尹 지지율 51%…탄핵 인용돼야 51.4% vs 기각돼야 46.9%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https://omedia.co.kr/img/no_profile.gif)
본문
![尹 지지율 51%…탄핵 인용돼야 51.4% vs 기각돼야 46.9%](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hk/2025/02/05/ZN.39304209.1.jpg)
사진=뉴스1
윤석열 대통령의 지지율이 50%를 넘어섰다는 여론조사 결과가 나왔다. 윤 대통령의 지지율이 과반을 넘은 건 탄핵 소추로 직무가 정지된 이후 이번이 처음이다.
헌법재판소가 윤 대통령에 대한 탄핵소추안을 인용해야 한다는 의견과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의 응답률이 오차범위 내로 좁혀졌다.
여론조사 업체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 1~2일 이틀간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윤 대통령 탄핵안 관련 의견을 조사해 5일 발표한 결과에 따르면 인용돼야 한다는 51.4%, 기각돼야 한다는 46.9%로 나타났다.
앞서 에이스리서치가 뉴시스 의뢰로 지난해 12월 5주차에 실시한 여론조사에서는 윤 대통령을 탄핵해야 한다는 의견이 61.2%, 기각해야 한다는 의견이 37%를 기록한 바 있다. 탄핵 인용은 9.8%P포인트 하락했고 탄핵 기각은 9.9%P 올랐다.
![](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hk/2025/02/05/ZN.39324133.1.jpg)
지난 1월 25일 오후 서울 종로구 경복궁역 일대에서 열린 윤석열 대통령 탄핵 촉구 집회에서 참석자들이 윤 대통령의 파면 등을 촉구하며 깃발 입장 퍼레이드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연령별로 분류하면 탄핵 인용 의견은 20대인용 57.4%, 기각 40.9%, 40대인용 63%, 기각 35.5%, 50대인용 58.2%, 기각 41.8%에서 높게 나타났다. 반면 30대인용 46.6%, 기각 51%, 60대인용 45.6%, 기각 52.3%, 70대 이상인용 34.1%, 기각 62.4%은 기각 의견이 더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 4일 보수 성향 채널 펜앤드마이크에 따르면 여론조사공정이 지난 2~3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2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조사에서 ‘윤 대통령을 지지한다’는 응답률은 51.0%로 집계됐다.
‘지지하지 않는다’는 47.8% ‘잘 모르겠다’는 1.1%였다.
![](http://thumbnews.nateimg.co.kr/view610///news.nateimg.co.kr/orgImg/hk/2025/02/05/ZN.39358064.1.jpg)
지난 1월 30일 오후 경기 의왕시 서울 구치소 앞에서 윤석열 대통령 지지자들이 윤 대통령 석방 촉구 및 응원 집회를 하고 있다. 사진=뉴스1
이는 직전 조사보다 ‘지지한다’는 응답이 2.9%P 올랐고, ‘지지하지 않는다’는 4.2%포인트 내린 결과다.
구체적으로 ‘지지한다’는 응답 중 ‘매우 지지한다’는 36.2%, ‘어느 정도 지지한다’는 14.9%였고, ‘지지하지 않는다’는 응답 중 ‘전혀 지지하지 않는다’는 41.0%, ‘거의 지지하지 않는다’는 6.8%였다.
성별로는 남성은 ‘지지한다’ 50.7%, ‘지지하지 않는다’ 48.5% 수치를 보였으며, 여성은 각각 51.4%, 47.1%로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20대 이하49.0%, 50.2% ▲30대48.6%, 51.4% ▲40대46.9%, 51.9% ▲50대44.5%, 54.4% ▲60대57.8%, 41.1% ▲70세 이상61.1%, 36.1% 등이다.
지역별로 ▲서울 ‘지지한다’ 46.5%, ‘지지하지 않는다’ 52.4% ▲경기·인천 52.1%, 47.6% ▲대전·세종·충남북53.4%, 45.8% ▲광주·전남북42.4%, 57.6% ▲대구·경북53.6%, 43.2% ▲부산·울산·경남56.2%, 41.8% ▲강원·제주52.6%, 44.1% 등이다.
해당 조사 응답률은 전체 5.1%, 표본오차는 95% 신뢰수준에 ±3.1% 포인트다.
두 여론조사 자세한 사항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이미나 한경닷컴 기자 helper@hankyung.com
관련링크
- 이전글내란 국조특위, 동부구치소 찾아…"김용현 거부로 현장조사 무산" 25.02.05
- 다음글유승민 MBC 방송에 나와 직격탄…"오요안나 사건 왜 MBC만 침묵" 25.02.05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