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I 서울 정상회의 참가국 장관들 서울 성명…28개국 참여종합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AI 서울 정상회의 참가국 장관들 서울 성명…28개국 참여종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4-05-22 19:09

본문

뉴스 기사
韓 AI·반도체 비전도 포함…한·영 장관 "AI 리스크 공동 대응"

AI 서울 정상회의 참가국 장관들 서울 성명…28개국 참여종합

서울=연합뉴스 이정현 기자 = 22일 서울 성북구 한국과학기술연구원KIST에서 열린 AI 서울 정상회의 장관 세션의 결과물인 서울 장관 성명이 28개국의 참여로 채택됐다.

이날 열린 장관 세션에는 공동개최국인 한국의 이종호 과기정통부 장관과 영국 과학기술혁신부 미셸 도넬란 장관의 주재로 미국, 일본, 프랑스, 독일, 캐나다, 호주, 유럽연합, 유엔 등 21명의 대표단이 참석했다.

아울러 삼성전자, SK텔레콤, LG AI 연구원 및 해외의 구글 딥마인드, 앤트로픽 등 국내외 유수의 기업과 학계·시민사회까지 총 22명의 주요 인사가 참여했다.

장관 세션에서는 전날 정상 세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강조한 AI 안전 연구소의 네트워킹 등 글로벌 협력 방안과, 에너지·환경·일자리 등 AI의 잠재적 부작용에 대해 회복 탄력성을 확보하기 위한 방안을 깊이 있게 논의했다.

이를 토대로 AI 안전·혁신·포용 증진을 위한 서울 장관 성명을 채택했고, 여기에는 저전력 반도체 등 AI 확산에 따른 막대한 전력 소모에 대응하기 위한 대한민국의 AI·반도체 비전이 포함됐다.

정부는 최근 AI 글로벌 거버넌스 논의가 영미권을 중심으로 추진되는 가운데, 비영미권인 대한민국에서 정상회의를 개최한 것은 의미가 크다고 강조했다.

한편, 오전 열린 고위급 라운드테이블에는 미셸 도넬란 영국 과학혁신기술부 장관, 크리술라 자카로풀루 프랑스 개발국제협력부 국무장관, 자닐 푸투치어리 싱가포르 정보통신부 선임 국무장관, 고학수 개인정보보호위원회 위원장, 세스 센터 미국 국무부 핵심·신흥기술특사대행 등 70여 명의 고위급 인사가 모여 AI 혁신, 안전, 포용을 주제로 논의했다.

참가자들은 오픈소스 모델과 데이터 공유를 통한 협력·개방적 AI 혁신 방안을 논의하면서 AI 기술이 아닌 AI의 위험한 적용이 규제의 대상이 돼야 하며, AI 위험성 평가는 사실과 데이터를 바탕으로 이뤄져야 한다는 점에 공감했다.

이틀간 행사가 끝난 후 이종호 장관은 브리핑에서 "AI 서울 정상회의와 AI 글로벌 포럼을 통해 AI와 같은 최첨단 영역에서도 우리나라가 국제사회에 어젠다를 제시하고 규범 형성을 주도해 나갈 리더십이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또 "이번 서울에서의 성과를 내년 프랑스에서 개최되는 AI 행동 정상회의로 이어나가 국제사회 역량을 결집해 AI의 안전·혁신·포용을 달성하는 서울 효과를 일으키기를 바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AI 안전문제에 선제적 대응을 위해 연내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내 AI 안전 연구소를 만들겠다는 방침을 공개했다.

이 장관은 기업들을 향해서도 "기업이 이윤을 위해 혁신만 할 수 없고 안전과 포용을 동반하지 않으면 성장이 어렵다"며 이날 14개 기업이 참여한 서울 기업 서약을 다시 강조했다.

미셸 도넬란 장관은 "6개월 전 영국 블레츨리 공원에 정상들이 모여 책임감 있는 AI의 미래를 구상했는데, 그동안 인상적인 진전이 많았다. 오늘 서울에서도 새로운 시작점을 알렸다"며 "AI가 비약적으로 발전하면서 이 기술을 모두의 선을 위해 발전시켜야 할 책임이 있다"고 말했다.

이어 딥페이크와 딥보이스 등의 부작용을 언급하며 "AI는 자연적인 현상이 아니고 인간이 만들어낸 것이기에 우리가 이를 구성하고 방향을 바꿀 힘도 가졌다. 사회적 시스템에 회복력이 있어야 AI 리스크에도 대응할 수 있다"고 덧붙였다.

lisa@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음주 뺑소니 김호중 구속영장 청구…콘서트는 강행
검찰, 사생활 폭로·협박 황의조 형수 2심도 징역 4년 구형
죽은 자식 차마 놓지 못하는 어미 침팬지…스페인 동물원 울컥
말레이 이어 싱가포르도 뉴진스님 반대…"승복 공연 모욕적"
이문세, 13년 만에 라디오 DJ로 복귀…MBC 라디오 개편
직원들 통해 1186억 대출 알선받은 메리츠증권 前임원 구속영장
수사망 빠져나가는 운전자 바꿔치기…처벌은 솜방망이
난기류 아수라장 싱가포르항공기…"사람·물건 휙휙 날아다녀"
외도 의심 여친 사무실 찾아가 살해한 50대…"말다툼 끝 범행"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97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049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