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려주세요"…이 사고 서울서 5일에 한 번씩은 터진다는데 왜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살려주세요"…이 사고 서울서 5일에 한 번씩은 터진다는데 왜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19회 작성일 23-10-17 09:35

본문

뉴스 기사
5년간 지하철 ‘발빠짐’ 320건 발생
적정 간격 10㎝ 초과 역사 152개




최근 서울 지하철 3호선 충무로역에서 4살 아이가 열차와 승강장 사이 틈으로 온몸이 빠진 사건이 발생했다. 승객들의 도움으로 구조됐으나 승강장과 열차 사이가 넓어 발이 빠지는 사고가 끊이지 않고 일어나고 있다.

17일 황희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서울시로부터 제출받은 자료를 분석한 결과, 최근 5년간 지하철 승강장 발빠짐 사고가 총 320건 발생해 닷새에 한번 꼴로 사고가 난 것으로 파악됐다.

이는 발빠짐 사고로 치료비를 지급한 사건만 포함한 수치라 단순 실족까지 더하면 사고가 더 많이 발생했을 것으로 예상된다.

보험금으로 총 1억 6417만원, 1인당 평균 약 51만원이 치료비로 지급됐다.

연도별로는 2019년 99건, 2020년 51건, 2021년 55건, 2022년 82건이었다. 올해 들어서는 8월까지 33건이나 발생했다.

노선별로는 2호선에서 77건24.1%으로 가장 많은 사고가 발생했다. 4호선 67건20.9%, 3호선 56건17.5%, 7호선 42건13.1%이 뒤를 이었다.

서울 지하철 1~9호선 역사 중 승강장과 열차 사이 간격이 적정 간격인 10㎝를 초과한 역사는 절반에 달했다. 전체 313개역 중 48.6%인 152개역이며, 승차 위치로는 3402곳이다.

2호선이 35개역승차위치 707곳으로 가장 많았고, 3호선 34개역892곳, 4호선 20개역546곳 등이었다. 특히 3호선은 34개역, 1호선은 10개역 전체가 10㎝를 초과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현행 도시철도건설규칙 제30조2에서 차량과 승강장 연단의 간격이 10㎝가 넘을 경우 실족사고를 방지하는 설비를 설치하도록 규정돼 있다.

이에 따라 서울시는 자동안전발판 7개역41곳, 고무발판 149개역3942곳, 이동식 안전발판 204개역220곳을 설치했다. 또 1~9호선 전체 313개역 5만2390곳에는 주의안내문을 부착해놓았으나 여전히 부족하다는 지적이 나온다.

황희 의원은 “‘관광객이 꼭 해야 할 한 가지‘에 한국은 ‘서울 지하철 타기’가 꼽힐 만큼 서울 지하철은 세계 최고라고 평가받고 있다”며 “안전도 세계 최고가 될 수 있도록 안전시설을 더욱 확충하고, 규정을 보완하는 등 대책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Copyright ⓒ 매일경제. All rights reserved. 무단 전재, 재배포 및 AI학습 이용 금지.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641
어제
877
최대
2,563
전체
417,80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