핵심광물 공급망 탈중국…한미몽 3자 협의체 출범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핵심광물 공급망 탈중국…한미몽 3자 협의체 출범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2회 작성일 23-06-27 21:32

본문

뉴스 기사
[서울신문]한국과 미국, 몽골이 27일 ‘핵심광물 3자 협의체’를 열고 글로벌 공급망 안정을 위한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 한국과 미국이 핵심광물에 대한 중국 의존도를 낮추는 ‘디리스킹위험제거’ 차원에서 소다자 협력 구체화에 나선 것이다.

외교부는 이도훈 2차관이 이날 몽골 울란바토르에서 호세 페르난데스 미 국무부 경제차관, 잠말 간바타르 몽골 광업중공업부 장관과 핵심광물 3자 협의체를 출범시켰다고 밝혔다. 한국과 미국, 몽골이 3자 고위급 회의를 연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세 나라는 광물 샘플 분석 협업을 추진하고 한국·몽골, 미국·몽골 양자 간 추진하고 있는 광물 탐사정보도 공유해 공통 관심 지역을 발굴하기로 했다. 특히 한미몽 고위급 협의와 함께 열린 민관 협의세션에서는 몽골의 광물자원 시장 현황과 잠재력에 대한 정보를 교환했다. 외교부는 “몽골의 주요 수출품인 석탄과 구리 외에도 희토류·리튬 등 배터리 소재 핵심 광물의 개발 가능성에 대해 심도있는 논의가 진행됐다”고 설명했다.3국은 또 핵심광물 관련 고위급 협의를 이어가고 실무 협의도 정례화하기로 했다. 오는 10월 열리는 ‘몽골 광물 주간’에 한미몽 기업간거래B2B 라운드테이블도 주선할 예정이다. 한국은 지난해부터 ‘한·몽 희소금속협력위원회’ 신설을 추진하고 있다. 이 차관은 전날 다쉬젝베 아마르바야스갈랑 몽골 내각관방부장관과 만나 “한국이 몽골의 광물산업 발전을 위한 역량 개발 지원과 관련 인프라 구축에 적극 참여할 것”이라고 전했다.

이번 3자 회의는 반도체·이차전지 등 첨단산업에 필수적인 핵심 광물의 공급망을 안정적으로 확보하기 위한 노력의 일환이다. 한국 측의 적극적 제안에 따라 개최된 것으로 알려졌다. 구리 매장량이 세계 2위인 몽골에는 첨단산업 필수소재인 희토류도 다량 매장된 것으로 추정되나 기술 부족으로 영토의 3.7%만 자원탐사가 진행된 상태다. 외교부 관계자는 “한미몽 핵심광물 3국 협력을 핵심광물안보파트너십MSP 파트너국과 자원보유국 간 협력의 주요 모범 사례로 발전시켜 나갈 계획”이라고 밝혔다.

서유미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하루 주차비 ‘216만원’ 오피스텔…“건물주가 정했다”
☞ 솔의눈, 누가 사먹나 했더니… ‘호불호甲’ 음료의 大반전
☞ 유찰 7번 수모 ‘짝퉁 거북선’, 낙찰자마저 포기했다
☞ “양육비 달라” 아빠 사진 들고 시위…미혼모 유죄
☞ 콜로세움에 애인 이름 새기고 ‘씩~’…이탈리아 공분
☞ AI가 만든 걸그룹 합성사진…음란물 악용 가능성 우려
☞ “무책임한 성관계로 임신, 입양 노력도 안해”…징역 3년
☞ 국내 서핑장서 ‘욱일기’ 서프보드 탄 日 아이
☞ 인구 4명인 ‘이나라’…“대통령에 육·해군 병력까지”
☞ 20대 여성 보며 바지 내린 50대 “땀 닦으려고” 황당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83
어제
1,352
최대
2,563
전체
433,76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