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모차·장난감·온수매트 등 해외직구, 안전인증 없으면 금지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유모차·장난감·온수매트 등 해외직구, 안전인증 없으면 금지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6회 작성일 24-05-16 12:01

본문

뉴스 기사
내달부터 80개 품목 대상…가습기용 소독·보존제 등 생활제품도
짝퉁 차단시스템 이달중 마련…짝퉁 유통하는 플랫폼 제재하기로
해외플랫폼, 국내 대리인 의무화…소비자24로 해외직구 정보 통합 제공

유모차·장난감·온수매트 등 해외직구, 안전인증 없으면 금지


 

(서울=연합뉴스 홍국기 기자 = 국민의 안전과 건강에 영향을 줄 수 있는 80개 품목에 안전 인증이 없다면 해당 제품의 해외 직접구매직구가 원천 금지되는 조치가 다음 달 시행된다.

정부는 16일 인천공항본부세관에서 한덕수 국무총리 주재로 국정현안관계장관회의를 열어 이런 내용의 해외 직구 급증에 따른 소비자 안전 강화 및 기업 경쟁력 제고 방안을 발표했다.

그간 해외 직구가 아닌 정식 수입 절차를 거친 제품은 국가인증통합마크KC 인증 등을 거쳐 국내에 유통됐으나 해외 직구를 통한 제품은 별도의 안전 확인 절차 없이 국내에 반입됐다.

그러나 최근 중국 쇼핑 플랫폼인 알리익스프레스와 테무 등을 통한 해외 직구가 급증하고, 인체에 해롭거나 위험한 제품의 반입도 덩달아 늘자, 앞으로는 해외 직구 제품도 안전 관리를 강화하겠다는 것이다.

13세 이하 어린이가 사용하는 유모차와 장난감 등 어린이용품 34개 품목, 미인증 제품을 쓰면 화재·감전 우려가 있는 전기온수매트 등 전기·생활용품 34개 품목은 KC 인증이 없는 경우 해외 직구가 원천 금지된다.

또 가습기용 소독·보존제 등 생활화학제품 12개 품목도 신고·승인을 받지 않은 제품의 해외 직구를 금지하기로 했다.

안전 인증을 받았더라도 유해 성분이 포함된 제품이 국내로 반입되지 않도록 하는 조처도 함께 시행된다.

피부에 직접 닿는 화장품·위생용품은 1천50종의 사용 금지 원료를 포함했는지 검사해 유해성이 확인된 제품은 국내 반입을 금지한다.

장신구와 생활화학제품 등도 모니터링과 실태 조사 등을 통해 유해 물질 기준치를 초과하는 제품은 국내 반입을 차단한다.


AKR20240516018700001_03_i.jpg

애초에 해외 직구가 금지된 의약품과 의료 기기도 관리를 강화한다. 2021년 678건에 그쳤던 불법 의료 기기 적발 건수는 2022년 849건, 지난해 6천958건으로 급증세다.

정부는 약사법 개정을 추진해 의약품·동물용의약품의 해외 직구 금지를 명확히 하고, 의료 기기에 대해서는 통관 단계에서 특별·기획 점검을 강화할 방침이다.

아울러 해외 직구로 급증하는 가짜 물품 반입을 차단하기 위해 해외 플랫폼에 대한 빅데이터 기반의 인공지능AI 모니터링을 강화하고, 특허청·관세청 보유 정보를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차단 시스템을 이달 중 도입할 예정이다.

연내 상표법 개정을 통해 플랫폼 기업이 가품 차단 등을 이행하지 않을 경우 제재할 수 있는 근거도 마련한다.

해외 플랫폼에 의한 개인정보 침해 우려가 지속되는 상황에서 정부는 현재 조사 중인 플랫폼 기업들의 개인정보 보호법 위반 여부와 애플리케이션 접근 권한 미고지 여부 등을 올해 상반기 중에 공표할 계획이다.

정부는 해외 플랫폼 이용 과정에서 발생하는 소비자 피해 구제와 제재의 실효성을 확보하기 위해 해외 플랫폼의 국내 대리인 지정을 의무화하기 위한 법률 개정을 추진한다.

지정된 국내 대리인은 소비자 피해 구제를 담당하면서 KC 미인증 제품 판매 정보 삭제, 불법 제품 및 가품의 유통 차단 조치를 이행하게 된다.

또 정부는 현재 부처별로 산재한 해외 직구 정보에 대해 소비자들의 접근성과 편의성을 제고할 수 있도록 소비자24에 관련 정보를 통합해 제공한다. 개편된 소비자24는 이날부터 가동된다.


AKR20240516018700001_02_i.jpg

정부는 소액 수입 물품 면세제도를 악용해 의도적인 분할쪼개기 후 면세 통관을 시도하는 사례를 방지하기 위한 제도 개편을 검토하고 있다.

위해 물품 반입 차단에 최적화한 통관 플랫폼도 2026년까지 구축할 계획이다.

redflag@yna.co.kr


[이 시각 많이 본 기사]
뺑소니 후 집으로 안 간 김호중…경찰 음주 측정 회피 정황
하이브 방시혁, 대기업 총수 주식재산 6위…최태원·구광모 앞서
인천 교회서 온몸 멍든 여고생 사망…학대 혐의 신도 체포
최응천 문화재청장 "경복궁 근처 국적 불명 한복 개선할 것"
연쇄 성범죄자 박병화 전입에 수원시 대책회의…초소·CCTV 설치
유흥가서 운전대 잡은 취객 물색→추격→협박…돈뜯은 5명 구속
5월 맞아? 설악산 40㎝ 눈…"수확철 산나물 얼어" 농가 한숨
[삶] "인사해도, 친했던 엄마들이 모르는 척하네요…내가 미혼모라고"
故조석래 우애 당부에도…차남 "형제들 행위 앞뒤 맞지 않아"

▶제보는 카카오톡 okjebo
▶연합뉴스 앱 지금 바로 다운받기~
<저작권자c 연합뉴스, 무단 전재-재배포, ai 학습 및 활용 금지> 저작권자c>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745
어제
724
최대
2,563
전체
441,787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