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모 육아휴직 3년 믿고 둘째 가졌는데"…국회에 발 묶인 모성보호 3...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부모 육아휴직 3년 믿고 둘째 가졌는데"…국회에 발 묶인 모성보호 3...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4-05-16 05:03

본문

뉴스 기사
[서울신문]대통령실이 ‘저출생수석’과 ‘저출생대응기획부’가칭 신설을 추진하며 저출생 해결에 드라이브를 걸고 있는 반면,정작 국회에선 관련법들이 정쟁에 파묻혀 폐기 위기에 놓여 있다. 특히 부부 육아휴직 기간을 총 2년에서 3년으로 연장하도록 한 ‘남녀고용평등법’의 경우 정부 예산까지 확보됐지만, 법안은 국회에 발이 묶여 있다. 현장에선 “정치권이 말로만 저출생 해결을 외치지만 정작 문제를 외면하고 있다”고 비판한다.

15일 국회에 따르면 환경노동위원회에 계류된 저출생 관련법은 ‘모성보호 3법’으로 일컫는 ▲남녀고용평등법 ▲고용보험법 ▲근로기준법 등이다. 여야는 이 법안들에 대해 대체로 이견이 없지만, 임기가 보름 정도 남은 21대 국회에서의 통과 여부는 불투명한 상황이다.

남녀고용평등법은 현재 부모가 한 자녀당 각각 1년씩 모두 2년을 쓸 수 있는 육아휴직을 1년 6개월씩 모두 3년 동안 쓸 수 있도록 규정했다. 고용노동부는 지난해 업무보고에서 “맞벌이 부부의 육아휴직 기간을 1년에서 1년 6개월로 확대한다”며 “육아기 근로시간 단축 대상의 자녀 연령을 만 8세에서 만 12세로 확대한다”고 대대적으로 홍보했다.


아울러 정부는 이를 전제로 올해 예산안을 편성하면서 육아휴직 급여 예산을 전년 1조 6964억원에서 1조 9869억원으로, 육아기 단축 급여 예산을 937억원에서 1490억원으로 각각 늘렸다.

고용보험법은 배우자 출산 휴가의 급여 지급 기간을 ‘최초 5일’에서 ‘휴가 전체 기간10일’으로 확대해 배우자 출산 휴가 제도를 활성화하도록 했다. 근로기준법은 1일 2시간으로 규정된 여성 근로자의 임신기 근로시간 단축 기간을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6주 이후’에서 ‘임신 후 12주 이내 또는 32주 이후’로 확대하는 내용이다. 조산 위험으로부터 임신부와 태아의 건강을 보호하기 위해서다.

지난 7일 소관 법률 처리를 위한 환경노동위원회 전체회의가 열렸으나 더불어민주당의 ‘채 상병 특검법’ 본회의 강행 처리에 대한 항의 표시로 여당 의원들이 전원 불참하면서 파행을 빚었다. 오는 29일 종료되는 21대 국회에서 이 법안들이 처리되지 못하면 22대 국회에서 다시 절차를 밟아야 한다.

국가 소멸 위기에 직면했다는 대한민국에서 정치권만 너무 한가하다는 비판이 나온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합계출산율여성 1명이 평생 낳을 것으로 예상되는 평균 출생아 수은 0.72명으로 전년의 0.78명보다 더 낮아졌다. 세계 최저 기록을 또 갈아치웠다.

맘카페 같은 육아 현장에선 “도대체 언제부터 연장되는 것이냐”며 혼란스럽다는 반응이다. 워킹맘 강모37씨는 “육아휴직 기간이 한 사람당 1년 6개월로 연장된다고 해서 둘째를 가졌는데 어떻게 되는 것이냐”며 “저출생 해결 의지가 보이지 않는다”고 꼬집었다.

장진복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기안84 사랑해”… 한혜진, 핵폭탄 급 고백
☞ 최재림, ‘18살 연상’ 박칼린과의 열애설
☞ 경북 청도 풀빌라서 실종된 6세 어린이…저수지서 숨진 채 발견
☞ “샤워하면서 소변 보더라”…공공수영장 ‘노시니어존’ 논란
☞ 10세 연하♥ 한예슬, 신혼여행 떠났다…남편 사진도 공개
☞ 연쇄 성폭행범 ‘수원 발발이’가 돌아왔다…주민들 불안
☞ “손녀와 자매로 오해 받아요”…65세 몸짱 할머니
☞ “새가 돌아다니는 것 같아요”…어린이용 우비 난리난 日
☞ 계획된 도주였나… 의혹 증폭되는 김호중 뺑소니 사건
☞ 손님이 요청란에 남긴 ‘한마디’…카페 사장 울렸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274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09,78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