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로 줄었던 외국인의 귀환…외국인 주민 226만 역대 최대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코로나로 줄었던 외국인의 귀환…외국인 주민 226만 역대 최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4회 작성일 23-11-08 12:01

본문

뉴스 기사
총인구서 차지하는 비중도 4.4% 최고치…K-컬처 열풍으로 유학생 크게 늘어
전국 17개 시·도 모두 증가세…1위는 75만명 사는 경기도

코로나로 줄었던 외국인의 귀환…외국인 주민 226만 역대 최대외국인주민 증가 추이
[행정안전부 제공]

서울=연합뉴스 양정우 기자 = 국내에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수가 약 226만명으로 집계됐다.

이는 가장 많은 인원이 집계된 2019년222만명보다 4만명 늘어난 것으로, 통계를 작성한 2006년 이래 최대 규모다.

총인구에서 차지하는 비중도 4.4%로 역대 최고치를 기록했다.

8일 행정안전부가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 자료를 분석해 발표한 2022년 지방자치단체 외국인 주민 현황에 따르면 2022년 11월 1일 기준 3개월 초과 국내 장기 거주 외국인 주민 수는 모두 225만8천248명이었다.

전년보다 12만3천679명5.8% 증가했다.

국내 외국인 주민 수는 코로나19 확산으로 인한 입국 통제 등으로 2020년과 2021년에 감소세를 나타냈으나, 코로나19 사태가 해소되면서 다시 증가세로 돌아섰다.

유학생과 외국 국적 동포가 각각 3만2천709명20.9%, 2만9천명7.9% 늘어 전체 외국인 증가세를 이끌었다.

유형별로는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가 175만2천346명, 한국 국적을 취득한 자가 22만3천825명으로 집계됐다.

국내에서 출생한 외국인 주민 자녀는 28만2천77명이다.

한국 국적을 가지지 않은 자를 유형별로 보면 유학생은 18만9천397명으로, 결혼이민자17만5천756명를 처음으로 넘어섰다.

국내 대학들은 학령인구 감소로 입학생 모집에 애를 먹으면서 외국인 유학생 유치에 경쟁적으로 나서고 있다. K-컬처 열풍으로 한국에 대한 선호도가 높아진 것도 외국인 유학생의 증가세를 이끌고 있다.


PYH2023100617570005300_P2.jpg한글날 맞이 한국어 퀴즈대회 참가한 외국인 유학생들
대구=연합뉴스 윤관식 기자 = 한글날을 사흘 앞둔 6일 대구 달서구 계명대학교 체육관에서 열린 제577돌 한글날 기념 한국어 퀴즈대회에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어 골든벨을 하고 있다. 2023.10.6 psik@yna.co.kr

꾸준히 증가해온 외국 국적 동포는 39만7천581명에 달했다.

외국인 근로자는 7천964명2.0% 늘어난 40만3천139명으로 집계됐다.

불법체류자 등을 포함한 기타 외국인은 58만6천473명이었다.

지역별로는 전국 17개 모든 시·도에서 외국인 주민 수가 늘어났다.

경기3만7천10명↑, 서울1만5천546명↑, 인천1만2천171명↑에서 증가세가 두드러졌다.

가장 많은 외국인이 사는 지역은 경기도75만1천507명였다.

전국 시·군·구 별로는 안산10만1천850명, 수원6만8천633명, 시흥6만8천482명, 화성6만6천955명, 부천5만5천383명 순으로, 상위 5개 지역이 모두 경기도에 속했다.

외국인 주민이 1만명 이상 또는 인구 대비 5% 이상 거주하는 외국인 주민 집중 거주지역은 작년보다 11곳 늘어난 97곳으로 집계됐다.

시·도별로는 경기 23곳, 서울 17곳, 경북·경남 각 9곳, 충남 8곳이었다.

eddie@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축구 스타 네이마르 여친·딸 겨냥해 강도…인명피해는 없어
"빈대까지 배송되면 어쩌죠"…택배 받기 찜찜한 소비자들
"승진 약속 안 지켰다"…전 직원이 파주시장 상대로 소송
오타니, 밥 11공기 먹으며 몸 키워 이도류 완성
남현희 이틀만에 경찰 재출석…"정말 몰랐다" SNS서 억울함 호소
"안철수씨 조용히 하세요"…이준석, 식당 옆방에 고함
신화 전진 부친 가수 찰리박 별세…카사노바 사랑 등 발표
"왜짖어" 이웃 반려견 때려 숨지게 하곤 "정당방위" 주장한 70대
페라리로 시속 167㎞ 구자균 LS일렉트릭 회장 약식기소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286
어제
724
최대
2,563
전체
441,328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