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체포특권 포기" 석 달 만에 말 뒤집기…명분도 실리도 잃었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불체포특권 포기" 석 달 만에 말 뒤집기…명분도 실리도 잃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80회 작성일 23-09-21 20:16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밤 사이 민주당 안에선 체포동의안이 통과되는 초유의 사태를 막으려는 물밑 작업도 활발하게 벌어졌다고 합니다. 하지만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했다가 석 달 만에 다시 뒤집기엔 설득할 명분이 부족했단 분석이 나옵니다.

구혜진 기자가 짚어보겠습니다.

[기자]

체포동의안이 가결될 경우 당내 혼란을 수습할 방법이 없다는 주장에 힘이 실리며 밤사이 여론이 부결로 기우는 듯했습니다.

여러 계파의 중진 의원들이 이재명 대표로부터 비명계 표심을 바꿀 만한 약속을 받아내 당의 분열을 막겠다며 벌인 물밑 작업 등이 영향을 미칠 것으로 예상됐습니다.

본회의 직전 진행된 비공개 의원총회에서도 박광온 원내대표는 "부결에 투표해달라"고 호소했고, 비명계인 오영환 의원조차 "오늘만은 민주당의 숨은 붙여놓자"고 강조했습니다.

하지만 가결로 향한 표심을 부결로 돌리기엔 역부족이었습니다.

지난 6월 이재명 대표가 불체포특권 포기를 선언했다가 3개월 만에 뒤집은 게 결정적이었단 분석입니다.

[이재명/더불어민주당 대표 지난 6월 : 불체포 권리를 포기하겠습니다. 구속영장을 청구하면 제 발로 출석해서 영장실질심사 받고, 검찰의 무도함을 밝히겠습니다.]

어제 이 대표가 소셜미디어에 사실상 부결을 요청하는 메시지를 낸 것도 부정적 영향을 미쳤다는 분석입니다.

친명계는 비회기에 영장을 청구하라는 뜻이었다며 회기 중에 영장을 청구한 검찰에 책임을 돌렸지만 설득력은 떨어졌습니다.

불체포특권 자체가 회기 중 의원들이 갖는 특권이기 때문입니다.

한 비명계 의원은 "말을 바꾼 만큼 의원들이 부결에 표를 던질만한 명분이 필요했지만 이 대표가 명분을 제시하지 못했다"고 했습니다.

다른 비명계 의원도 "단식 등을 거치며 이 대표가 달라질 거란 기대가 없어졌다"고 했습니다.

[영상디자인 조성혜]

구혜진 기자 koo@jtbc.co.kr [영상취재: 김미란,김진광 / 영상편집: 최다희]

[핫클릭]

이것이 살인마 정유정 목소리…29일 악인취재기 공개

분노의 내동댕이 애플 앞에서 아이폰 박살 냈다 왜?

신발벗고 직원에 풀스윙…무소불위 권력 누린 조합장

강남 유명 성형외과서 눈 수술했는데…"한쪽 눈 실명"

"영치금으로 써라"…유아인, 수갑 차고 돈다발 맞았다

JTBC의 모든 콘텐트기사는 저작권법의 보호를 받은바, 무단 전재, 복사, 배포 등을 금합니다.
Copyright by JTBC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69
어제
1,673
최대
2,563
전체
439,582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