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단독] "우리 기업 이란서 못 받은 돈 5천억 원 남겼다" > 정치기사 | politics

본문 바로가기
사이트 내 전체검색

정치기사 | politics

[단독] "우리 기업 이란서 못 받은 돈 5천억 원 남겼다"

페이지 정보

profile_image
작성자 수집기
댓글 0건 조회 91회 작성일 23-08-12 20:38

본문

뉴스 기사

지원하지 않는 브라우저로 접근하셨습니다.
Internet Explorer 10 이상으로 업데이트 해주시거나, 최신 버전의 Chrome에서 정상적으로 이용이 가능합니다.

<앵커>

미국과 이란이 수감자를 맞교환하는 조건으로 한국에 있던 이란의 동결 자금을 풀기로 하면서 이미 이 돈이 이란으로 넘어가기 시작했습니다. 정부가 5천억 원 정도는 국내에 남겨놨는데 이란에게서 수출 대금을 받지 못한 우리 기업들 피해를 보전하는 데 쓰일 전망입니다.

최재영 기자의 단독 보도입니다.

<기자>

우리 정부가 동결된 이란 자금을 이체하면서 가장 신경 썼던 건, 외환 시장에 미칠 영향입니다.

이란은 미 달러화나 유로화로 받기를 원하는데, 약 9조 원이 넘는 돈을 한 번에 환전하면, 원화 가치가 급격히 떨어질 수 있기 때문입니다.

그래서 충격을 최소화하기 위해 자금을 쪼개서 이체하는 것으로 전해졌습니다.

정부 관계자는 SBS에 이체가 완료되기까지 4주에서 6주 정도 걸릴 거라고 말했습니다.

문제는 동결 자금에 국내 기업들이 받을 돈이 같이 묶여 있다는 겁니다.

이란 제재가 강화되자 한국과 이란은 지난 2010년부터 원유 수입 대금을 국내 은행 계좌에 원화로 넣어 두고, 국내 기업의 이란 수출 대금을 여기서 빼 가는 방식으로 거래를 해왔습니다.

그런데, 지난 2019년 트럼프 전 미국 대통령이 이란 핵합의를 일방적으로 파기하면서 원유 수입 대금이 있던 계좌가 동결됐고, 수출 대금을 받지 못하게 된 국내 기업들도 속출한 겁니다.

정부 고위관계자는 "미수금과 지연 이자를 포함해 5천억 원이 넘는 액수는 남겨뒀고, 그 정도면 우리 기업들의 피해를 보전할 수 있을 것으로 본다"고 밝혔습니다.

[신동찬/국제 제재 전문 변호사 : 국내 기업의 이란 미수금이 2천4백억 원 정도였다고 2017년에 한 번 집계된 적이 있고요. 연체 이자나 무역이 더 진행된 게 있어서 현재는 5천억 원 정도 되지 않을까….]

하지만, 국내 기업들이 미수금을 받기 위해 미국의 승인 과정이 필요해 아직 해결해야 할 과제들이 남아 있습니다.

영상편집 : 유미라, CG : 조수인·강윤정

최재영 기자 stillyoung@sbs.co.kr

인/기/기/사

◆ 짙은 갈색 벗기고 투명해졌다…눈길 끄는 맥주병의 변신

◆ "아, 어떡하면 좋아" 우거진 수풀서 심정지, 결국 숨졌다

◆ "고군분투 시기…나도 얼렸다" 미혼 여성들 선택한 보험

◆ 15시간 항해에도 싱글벙글…따이궁들도 "자주 오려고요"

◆ "처음 봤다, 집안 싸움해도…" 설경구도 깜짝 놀란 이유


▶ 네이버에서 SBS뉴스를 구독해주세요!
▶ 가장 확실한 SBS 제보 [클릭!]
* 제보하기: sbs8news@sbs.co.kr / 02-2113-6000 / 카카오톡 @SBS제보

※ ⓒ SBS amp; SBS Digital News Lab. : 무단복제 및 재배포 금지 기자> 앵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

회원로그인

회원가입

사이트 정보

회사명 : 원미디어 / 대표 : 대표자명
주소 : OO도 OO시 OO구 OO동 123-45
사업자 등록번호 : 123-45-67890
전화 : 02-123-4567 팩스 : 02-123-4568
통신판매업신고번호 : 제 OO구 - 123호
개인정보관리책임자 : 정보책임자명

접속자집계

오늘
828
어제
971
최대
2,563
전체
419,805
Copyright © 소유하신 도메인. All rights reserved.