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남도, 2030년까지 1조원 규모 수산식품 산업 육성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경남도, 2030년까지 1조원 규모 수산식품 산업 육성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4-04-15 11:32

본문

뉴스 기사
2030 경남 수산식품산업 육성계획 발표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가 오는 2030년까지 수산식품을 1조원대 산업 규모로 육성한다.

도는 15일 수산식품산업을 경남의 새로운 성장산업으로 키우기 위한 중장기 로드맵 2030 경남 수산식품산업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최근 수산식품산업 성장에도 불구하고 경남은 산업규모 5800억원으로 전남, 부산, 경기에 이어 4위 수준에 머물고 있다. 2030년까지 수산식품 산업규모를 1조원으로 끌어 올려 71% 성장시키고, 수산식품 천만 불 수출기업 6개를 2030년까지 12개로 두배 늘리겠다는 목표를 제시했다.

수산식품 산업을 경남의 새로운 성장산업으로라는 비전 속에 수산식품 기업 체질개선을 통해 수출기업을 육성하고, 잘 팔리는 제품 개발을 지원하고, 온라인 중심의 판매 전략을 펼칠 계획이다. 이를 실현하기 위해 2030년까지 총 2702억원국비 1151억원, 지방비 984억원, 민자 567억원이 투입된다.

경남도, 2030년까지 1조원 규모 수산식품 산업 육성
수산식품클러스터 조감도 [사진=경남도] 2024.04.15

기업 수산식품산업 체질개선

우선 인프라 부분에서는 통영에 867억원을 들여 4800여 평 규모의 수산식품 클러스터를 조성할 계획이다.

수산식품 창업·연구개발Ramp;D·가공·마켓팅이 연계된 종합단지형 클러스터로서 청년창업소, 연구개발실, 공유형 플랫폼밀키트, 소스 등, 소셜커머스 스튜디오와 임대형 가공공장 6개가 들어설 예정이다. 외식창업분야 전문업체인 더본코리아, 패키징기술센터, 서울먹거리창업센터, 경상대 해양과학대학과 협업을 통해 전문성과 기술력을 높여 수산식품산업 발전의 구심점을 구축할 계획이다.

현재 통영 도산면에는 수산식품 거점센터임대형 가공공장 3곳, 창업사무실 6곳, 수산물 처리저장시설이 운영되고 있으며, 올해 연말 새로운 임대형 수산물 가공공장 6곳가 완공될 예정으로 향후 수산식품 클러스터와의 시너지 효과가 기대된다.

경남의 수산식품 업체당 연매출은 18억원으로 전국 평균 19억 7000만원, 일반식품 업체 평균 23억 1000만원 대비 각 8.6%, 22.1% 낮아 비교적 영세하고, 부산의 어묵, 전남의 김과 같은 대표상품도 부족하다. 수출기업 또한 전체 96개 중 연간 수출 천만 불 이상 기업이 6개, 500~1000만 달러 기업이 10개, 500만 달러 이하 기업이 80개로 대부분 영세하다.

도는 영세성 탈피와 대표기업 육성을 위해 현재 6개인 천만 달러 수출기업을 2030년까지 12개로 두배 늘린다는 계획이다. 이를 위해 매년 5억 원을 투입해 수출 규모별로 업체를 선정하고, 수출에 필요한 해외시장 조사, 해외판촉 행사, 구매자바이어 상담, 제품 홍보 등 수출 전분야에 걸친 1:1 맞춤형 밀착 지원을 통해 천만 불 기업으로 키워낸다는 구상이다.

가공공장 자동화 장비·시스템, 신·증축, 수산물 처리·저장시설 지원을 위해 760억원을 투입해 수산물 가공에 필요한 인력을 자동화로 대체할 계획이다.

◆잘 팔리는 고품질 수산식품

최근 코로나를 거치면서 가정간편식 시장이 2021년 4,039%, 22년 288% 초고속 성장하고 있음에도 경남 수산식품은 이를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 경남도는 단순히 맛있는 수산식품 개발에서 잘 팔리고, 소비자가 찾는 식품으로 개발 방향을 전환한다.

매년 새로운 수산식품 개발에 6억원을 투자하고 개발된 수산식품은 2차년도에 집중 마케팅을 통해 판매에 주력할 방침이다. 식품개발 단계부터 온라인 유통사 등과 협업을 통해 잘 팔릴 수 있는 제품 위주 개발 전략을 세웠다.

경남도 최초 수출 1억 달러 스타품목 육성을 위해 굴 수출에 주력할 방침이다. 2030년까지 672억원을 투입해 도내 굴까기 작업장 179곳 중 노후화된 123개를 현대화된 위생시설로 전면 교체해 수출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고부가가치 활굴 수출을 위해 수출 전용 컨테이너 개발, 제작을 지원해 나갈 계획이다.

2404151130040130.jpg
중국 틱톡 수산물 홍보 [사진=경남도] 2024.04.15

◆온·오프라인 전락적 지원

최근 세계적인 온라인 시장 확대 추세에 발맞춰 중국 온라인 티몰T-mall 입점을 지원한다. 매년 10개 업체를 선정해 티몰 페이지 디자인, 틱톡 홍보, 할인행사에 1억 원을 지원해 나갈 예정이다.

일본, 중국, 독일 식품박람회 참가, 미국, 베트남, 태국 수산물 판촉행사, 해외바이어 초청 수출상담회 개최 등 공격적 수출 시장 확대로 지난해 경남 수산물 수출 사상 최대치인 2억 5000만 달러을 또 한번 갱신한다는 계획이다.

국내 판매는 온라인을 중심으로 할인쿠폰 발행, 홈쇼핑, PPL 홍보, 판촉전 개최 등에 10억 원을 매년 투자하여 전방위 마케팅을 펼칠 예정이다.

이 외에도 수산물 브랜드화를 위해 포장재, 디자인 개발과 경남도 자체 수산물 브랜드 청경해 홍보에 매년 2억 8000만원을 지원한다.

조현준 경남도 해양수산국장은 "경남은 수산 일번지 명성에도 불구하고 아직까지 김, 어묵과 같은 대표 수산식품이 없고 다른 시도에 비해 상대적으로 영세한 현실"이라며 "수산식품 산업규모 1조원 달성이 쉽지는 않겠지만 수출기업 집중육성, 새로운 제품 개발, 온라인 시장 개척 등 정책 방향 전환을 통해 차근차근 준비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


저작권자c 글로벌리더의 지름길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Newspim,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33
어제
1,295
최대
2,563
전체
430,97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