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터뷰] "유튜브, 공정 선거 돕는다…규정 위반 콘텐츠 3개월간 900만개 ...
페이지 정보
본문
장 자크 사헬 구글 아태지역 콘텐츠 정책 총괄
“이용자들, 정보에 대한 접근권 폭넓게 가져야” “다양한 양질의 정보 접하고 비판적인 사고할 수 있도록” “공신력 있는 콘텐츠 최상단에 노출” 작년 10~12월, 규정 위반 유튜브 콘텐츠 900만개 삭제 장 자크 사헬 구글 아태지역 콘텐츠 정책 총괄이 지난 19일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 사무실에서 조선비즈와 인터뷰를 하고 있다./구글코리아 제공 장 자크 사헬 구글 아태지역 콘텐츠 정책 총괄은 지난 19일 서울 역삼동 구글코리아 사무실에서 진행된 인터뷰에서 이같이 말했다. 그는 2019년 구글에 합류해 부적절한 콘텐츠 유통을 막기 위한 정책을 수립하고 있다. 구글 이전에는 스카이프에서 정부 및 규제 관련 업무,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유럽·중동 및 아프리카 지역 디지털 정책 총괄을 맡았다. 현재는 국제방송통신기구International Institute of of Communications 이사회에서 전략위원회 위원장을 맡고 있다. 사헬 총괄은 이용자들이 정보에 대한 접근권을 갖는 게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다양한 양질의 정보를 접하고 비판적인 사고를 할 수 있도록 많은 권한을 제공하고 싶다는 것이다. 그는 “배너 등을 통해 이용자들에게 최대한 많은 정보를 제공하고자 한다”며 “예컨대 유튜브는 선거철에 사용자들에게 투표 방법, 장소 등을 알려주거나 선거 결과를 확인할 수 있는 배너를 제공하고 있다. 정보의 출처가 어디인지 실제 사실에 기반한 추가 내용을 전달하는 것”이라고 했다. 한국의 경우 중앙선거관리위원회와 같은 공신력 있는 출처를 표기하는 식이다. 그는 “이용자 입장에서는 본인이 보고 있는 콘텐츠가 어떤 기관이 전달하는 것인지, 어떤 시각에서 전해지는 것인지 파악할 수 있다”며 “이용자들이 정보를 폭넓게 이해할 수 있도록 돕는 것은 정치 분야나 선거에서 중요하다”고 말했다. 사헬 총괄은 또 “유권자들에게 유익한 정보를 전달하기 위해 공신력이 있는 콘텐츠들을 상단에 노출시키고 있다”며 “연관성이 높은 정보가 알고리즘에 기반을 두고 상단에 노출되는데, 정보의 출처가 가장 중요하다. 구글 검색, 유튜브 모두 마찬가지다”라고 말했다. 예컨대 팔로어 수가 적은 블로그에 올라온 게시물보다는, 퓰리처상 수상자의 글을 상단에 올리는 식이다. 구글은 지난 18일부터 유튜브 크리에이터들이 생성형 AI 등으로 변형·합성한 콘텐츠를 게시할 경우 동영상 또는 설명 섹션에 이를 공개해야 한다는 정책을 시행하고 있다. 제미나이에 선거와 관련된 질문을 하면 그 답변도 제한하도록 했다. 사헬 총괄은 “AI로 콘텐츠를 생성하는 것 자체가 문제는 아니지만 특히 정치 영역에서 누군가를 속이기 위해 악용할 경우 문제가 커진다”며 “AI 챗봇은 역사가 짧은 데다, 상황이 급변하고 있기 때문에 훨씬 더 안전한 정보의 원천인 구글 검색에서 선거 관련 정보를 검색하기를 추천한다”고 했다. 또 “제미나이는 창의성과 생산성을 위한 도구로 만들어졌다. 따라서 선거와 같은 중요한 주제는 수십년 동안 고도화돼 왔고 다양한 출처를 제공하는 구글 검색을 사용하기를 추천하는 것”이라고 했다. 유튜브 커뮤니티 가이드 시정 조치 보고서에 따르면 작년 10~12월 유튜브는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하는 900만개 이상의 영상을 삭제했다. 그 중 96% 이상이 시스템에 의해 자동 감지됐고, 4%는 이용자 또는 정부 기관·NGO 등이 신고한 게시물이다. 자동 감지된 영상 중 96% 이상은 조회수가 1000회를 기록하기 전에 삭제됐고, 54%는 조회수가 전혀 발생하지 않은 상태에서 삭제됐다. 구글은 위반 동영상 삭제 진행 상황을 측정하기 위해 ‘위반 조회율VVR’이라는 측정항목을 개발했다. 가장 최근 위반 조회율은 0.11~0.12%로 조회수 1만회당 11~12개가 정책 위반 콘텐츠에서 발생했다는 뜻이다. 사헬 총괄은 “AI 머신러닝을 활용해 해당 콘텐츠가 이용자들에게 도달하기 전에 탐지해 낸다는 뜻”이라고 설명했다. 일부 EDSA교육·다큐멘터리·과학·예술 콘텐츠의 경우에는 커뮤니티 가이드를 위반하는 내용을 포함하고 있더라도 충분한 맥락만 있다면 콘텐츠가 유튜브에서 삭제되지 않을 수 있다. 구글은 사용자들을 악의적인 콘텐츠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콘텐츠 정책을 꾸준히 개선해나가고 있다. 사헬 총괄은 “이용자들이 하는 행동 중 무엇이 허용 가능하고 허용 가능하지 않은지, 정책을 계속 검토하며 선순환 고리를 만들어나가고 있다”며 “자체 리서치를 통해 사례를 수집하고 정책 시행 후 효과를 검토하는 순서를 거치는데, 이 과정은 끝나지 않는다. 효과적이지 않으면 새로운 정책을 만들 수도 있고, 지속적으로 기존 정책을 개선해 나가고 있다”고 말했다. 사헬 총괄은 “구글은 악의적이고 정책을 위반하는 콘텐츠를 단순히 삭제하는 것으로 문제를 해결하려는 것이 아니다”라며 “콘텐츠에 대해 검열을 해서도 안되며, 콘텐츠를 제한하는 정책의 예외사항에 대해서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다”고 덧붙였다. [ 조선비즈 바로가기] - Copyrights ⓒ 조선비즈 amp; ChosunBiz.com, 무단 전재 및 재배포 금지 - 변지희 기자 zhee@chosunbiz.com |
관련링크
- 이전글"험지라고 피하지 않겠다"…강남·서초 뛰어든 민주당 주자들 24.03.24
- 다음글민주당, 세종갑 후보 없다…갭투기 의혹 이영선 공천 취소 24.03.24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