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너무 보고 싶었어요" AI로 부활한 순직 조종사…엄마는 오열했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너무 보고 싶었어요" AI로 부활한 순직 조종사…엄마는 오열했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2회 작성일 23-07-05 11:03

본문

뉴스 기사
박명렬·박인철, 공군 조종사 순직 父子
남편·아들 모두 잃은 이준신씨 오열

국방홍보원 국방TV가 5일 공개한 그날 군대 이야기 고 박인철 소령을 만나다 편에서 AI로 복원된 아들 박 소령왼쪽을 본 어머니 이준신씨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국방TV

국방홍보원 국방TV가 5일 공개한 그날 군대 이야기 고 박인철 소령을 만나다 편에서 AI로 복원된 아들 박 소령왼쪽을 본 어머니 이준신씨가 눈물을 흘리고 있다./국방TV

16년이 지났지만 아들은 27세 청년 모습 그대로였다. “엄마, 인철이요. 엄마, 너무 보고 싶었어요.” 생전 그대로인 아들의 표정과 말투에 어머니는 눈물을 흘렸다. “인철아 보고 싶었어.”

국방홍보원 국방TV는 5일 인공지능AI으로 복원한 고故 박인철공사52기 소령이 어머니 이준신씨를 만나는 모습을 유튜브에서 공개한다. 박 소령은 2007년 서해 상공에서 KF-16 요격 훈련 중 사고로 순직했다. 그는 1984년 F-4E를 몰고 팀스피릿 훈련에 참여했다가 순직한 고故 박명렬공사 26기 소령의 아들이다.



아버지가 못다 이룬 꿈을 이루겠다며 공군사관학교를 거쳐 조종사가 된 아들이 순직한 나이는 27세. 현충원 아버지 묘 앞에서 “나라를 위해 목숨을 바치겠다”고 한 뒤 50여일 만에 난 사고였다.

이씨는 남편을 잃고 다섯살배기 외아들 박인철 소령을 홀로 키워냈다. 그 아들마저 남편의 뒤를 따르자 이씨는 평생을 그리움 속에 살았다. 최근 AI 기술 발달로 먼저 세상을 떠난 가족의 모습을 복원하는 사례가 잦아지자 이씨는 “나도 우리 인철이를 저렇게라도 한 번 볼 수 있으면 좋겠다”고 했다. 고인이 생전 남긴 음성·영상·사진 데이터를 기반으로 AI는 ‘부활’을 시도한다.

2007년 6월 6일 현충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당시 박인철 대위가 아버지 박명렬 소령의 묘비를 만지고 있다.

2007년 6월 6일 현충일 국립서울현충원에서 당시 박인철 대위가 아버지 박명렬 소령의 묘비를 만지고 있다. "아버지가 못 이룬 꿈을 창공에서 펼치겠다"고 했던 박 대위는 50여일 뒤 순직했다./공군

“조종사 훈련을 받으면서 제가 얼마나 행복했는지 엄마도 잘 아시잖아요. 엄마가 속상해 하지 않았으면 좋겠어요. 저는 원하던 일을 해서 여한이 없어요. “ AI로 복원된 박 소령은 이렇게 말했다. 아들의 모습을 바라보던 이씨는 처음에는 놀란 표정이었지만 이내 살아있는 사람과 대화하듯 10여분간 자연스럽게 이야기했다. 어머니의 얼굴이 그리움으로 사무쳤다.

박 소령과 공사 시절 ‘삼총사’라고 불렸던 동기 김상훈·이두원 중령도 이 자리에 함께했다. 박 소령은 동기들에게 “같이 야구도 보고 여행도 다니고, 우리가 참 추억이 많았다” “그때 네가 그만 좀 따라오라고 했었잖아”라고 말을 건넸다. 이 중령은 “정말 인철이와 실제로 만난 느낌이었다”며 “인철이는 누구보다 앞에 서서 대한민국을 지키려고 노력했다”고 했다.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 ‘기인동체’機人同體 흉상. 왼쪽이 아버지 박명렬, 오른쪽이 아들 박인철 소령이다./유용원의 군사세계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 ‘기인동체’機人同體 흉상. 왼쪽이 아버지 박명렬, 오른쪽이 아들 박인철 소령이다./유용원의 군사세계

국방부는 ‘조국을 위해 희생한 장병을 기억하는 것이 우리가 할 일’이라는 취지로 이번 프로젝트를 기획했다. 국방부 정신전력문화정책과 이선미 중령은 “호국영웅의 유가족을 위로하고 그 숭고한 희생에 예우를 표할 방법을 고민하던 끝에 생각해낸 것이 AI 복원”이라고 했다. 군은 이런 AI 기술을 장병 정훈 교육에도 적극 활용한다는 방침이다.

박명렬·박인철 부자는 현재 국립서울현충원에 나란히 누워있다. 충북 청주시 공군사관학교에는 이들이 전투기와 한 몸으로 표현된 ‘기인동체’機人同體 흉상이 세워져 있다. 현충원 두 무덤 앞에는 ‘호국부자의 묘’라는 비석 아래 박명렬 소령 순직 당시 부모님이 새긴 비문이 남아있다.

‘그리워라 내 아들아 보고 싶은 내 아들아/자고 나면 만나려나 꿈을 꾸면 찾아올까/ 흘러간 강물처럼 어디로 가버렸나.’ 40년 가까운 세월이 지나 AI기술로 유족은 그 한恨을 티끌만큼이나마 풀게 됐다.

2004년 3월, 공군사관학교를 졸업식을 마친 박인철 소위가 어머니 이준신씨와 함께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배경의 전투기는 아버지 박명렬 소령이 몰다가 산화했던 F-4E 팬텀기다. /조선일보DB

2004년 3월, 공군사관학교를 졸업식을 마친 박인철 소위가 어머니 이준신씨와 함께 기념 사진을 찍고 있다. 배경의 전투기는 아버지 박명렬 소령이 몰다가 산화했던 F-4E 팬텀기다. /조선일보DB



[ 조선닷컴 바로가기]
[ 조선일보 구독신청하기]

원선우 기자 sun@chosun.com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58
어제
1,137
최대
2,563
전체
447,14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