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총선 수검표 1.2만명 더 불렀는데…자동분류기 오류 0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단독]총선 수검표 1.2만명 더 불렀는데…자동분류기 오류 0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회 작성일 24-04-18 05:01

본문

뉴스 기사


중앙선거관리위원회는 이번 4·10 총선에서 투표지 분류기가 한 건의 오작동도 일으키지 않았다고 17일 밝혔다. 그간 선거 결과 조작을 주장해온 일부 세력은 분류기를 의심해왔다. 선관위는 이를 불식하고자 이번 총선에 1만2000여명을 동원해 30년 만에 수검표를 실시했다.

지난 10일 대전 중구 한밭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개표 사무원들이 유권자들이 기표한 투표용지를 분류작업 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지난 10일 대전 중구 한밭체육관에 마련된 개표소에서 개표 사무원들이 유권자들이 기표한 투표용지를 분류작업 하고 있다. 김성태 기자

선관위에 따르면 일부 개표소에서 분류기가 작동하지 않아 예비 분류기를 사용한 사례는 있지만, 후보 기호를 섞어서 분류하는 오류는 없었다. 이번 총선에선 비례대표 투표용지 길이가 분류기의 수용 한도를 초과해 지역구 투표 개표 때만 분류기를 사용했다.


2002년 제3회 지방선거에서 처음 도입된 분류기는 기표 모양과 위치를 인식한 뒤 후보자별로 투표지를 분류하는 보조 기기로 활용돼왔다. 부정선거 음모론자들은 유튜브와 SNS를 통해 “분류기를 해킹해 개표 결과를 조작할 수 있다”는 의혹을 꾸준히 제기해왔다.

4년 전 21대 총선 때 충남 부여지역 개표소의 분류기 오작동으로 기호 2번 표가 1번 후보의 득표함에 섞여 들어가 선관위 직원이 고발되는 일도 있었다. 21대 총선에서 미래통합당으로 출마했다가 낙선한 민경욱 전 의원이 분류기와 서버 등을 이용해 개표 결과를 조작했다며 선관위를 상대로 선거 무효소송을 냈지만, 대법원은 2022년 7월 “구체적 증명 없이 의혹 제기에 그친다”고 기각했다.

대법원의 판단에도 조작 의혹이 이어지자 선관위는 이번 총선에서 수검표를 도입했다. 투표함을 연 뒤 분류기를 거쳐 기호별로 분류된 투표용지가 심사ㆍ집계부로 넘어가기 전에 수검표 단계를 추가했다. 이를 통해 개표 사무원들이 일일이 기호별 투표용지 분류가 정확한지, 무효표가 없는지 등을 확인했고, 이후 심사계수기를 거쳐 득표수를 계산했다.

수검표 끝에 분류기에 문제가 없다고 결론내렸지만 인력과 예산 낭비는 피할 수 없었다는 게 선관위 입장이다. 수검표가 추가되면서 개표 사무원은 4년 전 총선보다 1만2000여명이 늘어난 7만6000여명이 동원됐다. 8년 전과 비교하면 2만9000여명이 늘었다. 10~11일 이틀 근무를 기준으로 개표 사무원의 수당 15만원을 계산하면 인건비로만 최대 18억원이 추가됐다.

개표 사무원을 충원하는 것도 난관이었다고 한다. 통상 선거 업무 경험이 많은 지자체 공무원들이 투ㆍ개표 사무원으로 동원됐지만, 전국공무원노조는 “공무원 희생을 강요하는 강제노동”이라며 공개적으로 반발하기도 했다. 이번 총선 개표 사무원 중 공무원은 약 3만2000명으로 절반 이상을 대학생과 공기업 직원ㆍ은행원 등 민간인으로 채웠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이 지난달 7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이 지난달 7일 경기 과천 중앙선거관리위원회에서 중앙일보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 장진영 기자


선관위는 부정선거 의혹이 해소될 때까지 수검표를 유지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이다. 김용빈 선관위 사무총장은 지난달 중앙일보 인터뷰에서 “사람의 눈과 손으로 하는 것보다 투표지분류기가 더 정확하다”며 “국민이 분류기를 의심하지 않을 때까지 계속 보여주려고 한다”고 말했다.

이창훈 기자 lee.changhoon1@joongang.co.kr

[J-Hot]

자궁 없애야 끝나는 병…입속에 숨은 충격 범인

"가해자 누나는 배우"…부산 20대女 추락사 폭로

대만, 韓잠수함 훔쳤다? 文정부 미스터리 행적

음주운전 김새론, 2년 만에 복귀…맡은 역할 깜짝

황정민 강남 건물 두 채 190억대…80억 뛰었다

중앙일보 / 페이스북 친구추가
넌 뉴스를 찾아봐? 난 뉴스가 찾아와!

ⓒ중앙일보https://www.joongang.co.kr,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이창훈 lee.changhoon1@joongang.co.kr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53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7,793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