제 해결에 도움이 되는 데이터를 발굴#x2027;개방하는 국가중점데이터 개방계획과, 범정부 중장기개방계획을 적극 추진했고, 이 부분이 좋은 평가를 받았다.

접근성 분야는 국민의 공공데이터를 쉽게 활용할 수 있는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로, 우리나라는 0.9점을 받았다. OECD 평균은 0.59점이다. 공공데이터를 국민과 기업이 한층 편리하게 활용할 수 있도록 하는 공공데이터포털의 오픈API 자동변환 서비스로 높은 평가를 받았다.

비공개정보가 들어가 있어 개방이 곤란한 데이터라도 그 진위여부를 확인할 수 있게 하는 진위확인 서비스도 높은 평가를 받았다.

민간협업, 교육 등 공공데이터 정책을 위해 정부의 지원 정도를 평가하는 지표인 정부지원 분야에서 우리 나라는 회원국 중 유일하게 만점을 기록했다. OECD 평균은 0.37점이다.

향후 행안부는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등 관계기관과 함께 공공데이터 정책 추진에 더욱 박차를 가할 계획이다.

우선 데이터 생성#x2027;관리#x2027;제공#x2027;활용#x2027;폐기 등 데이터의 생애주기적 관리를 위해 올해 공공데이터법, 데이터기반행정법 개정을 추진하는 등 변화하는 데이터 환경을 적극 반영하여 제도를 정비한다.

이상민 행안부 장관은 "이번 최고 평가결과는 적극적으로 공공데이터를 개방한 정부, 공공데이터를 잘 활용한 기업과 국민 모두의 성과"라며 "앞으로도 기업과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고품질의 공공데이터를 보다 많이 개방하고, 데이터 활용도 제고를 위한 지원도 강화해나가겠다"고 밝혔다.

jung9079@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0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PC 버전으로 보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