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첫 고위당정정책협의회 개최…매주 정례화, 정책 협력 강화한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단독] 첫 고위당정정책협의회 개최…매주 정례화, 정책 협력 강화한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회 작성일 24-05-23 05:03

본문

뉴스 기사
[서울신문] 성태윤·정점식·방기선 등 첫 회의
“개별 부처의 스크리닝 기능 강화”
총리 등 참여 당정협도 매주 개최

尹, 與초선 비례 당선인들과 만찬
“연금·교육개혁 미래 위해 꼭 필요”


대통령실이 주관하는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가 22일 처음으로 개최됐다. 해외 직구 사태를 계기로 대통령실과 정부, 여당이 정책 협력을 강화해야 한다는 지적이 나오자 매주 한 차례 회의를 열기로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이날 기자들과 만나 “오늘22일 오전 당정 간 정책 협의를 강화하기 위한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를 가졌다”고 밝혔다.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에는 성태윤 대통령실 정책실장과 정점식 국민의힘 정책위의장이 참석했다. 정부에서는 방기선 국무조정실장, 김병환 기획재정부 1차관이 나왔다.

이들은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를 매주 정례화하기로 했다. 또 개별 현안에 대한 당정대 협력을 강화하기로 뜻을 모았다. 특히 정부의 정책 스크리닝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대통령실이 모든 정책을 사전에 스크리닝할 순 없다”며 “그래서 개별 부처의 정책 스크리닝 기능을 강화하기로 했다”고 했다.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는 부정기적으로 열리는 고위 당정 협의회와 달리 정책 사안에만 초점을 맞춘다. 한덕수 국무총리, 정진석 비서실장, 황우여 국민의힘 비상대책위원장이 참여하는 기존 고위 당정 협의회도 매주 일요일 여는 것으로 정례화했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매주 일요일에 열리는 고위 당정 협의회는 정책뿐 아니라 큰 틀의 논의가 이뤄진다면, 고위 당정 정책협의회는 정책이 한층 구체적으로 논의되는 당정 간 협의체”라고 설명했다.

이날 첫 회의의 구체적인 안건은 공개하지 않았으나, ‘해외 직구 사태’에 대한 후속 조치가 논의된 것으로 예상된다. 대통령실 고위 관계자는 “서민과 중산층 시대를 열 정책과 산업 강화 정책을 논의했다”고 말했다.

실무급이 참석하는 실무 정책협의회도 별도로 개최한다. 개별 안건마다 참석자는 바뀌고 당에서는 정책위 부의장, 수석전문위원 등이 참석할 예정이다.

추경호 국민의힘 원내대표는 기자들과 만나 “당정 협의를 위한 회의는 여러 형태로 자주 있을 것”이라며 “이번 주에도 여러 장관이 적극적으로 협의하겠다고 했다”고 말했다. 정 정책위의장도 “수시로 공식적인 고위 당정뿐 아니라 장차관들과 함께 국회 내에서 정책에 대해 이야기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정책 발표의 주도권을 당 중심적으로 하겠다는 것인가’라는 질문엔 “주관 부처에서 하더라도 당과 사전에 협의해 하는 것이라고 생각하면 된다”고 답했다.

한편 당과의 소통을 강화하고 있는 윤석열 대통령은 이날 관저에서 국민의힘 초선 비례대표 당선인 16명과 가진 만찬에서 “현재 추진 중인 연금개혁이나 교육개혁 등은 국가와 국민의 미래를 위해 꼭 필요하다”고 강조했다고 한 참석자가 전했다.

이민영·장진복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강형욱 논란 속…수의사 설채현이 SNS에 올린 글
☞ “배우 아닌 엄마”…자녀 학교 찾은 ‘이영애’ 학부모룩
☞ 트럼프, 부인 성폭행 장면 담겼다…‘기립박수’ 나온 영화
☞ 김동성, 포크레인에서…건설 현장 ‘포착’
☞ 아파트 상가 화장실에서 ‘영아 시신’ 발견
☞ 김호중 “블루투스 만지다 사고…성대 위해 소주 10잔”
☞ “지분율 28.3%”…‘컬투’ 정찬우, 김호중 소속사 3대 주주
☞ 홍인규, 月수입 6000만원…배용준·류현진·김래원과 절친
☞ 졸업식서 1인당 130만원씩 뿌린 美억만장자…조건은
☞ 현직 아이돌 ‘야구장 데이트’ 중계 화면에 딱 걸렸다


[ 관련기사 ]

☞ 與 “특검 반대 당론, 흐트러짐 없이 관철” 김웅 “국민의힘 ‘숨은 이탈표’ 최소 10명”
☞ MZ 원내지도부, 청년 표심 끌어올까
☞ 친정에 연일 쓴소리한 김진표 “팬덤, 의원 당선 기여 0.1%도 안 돼”
☞ 국민 마음 못 읽는 ‘3無 정부’
☞ 여야 법사위원장 쟁탈전, 그 뒤엔 무소불위 권력 ‘국회법 86조’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675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7,12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