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에 기밀 유출 차단…국정원표 가이드라인 나온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챗GPT에 기밀 유출 차단…국정원표 가이드라인 나온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3-06-12 05:03

본문

뉴스 기사
기사 이미지
[서울신문]국가정보원이 챗GPT 등 생성형 인공지능AI 기술 활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보안 문제를 예방할 가이드라인을 마련해 이달 중 공공기관과 지방자치단체에 배포할 예정이라고 11일 밝혔다.

국정원은 지난 9일 챗GPT 보안 관련 분야 산학연 전문가 의견을 청취하기 위해 국가 사이버안보 민관협의체 회의를 열었다고 이날 밝혔다. 국가 사이버안보 민관협의체 소속 전문가와 각 부처 보안 담당자 60여명이 참여한 이번 회의에서 국정원 관계자는 “국가기관에서 AI 기술을 사용할 때 민간 기술 등을 활용해 정부 차원의 AI 모델을 행정업무망 내부에 자체 구축하는 형태가 돼야 한다”며 정부 기관들이 AI 시스템을 구축할 때 고려해야 할 사항을 제시했다.

이어 국정원 관계자는 “회의에서 논의된 내용과 기관별 애로사항을 반영해 이달 안으로 전체 국가 공공기관과 지자체에 보안가이드라인을 배포할 계획”이라고 했다. 권태경 한국정보보호학회 AI보안연구회 부위원장은 “기술의 발전만큼 중요한 것이 보안제도 마련”이라며 “보안정책의 기틀 위에서 AI 기술 활용이 이뤄져야 한다”고 강조했다.

앞서 윤석열 대통령은 챗GPT를 활용해 신년사를 작성한 경험을 알리는 등 정부는 행정 분야에 챗GPT를 활용하는 방안에 적극적인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국정원은 지난 4월부터 국가보안기술연구소, 학계 전문가와 합동으로 정부 기관이 챗GPT를 활용하는 과정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문제를 사전에 예방하면서 행정업무 효율화를 달성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가이드라인을 만들어 왔다. 일각에선 챗GPT가 행정 업무에 활용될 경우 업무상 비밀이나 개인정보가 유출되거나, 가짜뉴스·비윤리적 자료가 생성되는 등 기술이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가 제기된다.

국정원은 가이드라인에 ▲생성형 AI 기술 개요와 보안위협 ▲안전한 AI 기술 사용방안 ▲기관 정보화사업 보안 대책 등을 담을 예정이다.

미국과 유럽연합 역시 최근 정부 차원에서 챗GPT 사용 시 부작용 방지를 위한 AI행동강령 제작에 착수한 바 있다. 이탈리아 정부는 정보보호 명목으로 챗GPT 접속을 차단했다가 운영사의 보안 조치 시행을 확인한 뒤 접속을 재개했다. 또 국내외 민간 기업들도 사내 보안 정책을 강화하는 추세다.

국정원 관계자는 “앞으로 지속 등장하는 IT 신기술에 대한 보안대책을 적시에 마련해 각급 기관의 안전한 정보통신기술 활용을 지원할 방침”이라고 했다.

서유미 기자

[서울신문 다른기사 보러가기]

☞ 놀이터 흔들의자 넘어져…10대 깔려 심정지
☞ 한국 여성 BJ, 캄보디아서 시신으로 발견
☞ 남친과 있는 전처 촬영하고 전 장모 모욕한 40대
☞ 사진 찍던 12명 추락한 영흥도 농원 테라스 ‘불법’
☞ ‘양양 해변 낙뢰’ 심정지 회복 30대 끝내 숨져
☞ 나체로 돌아다니며 성폭행…‘공포의 20분’
☞ “러 용병들, 러 정규군 납치해 고문·성폭행” 폭로
☞ “발 각질 정리하다 커피 제조”… 본사 결국 사과
☞ 승객이 뜯은 아시아나 비상문…수리비 6억 4천만원
☞ 살 빼고 꾸민 정유정, ‘포샵 사진’까지 나왔다


▶ 밀리터리 인사이드
- 저작권자 ⓒ 서울신문사 -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908
어제
1,161
최대
2,563
전체
424,60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