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재명, 6·10 기념식 정부측 불참에 "옹졸함 이해할 수 없어"종합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이재명, 6·10 기념식 정부측 불참에 "옹졸함 이해할 수 없어"종합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51회 작성일 23-06-10 11:57

본문

뉴스 기사


이재명, 6·10 기념식 정부측 불참에 quot;옹졸함 이해할 수 없어quot;종합

10일 오전 서울 명동대성당 꼬스트홀에서 열린 제36주년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서 참석자들이 광야에서를 합창하고 있다. 왼쪽부터 지선 민주화운동기념사업회 이사장,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 이정미 정의당 대표, 윤희숙 진보당 상임대표. 2023.6.10/뉴스1 ⓒ News1 구윤성 기자




서울=뉴스1 이서영 기자 =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표는 10일 6·10 민주항쟁 기념식에 정부측과 여당 지도부 등이 참석하지 않은 것에 대해 "민주주의를 시작했던 오늘의 현장을 대통령과 정부 당국자들이 보이콧 한 점에 대해 매우 유감스럽게 생각한다"고 밝혔다.

이 대표는 이날 서울 명동대성당에서 열린 6·10 민주항쟁 기념식 이후 기자들과 만나 "극히 사소한 이유를 핑계로 공식적 정부 행사를 비토한다는 것이 과연 있을 수 있는 일인가. 정부의 옹졸함을 이해할 수 없다"며 이같이 말했다.

그는 "지금의 정부도 지금의 대통령도 우리 국민들의 손으로 직접 구성된 정부이자 대통령"이라며 "6·10 항쟁이 없었다면 오늘의 윤석열 대통령도 오늘의 정권도 없었다는 점을 직시해야 한다"고 거듭 유감을 표했다.

이어 "민주주의는 저절로 오는 것도 아니고 또 저절로 지켜지는 것도 아니다"며 "결국 민주주의는 정권이나 권력자들이 아니라 국민이 만들고 지켜나가는 것이라는 점을 깨닫게 하는 참담한 현장"이라고 덧붙였다.

이날 이 대표가 자신의 페이스북에 낡은 이분법 청산하는 것이 6월 정신 지키는 길입니다라는 글을 게재한 가운데 이 대표는 낡은 이분법의 의미에 대해서는 " 적 아니면 아군, 이런 생각으로는 이 다원화된 사회를 통합적으로 이끌어가기가 어렵다"고 했다.

그는 "현 정부에게 또 현 대통령에게 취향에 맞는 국민도, 맞지 않는 국민도 있을 것"이라며 "자신들의 생각과 다르다고, 자신들의 지향과 가치와 어긋난다는 이유로 경찰봉으로 우리 국민과 노동자들을 폭행하고, 캡사이신 최루탄을 준비하고, 물대포를 준비하는 그런 생각으로는 다양한 다원화된 사회를 제대로 이끌어가기 어렵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아울러 "6·10 기념식 현장이 참으로 썰렁해 보이기는 하지만 이게 지금 대한민국 민주주의의 현주소라는 생각이 든다"며 "민주주의에 대한 이 정권과 여당의 태도가 이렇다는 점들을 우리 국민들께서 직접 목도한 것"이라고 말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의 국가 이익은 누가 지켜낼 것인지를 적나라하게 보여준 현장이라는 생각이 든다"며 "참혹하지만 또 바닥에 닿아야 새로이 출발할 수 있는 것처럼 6·10항쟁 기념일에 현장에서, 국민들께서 다시 한번 이 나라를 생각해주시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앞서 이 대표는 자신의 페이스북에 "독재정권의 통치는 언제나 권력의 반대편을 악마화하는 것에서 시작됐음을 잊지 말아야 한다"며 "내가 선善임을 입증하는 가장 간편한 방법은 상대편을 악惡으로 규정하는 것인데, 지금도 이러한 과오를 범하지 않는지 돌아봐야 한다"고 지적했다.

seol@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18
어제
1,390
최대
2,563
전체
436,97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