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0년 뒤 국민연금 고갈?…"못 받을 거 왜 내요" 2030 불신 커진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30년 뒤 국민연금 고갈?…"못 받을 거 왜 내요" 2030 불신 커진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4회 작성일 24-04-18 10:20

본문

뉴스 기사
[MT리포트]2020년생이 온다③

[편집자주] 2020년은 출생아수가 사상 처음 20만명대로 내려앉은 해다. 사망자수보다 출생아수가 적어지면서 인구의 자연감소가 시작된 해이기도 하다. 올해는 2020년생이 만 3세로 유치원에 입학하면서 사회 조직에 첫발을 들이게 된다. 2027년엔 초등학교 입학, 2039년엔 대학교에 들어가거나 직장을 찾게 된다. 2020년생이 서른이 되는 2050년엔 국민연금 고갈이 예상된다. 국민연금을 더 내고도 덜 받는 대표적인 세대가 되는 셈이다. 초저출생 시대에 2020년생이 가진 사회적 상징과 파생될 문제를 짚어봤다.

본문이미지
보험요율 대비 기금 소진 시점/그래픽=이지혜
초저출생 기조에 사회가 더욱 빠르게 고령화되면서 국민들의 노후를 책임질 국민연금도 고갈 위기를 맞고 있다. 국민연금의 고갈 시점은 2055년으로 예상된다. 저출생이 심각해진 2020년생의 경우 한창 일할 35세에 국민연금이 사라지는 셈이다. 국회에서는 이를 막기 위해 개혁안을 논의 중이지만 이 마저도 고갈 시점을 2062~2063년으로 미루는데 그쳐 여전히 추가 대책이 필요하다.

18일 보건복지부의 제5차 국민연금 종합운영계획안에 따르면 국민연금의 현재 보험료율 9%, 기금수익률 4.5% 가정을 유지할 경우 2055년에 소진된다. 현재 구조대로라면 2020년생이 65세가 되는 2085년까지 유지하기 위해서는 보험료율은 2배 이상 높여야 한다. 그마저도 수령 시작 시점까지 유지한다는 뜻일 뿐 2020년생이 남은 생에 국민연금을 계속 받을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니다. 국민연금에 대한 젊은 세대의 불신이 높아지면 연금제도에서 이탈하려는 사례가 급증할 수 있다.

국민연금 고갈은 보험요율이 1998년부터 26년간 유지되고 있는데 반해 시간이 갈 수록 생산연령인구15~64세보다 노령인구65세 이상가 많아지기 때문이다. 생산연령인구 비중은 올해 70.1%에서 2020년생이 40세가 되는 2060년 49%로 처음으로 50%를 밑돌게 된다. 반면 노령인구는 현재 19.2%에서 45.7%로 급증해 2명 중 1명은 연금으로 생활하게 된다.


미래세대의 부담을 덜어주기 위해 보험료율을 조속히 올려야 한다는 여론이 사회 전반적으로 형성되고 있지만 연금 개혁 논의는 시간에 쫓기고 있다. 국회 연금개혁특별위원회연금특위는 시민대표단 500명을 꾸려 공개토론회를 진행하고 있다. 토론회는 오는 20~21일에 3·4차를 마친 뒤 22일에 시민대표단의 설문조사 결과를 발표한다. 정부는 당초 21대 국회가 끝나는 5월 말까지 국민연금법 개정을 끝내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지만 연금특위 의원 중 절반이 낙선하거나 공천을 받지 못해 추진 동력이 떨어진 상황이다.

특히 시민대표단이 논의할 1안 더 내고 더 받기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50%와 2안 더 내고 그대로 받기보험료율 13%, 소득대체율 40%도 각각 고갈시점이 2062년, 2063년으로 예상되면서 보완이 필요하다. 1안의 경우 70년간 누적적자가 702조원 늘어나 재정수지가 오히려 악화되기 때문이다.

아울러 시민대표단에 20~30대 비중이 낮아 미래세대의 의견을 충분히 담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대표단에서 20~30대 비중은 24.9%에 불과하지만 50대 이상은 44.1%에 달한다. 대표단을 현재 인구 구성대로 꾸린 탓이다. 정부 관계자는 "국민연금을 내야 하는 20~30대를 과표집 해야 한다는 의견도 있었으나 공론 조사 방식 관행상 현행 인구구조를 따르게 됐다"며 "어느쪽으로 개혁 방향이 정해지더라도 연금 고갈은 피할 수 없어 젊은 세대를 위한 방안은 재논의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관련기사]
뇌출혈로 쓰러진 30대 배우, 장기기증…3명 살리고 하늘로
정글의법칙 10년 헌신했는데…김병만 "팽 당했다" 분노, 무슨일
태진아 이태원 건물, 11년만 4배 올라…홍석천 "내가 사려했는데"
"어머니, 증여세 확 줄어요"…식당 차린다는 아들 웃는 이유
오정태 엄마 내로남불? "청소는 여자가 해야" 며느리 타박하더니…
아파트서 5만원권 수백장 우수수…뿌린 주민 징역 2년, 무슨 일?
"김치냉장고 사줘" 시모 요구에 "친정에도 똑같이" 응수한 며느리
전 남친 폭행으로 숨진 20대, 신고 11번 했지만…방어했다고 쌍방 됐다
태진아 아들 이루 "어머니 치매 투병" 호소하더니…집유 확정
인기 유치원마저 줄휴원…2020년 저출생 충격파 시작에 불과하다
주차칸 반도 안 걸친 민폐 주차…"연락처도 없어, 택시 타고 출근"
심형탁, 결혼반지 뺐다…사야 "우리는 끝났습니다" 분노
아인슈타인 사망하자…"왜 천재였지?" 동의 없이 뇌 조각내 보관[뉴스속오늘]
"국평 11억?" 눈총 받던 이곳, 2억 마피 떴다…미분양 털기 시름
"푸바오 보는데 1만원"…영상 또 공개, 관객 공개 빨라질 수도

정인지 기자 injee@mt.co.kr 유효송 기자 valid.song@mt.co.kr

ⓒ 머니투데이 amp; mt.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338
어제
1,610
최대
2,563
전체
426,9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