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범도 장군이 포병 이끌었다고?…국방부, 공적 표기 오류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홍범도 장군이 포병 이끌었다고?…국방부, 공적 표기 오류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2회 작성일 23-09-05 09:49

본문

뉴스 기사


홍범도 장군이 포병 이끌었다고?…국방부, 공적 표기 오류

군이 육군사관학교 뿐만 아니라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고故 홍범도 장군 흉상에 대해서도 필요시 이전을 검토하겠다고 밝혔다. 사진은 28일 서울 용산구 국방부 청사 앞에 설치된 고故 홍범도 장군 흉상 모습. 2023.8.28/뉴스1 ⓒ News1 박응진 기자




서울=뉴스1 허고운 기자 = 국방부가 서울 용산구 청사 앞에 설치한 홍범도 장군의 흉상 앞에 그의 항일투쟁 공적 내용을 잘못 새긴 것으로 5일 확인됐다.

홍 장군 흉상 밑의 설명문에는 홍장군에 대해 "의병장이자 독립운동가"로 "1907년 11월 포병 부대를 조직해 삼수, 갑산 일대에서 의병전쟁을 전개했다"라고 쓰여 있다. 이를 영어로 번역한 부분에는 "organized an artillery unit"이라는 표현이 담겼다. artillery는 대포 혹은 포병대의 뜻을 갖고 있다.

하지만 홍 장군이 포병 부대나 artillery unit에서 활동했다는 것은 역사적 사실과 거리가 멀다. 홍 장군은 총을 잘 쏘기로 유명한 포수였으며, 일제의 총포기화류 일제 단속법이 발령된 이후 다른 포수들과 의병 봉기를 결의했다.

당시 홍 장군 등이 사용한 무기는 현재의 총에 해당한다. 현재 군에서는 포병이나 전차부대 등에서 포를 다루는 병사를 포수라고 부르는데, 이는 총기 사수를 뜻하는 과거의 포수라는 말과는 용례가 다르다.

국방부 앞 영웅들의 흉상 중 설명에 오류가 제기되는 건 홍 장군만이 아니다.

안중근 의사의 흉상에는 그의 영문 이름이 Ahn, Jung-guen으로 적혀 있는데, 이는 안중구엔으로 읽힐 소지가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국립국어원의 외래어표기법에 따르면 근의 경우 geun으로 표기하는 것이 적합하다.

hgo@news1.kr

Copyright ⓒ 뉴스1.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000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8,140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