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 대통령, 책상 치며 "홍장원 전화는 계엄과 무관"
페이지 정보
본문
홍장원 전 국가정보원 1차장이 12·3 비상계엄 당시 윤석열 대통령으로부터 정치인 체포와 관련해 직접 지시받았다고 헌법재판소에서 증언했습니다.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정치인이 아닌 간첩 체포를 지시했다고 반박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어제4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지난해 12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다면서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두 번째 전화는 비상계엄을 위한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온 것을 보고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는 것을 안 뒤, 계엄 선포를 하고 오후 11시가 다 돼서 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두 번째 전화에 대해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한 것"이라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자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지시를 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증언했는데, 윤 대통령은 "담당인 국정원 2차장도 아닌 1차장한테 계엄 사안과 관련한 무슨 부탁을 하냐"며 즉각 반박했습니다.
또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탄핵부터 내란 몰이, 이런 모든 프로세스가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12월 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한테 넘어가면서 시작된 것"이라는 게 윤 대통령의 설명입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도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이날 윤 대통령은 지난 4차 변론과 달리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증인 신문 내내 주로 눈을 감거나 증인을 쳐다보며 증언을 청취했습니다.
홍 전 차장의 발언에 반박할 때는 다소 흥분한 듯 양손을 크게 휘젓거나 책상을 내려치기도 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네이버에서 MBN뉴스를 구독하세요!
김주하 앵커 MBN 뉴스7 저녁 7시 진행
MBN 무료 고화질 온에어 서비스 GO!
lt;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gt;
이에 대해 윤 대통령 측은 정치인이 아닌 간첩 체포를 지시했다고 반박했습니다.
|
사진 = MBN |
윤 대통령은 어제4일 오후 헌법재판소에서 열린 탄핵심판 5차 변론에서 홍 전 차장의 증인 신문이 끝난 뒤 발언권을 얻어 "지난해 12월 3일 두 차례에 걸쳐 홍 전 차장과 통화했다"고 밝혔습니다.
첫 번째 전화는 조태용 국정원장이 미국 출장중인 것으로 잘못 알고 저녁에 홍 전 차장에게 전화했다면서 "국정원장 부재니 국정원을 잘 쟁겨라, 전화할 일 있을지 모르니 비화폰을 챙겨라"라고 말했다고 설명했습니다.
이어 두 번째 전화는 비상계엄을 위한 국무회의에 조 원장이 온 것을 보고 조 원장이 국내에 있는 것을 안 뒤, 계엄 선포를 하고 오후 11시가 다 돼서 했다고 말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이 두 번째 전화에 대해 "해외 순방 때 국정원의 해외 담당 파트가 여러 가지 경호 정보를 많이 도왔기 때문에 격려 차원에서 한 것"이라면서 "계엄 사무가 아닌 간첩 검거와 관련해 방첩사국군 방첩사령부를 도와주라는 얘기를 한 것"이라고 설명했습니다.
그러자 홍 전 차장은 윤 대통령으로부터 싹 다 잡아들이라는 지시를 받은 뒤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체포 대상자의 위치 추적을 도와달라는 요청을 받았다고 증언했는데, 윤 대통령은 "담당인 국정원 2차장도 아닌 1차장한테 계엄 사안과 관련한 무슨 부탁을 하냐"며 즉각 반박했습니다.
또 "국정원은 수사권이 없고 검거는커녕 위치 추적을 할 수가 없다"며 "체포 관련 내용 자체가 말이 안 된다고 저는 보고 있다"고 강조했습니다.
윤 대통령은 자신이 조 원장의 건의를 받아들여 홍 전 차장 해임안을 결재한 이후 폭로가 시작됐다고 주장하기도 했습니다.
"탄핵부터 내란 몰이, 이런 모든 프로세스가 홍 전 차장이 작성한 메모가 12월 6일 국회에서 더불어민주당 박선원 의원한테 넘어가면서 시작된 것"이라는 게 윤 대통령의 설명입니다.
윤 대통령 측 김계리 변호사도 "대통령은 간첩들을 싹 다 잡아들이라고 말한 것"이라며 "구체적인 이야기를 하지 않았는데 증인 혼자 그렇게 이해한 것 아니냐"고 반박했습니다.
한편, 이날 윤 대통령은 지난 4차 변론과 달리 직접 증인에게 질문하는 것이 금지되면서 증인 신문 내내 주로 눈을 감거나 증인을 쳐다보며 증언을 청취했습니다.
홍 전 차장의 발언에 반박할 때는 다소 흥분한 듯 양손을 크게 휘젓거나 책상을 내려치기도 했습니다.
[최유나 디지털뉴스 기자 chldbskcjstk@mbn.co.kr]
MBN 화제뉴스
네이버에서 MBN뉴스를 구독하세요!
김주하 앵커 MBN 뉴스7 저녁 7시 진행
MBN 무료 고화질 온에어 서비스 GO!
lt; Copyright ⓒ MBNwww.mbn.co.kr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gt;
관련링크
- 이전글또 맹탕 내란 국조특위…위원마저 무용론 제기·실효성 논란도 25.02.05
- 다음글안철수 "부정선거, 증거 없어…反이재명 뭉쳐야"[만났습니다①] 25.0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