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국민 소통 늘리는 尹…민생토론회도 이달 재개 [용산실록]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대국민 소통 늘리는 尹…민생토론회도 이달 재개 [용산실록]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4-05-02 09:37

본문

뉴스 기사
尹 발언 대폭 줄이고 경청 모드로


대국민 소통 늘리는 尹…민생토론회도 이달 재개 [용산실록]
윤석열 대통령이 지난 4월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 청사에서 열린 민생토론회 후속 조치 2차, 경제분야 점검 회의에 참석해 발언하고 있다. [연합]

[헤럴드경제=서정은 기자] 윤석열 대통령이 4·10 총선 참패 후 대국민 소통을 늘리기로 한 가운데 대통령실이 이달 중 민생토론회를 다시 재개한다. 그동안 민생토론회가 정책·입법 과제 등을 알리고 논의하는데 초점을 뒀다면, 다시 시작될 ‘민생토론회 시즌2’에서는 실질적인 민생 현안에 대한 이야기가 오갈 것이라는 관측이다.

2일 대통령실에 따르면 이달 민생토론회 재개를 위해 관련 비서실에서는 주제, 일정, 방식 등을 놓고 세부안을 논의 중이다. 연초부터 시작됐던 민생토론회는 지난 3월 24일까지 총 24차례에 걸쳐 진행됐다. 이 가운데 윤 대통령은 한 차례 빼고 모두 참석했었다.

대통령실은 ‘민생토론회 시즌2’를 기획하며 형식 등에서도 대폭 변화를 주겠다는 입장이다. 그동안 진행된 민생토론회가 윤 대통령의 모두발언, 각 부처 수장들의 주제 발표, 토론, 윤 대통령의 마무리 발언 등 전형적인 순서로 반복된만큼 변주가 필요하다는 판단이다. 참모들 사이에서는 윤 대통령의 발언 비중이 높아 민생과의 소통 취지보다는 일방적인 전달에 치중됐다는 의견도 제기돼왔다.

윤 대통령이 ‘소통 강화’를 내세운만큼 향후 진행된 민생토론회에서는 윤 대통령의 발언 비중이 대폭 줄어들 전망이다. 모두 발언, 마무리 발언이 대폭 줄어드는 것은 물론이고 참여 패널 등도 보다 다양해질 전망이다.

특히 대통령실은 국민들의 의견을 경청하는 데 취지를 더욱 살리기로 가닥을 잡았다. 총선 후 여소야대 지형이 이어지는만큼 입법 사안을 다루는 것에 대한 현실성이 떨어진다는 인식도 깔려있다. 주제도 보다 더 구체화된 방식으로 고민 중이다. 앞서 대통령실은 연중 내내 민생토론회를 진행할 것이라는 의사를 밝힌 바 있다.

대통령실 관계자는 “민생 현안으로 주제를 잡을 것”이라며 “수도권·지방 두루두루 가긴 하겠지만, 횟수도 이전보다는 줄어들 것”이라고도 전했다.

또 다른 관계자도 “소통은 그동안 많이 해오지 않았냐”며 “다만 민생에 더 다가가기 위해 그 방법에 대해서 고민을 하는 것”이라고 말했다.

최근 홍철호 정무수석이 “국민들 눈물 있는 곳에 계시라” 조언했고, 윤 대통령은 “알겠다”며 공감했다고 한다. 윤 대통령이 소통 확대를 통해 민생 중심 국정운영을 펼치겠다고 한만큼 대언론 접촉도 보다 늘어날 전망이다. 대통령실은 내주 10일 전후로 추진될 취임 2주년 기념 기자회견을 위한 본격적인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lucky@heraldcorp.com

[베스트 클릭! 헤럴드 경제 얼리어답터 뉴스]
▶ 채연, 알고 보니 건물주…"작업실·연습실·루프탑 다 있어"
▶ "민희진, 올 초 뉴진스 계약 해지권한 요구…하이브는 거절"
▶ “잔고 50만원”→“月 4000만원 매출” 대박난 걸그룹 출신 카페 사장
▶ ‘1000억원→28억원’ 민희진, 주주간 계약 위반으로 빈손 퇴장?
▶ “선수 보호보다 경기가 중요?”…뼈까지 보였는데 구급차 못 탄 이유가
▶ 제주 흑돼지 이러다 망하겠네…"나도 비계 테러 당했다" 논란 또 터졌다
▶ “왜 샀지?” 반응나온 기안84 ‘46억’ 노후건물, 5년만 가격봤더니
▶ 유재석 출연료 얼마일까?…유연석이 직접 물어봤더니
▶ 양준혁, 대방어 양식 사업 대박… "연매출만 30억"
▶ 푸바오는 3개 언어 구사하는 천재? 사천성 말도 이해

Copyright ⓒ 헤럴드경제 All Rights Reserved.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1,525
어제
1,280
최대
2,563
전체
426,504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