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출생 북한 "임신부에 11회 산전산후 관리"…모성보호 강조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저출생 북한 "임신부에 11회 산전산후 관리"…모성보호 강조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21회 작성일 24-05-07 10:48

본문

뉴스 기사
국제 조산원의 날 행사…"임산모와 갓난아이에 좋은 환경 마련해야"

저출생 북한

서울=연합뉴스 박수윤 기자 = 한국과 마찬가지로 저출생 문제에 직면한 북한이 모성보호 정책을 홍보하고 나서 눈길을 끈다.

노동당 기관지 노동신문은 국제 조산원의 날국제 조산사의 날 행사가 지난 6일 평양산원에서 개최됐다고 7일 보도했다. 매년 5월 5일은 국제조산사연맹ICM이 제정한 국제 조산사의 날이다.

신문은 이번 행사에서 한 발언자가 "임산모들과 갓난아이들에게 좋은 환경과 조건을 마련해주고 그들의 생명 보호와 건강 증진을 위한 사업에서 조산원들의 책임과 역할이 높이 발휘되도록 하고 있는 데 대하여 언급"했다고 소개했다.

대외선전매체 내나라도 평양산원 여성건강관리과 유향숙 과장의 기고문을 싣고 국제 조산원의 날을 계기로 북한의 모성보호 정책을 선전했다.

유 과장은 "인간을 가장 귀중히 여기는 우리나라"라면서 "정상 임신부는 산전 6회, 산후 5회 총 11회의 산전산후관리를 받고 있으며 위험성 높은 임신부는 횟수에 관계없이 산전관리를 받으면서 안전하게 해산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북한은 관영매체 보도 기준 2015년 처음으로 국제 조산원의 날 기념식을 열어 2019년까지 해마다 진행했으며,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여파로 중단했다가 5년 만인 올해 행사를 재개한 것으로 보인다.

북한이 조산원의 역할을 강조한 것은 모성보호 정책이 잘 이뤄지고 있다고 홍보해 출산을 꺼리는 사회 분위기를 반전시키려는 의도로 해석된다. 북한 등 저개발국에서는 의료기관 밖에서 조산사가 출산 과정을 돕는 경우가 많다.

그러나 통계로 드러난 북한의 모성보호 현실은 열악하다.

세계보건기구WHO와 유엔아동기금UNICEF, 유엔인구기금UNFPA, 세계은행그룹WBG, 유엔 경제사회국UNDESA 등이 지난해 2월 공동 발간한 2000∼2020년 모성사망률 추세 보고서에 따르면, 북한 출생아 10만명당 산모가 사망한 비율을 따지는 모성사망률은 2020년 107명에 달했다.

같은 해 한국의 모성사망률8명과 비교하면 무려 13배가 높다. 열악한 의료 환경과 영양 결핍 등이 원인으로 꼽힌다.

한국은행 경제연구원 북한경제연구실 이주영 연구위원 등은 지난해 12월 내놓은 논문에서 탈북민 설문조사 등을 바탕으로 2010년대 북한의 출산율을 1.38명으로 추정했다.

이는 2020년 북한의 출산율이 1.79명이라는 유엔 추정치를 한참 밑도는 것으로, 인구 유지를 위한 출산율2.1명에 크게 못미친다.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작년 12월 전국어머니대회에서 "출생률 감소"를 처음으로 언급한 배경에도 이런 위기의식이 깔린 것으로 보인다.

김 위원장은 당시 어머니의 역할과 관련, "출생률 감소를 막고 어린이 보육 교양을 잘하는 문제"도 있다고 말했다.

clap@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한국 근무 막 마친 미군 부사관, 러 체류 중 범죄혐의로 구금돼
공무원 등 특수직역연금 평균수급액, 국민연금보다 5.5배 많아
음주운전 20대, 단속 피하려고 순찰차 들이받아
건물 옥상서 여자친구 흉기 살해 20대 남성 긴급체포
포항 펫숍 동물 관리 논란…하얀색 털이 누렇게 변해
접촉사고 후 차에서 담금주 마셨다는 공무원…거짓들통나 유죄
金값된 김값…월평균 도매가 80% 치솟아 1만원 첫 돌파
채상병 전우들 "특검법 수용해달라" 윤 대통령에 공개편지
데이트폭력 신고하자 여자친구 납치·감금…징역 8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36
어제
1,688
최대
2,563
전체
437,776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