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대통령, 소통 강화 한다더니 비공개 사과…왜?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尹 대통령, 소통 강화 한다더니 비공개 사과…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0회 작성일 24-04-17 00:03

본문

뉴스 기사

尹 대통령, 참모 회의서 소통 강화 거듭 강조
일각선 "불분명한 메시지" 지적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과 참모회의에서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과 참모회의에서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대국민 사과했다고 대통령실이 전했다. 다만 사과 방식이 다소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국무회의에서 자료를 정리하고 있는 모습. /뉴시스

[더팩트ㅣ박숙현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16일 여당의 참패로 끝난 총선 결과에 대해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총선 이후 처음으로 대국민 사과했다. 그러나 비공개 회의에서 이같이 밝히면서 메시지의 의미가 퇴색됐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정 쇄신 방안 중 하나로 소통 강화를 외친 것과 대조적인 모습을 보여 메시지에 혼선을 준다는 평가다.

윤 대통령은 이날 국무회의 마무리 발언과 참모회의를 통해서 "국민들께 죄송하다"고 말했다. 이에 대해 대통령실 관계자는 "무엇보다 대통령부터 국민의 뜻을 잘 살피고 받들지 못해서 죄송하다는 의미"라고 해석했다.

윤 대통령은 또 "선거 결과는 한편으로는 당의 선거운동이 평가를 받은 것이지만, 또 한편으로는 정부의 국정운영이 국민들로부터 평가를 받은 것이다, 매서운 평가를 받은 거라고 받아들인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향후 국정 쇄신의 방안으로 소통 강화를 거듭 강조했다. 윤 대통령은 "대통령인 저부터 잘못했고, 앞으로 대통령인 저부터 소통을 더 많이, 더 잘해 나가겠다"며 "장관들과 공직자들도 국민과 소통을 비롯해서 소통을 더 강화해 달라"고 여러 번 강조했다. 이어 "매서운 평가의 본질은 더 소통을 하라는 것"이라고도 했다.

다만 총선 참패 이후 직접 처음 입장을 밝히는 중요한 사안에서 대국민 메시지 전달 방식이 아쉽다는 지적이 나온다.

윤 대통령은 총선 후 별도의 공식 일정 없이 대국민 메시지와 국정쇄신 방안을 고심해왔다. 대국민 담화나 기자회견을 통한 입장 발표도 거론됐지만 총선 엿새 후 이날 국무회의를 통해 메시지를 전달하기로 결정했다. 이에 이날 국무회의에서 윤 대통령의 공식 발언에 관심이 집중 됐었다. 생중계로 공개된 국무회의 모두발언은 이란-이스라엘 충돌 사태와 세월호 10주기 등 현안을 제외하면 약 9분 분량이었다.

지난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 국민께 드리는 말씀 발표에 앞서 인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
지난 1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대국민 담화 국민께 드리는 말씀 발표에 앞서 인사하는 윤석열 대통령. /대통령실

특히 윤 대통령의 사과는 비공개 회의에서 언급된 것이다. 이를 두고 메시지의 취지와 전달의 효과를 고려할 때 적절하지 않았다는 평가도 나온다.

김진애 전 열린민주당 의원은 자신의 페이스북에 윤석열 국무회의 발언에, 온 몸의 진이 다 빠집니다. 발언 공개 땐 사과 안하고, 비공개 때 사과했다고요? 국민 우롱, 해도해도 너무합니다라는 제목의 글을 올리고 "모두발언에서 총선 심판에 대한 사과나 죄송, 단어 하나 없었다. 관례 상의 국민에 고개 숙이는 인사도 없었다. 왜 국민담화나 기자회견을 안 택하고 국무회의 발언으로 퉁치려고 한 건가"라고 지적했다. 이어 "남 탓 하는 제3자 화법으로 일관했다. 나는 잘했다. 집행하는데 정교하지 못했고 세심하지 못했다. 국무장관들 탓이라는 건가"라고 덧붙였다. 특히 윤 대통령이 비공개 회의에서 사과한 데 대해선 "비공개 발언에서 사과했다, 국회와 협치에 나설 거다 운운...지난 번 의정갈등 담화 때도 그러더니 또!"라며 "이런 불분명한 메시지로 어떻게 국정을 감당할 수 있다는 건가"라고 비판했다.

온라인 상에선 "대통령이 비공개로 사과하는 건 처음 본다", "사과를 비공개로 하는 건 도대체 뭔가" 등의 반응이 나왔다.

역대 사례를 살펴보면 10년 이내 전임 대통령들도 주요 선거 참패 이후 공개 사과는 하지 않고, 국정기조를 이어가겠다는 메시지를 내왔다. 문재인 대통령은 4·7 재·보궐선거 참패 이후 처음 열린 국무회의에서 "정부는 국민에게 무한 책임을 진다는 자세로 흔들림없이 국정에 임해야 한다"고 했다. 박근혜 전 대통령도 2016년 여당의 총선 참패 이후 처음 열린 청와대 수석비서관회의에서 "이번 선거의 결과는 국민의 민의가 무엇이었는가를 생각하는 계기가 됐다. 국민의 민의를 겸허히 받들겠다"는 원론적인 메시지를 내는 데 그쳤다. 당시 두 대통령 모두 비공개 회의에서도 별도로 사과는 하지 않았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공개 발언과 비공개 발언에서 온도 차이가 굉장히 많이 느껴진다는 지적에 대해 "국무회의에서 하는 모두 발언은 기본적으로 국민들께도 전달되지만 국무위원들을 함께 자리하면서 장관들에 대한 메시지도 되기 때문에 국정운영 차원에서 주로 메시지에 중점을 두고 발언한 것으로 이해하면 된다"고 했다. 이어 "윤 대통령이 소통을 강조하지 않았나. 대통령의 소통이 국무회의 모두발언을 통해서만 이루어지는 게 아니고, 앞으로 많은 소통의 기회가 있다"고 덧붙였다.


unon89@tf.co.kr

발로 뛰는 더팩트는 24시간 여러분의 제보를 기다립니다.
▶카카오톡: 더팩트제보 검색
▶이메일: jebo@tf.co.kr
▶뉴스 홈페이지: http://talk.tf.co.kr/bbs/report/write

[인기기사]

· 尹 대통령 "국민께 죄송"…국정기조 유지·소통 강화 방점

· 해병대원 특검법 박차…정국 주도권 쥐는 민주당

· 화장실서 쓰러져 숨진 박보람 부검…국과수 "사인 미상"

· [팝업스토어 오픈②] "더비를 위한 공간"…더보이즈 팝업 현장 속으로

· [단독] 이화영, 김성태 주가조작 혐의 고소…"北 계약금 500만불 허위 기재"

· 삼성전자, 美 반도체 보조금 9조 받는다…인텔·TSMC 이어 3번째

· 파주 호텔 투신 남성 2명, 백초크 검색 기록…금전 목적 계획범죄 무게

· [포토 르포] 세월호 참사 10주기…우리는 잊지 말고 기억해야 한다

· 삼성전자도 인텔도 앞다퉈 찾았다…촘촘해지는 네이버 AI 반도체 동맹

· "2024 루키는 누구?"…오감 사로잡을 오디션 프로그램[TF프리즘]

- 특종과 이슈에 강하다! 1등 매체 [더팩트]
- 새로운 주소 TF.co.kr를 기억해주세요! [http://www.TF.co.kr]
- 걸어 다니는 뉴스 [모바일웹] [안드로이드] [아이폰]
- [단독/특종] [기사제보] [페이스북] [트위터]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96
어제
1,540
최대
2,563
전체
410,10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